728x90
1.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과 낙인
1) 원인 & 경과 & 치료에 대한 편견과 낙인
가. 원인에 대한 편견과 낙인
- 군대, 가족의 양육방식의 문제, 유전, 충격, 가족 내 종교의 다름 등
나. 경과에 대한 편견과 낙인
- 괴상하다, 위험하다, 결혼하면 좋아진다 등
다. 치료에 대한 편견과 낙인
- ‘바보가 된다’, ‘치료가 되지 않는다’ 등
2) 편견과 낙인의 결과
가. 조기치료 기회 박탈
- 무분별한 종교 & 무속의 활용
2. 편견과 낙인의 형성과정
1) 매스컴의 보도태도
가. 정신질환자 = 잠재적 범죄자
나. 선정적, 흥미, 시선유도
2) 정신질환에 대한 무관심
가. 상식 벗어난 행동
- 두려움, 회피
3) 수사기관 종사자 의식
가. 미제 & 잔인한 사건 문제
- 정신질환자 지목
3. 편견과 낙인의 극복 방안
1) 사회적 태도 변화
가. 전문가들의 노력 중요
- 새로운 치료약 개발
- 환자 권익 보호↑, 낙인 ↓
- 의료 소비자 인식 : 정신질환 정보 제공, 교육, 홍보
나,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역할
- 사회과학적 학문적 배경 -> 지역사회 관심 -> 임상가, 상담가, 교육자, 권익옹호, 대변자, 사회적 홍보, 지역사회 서비스
부산디지털대학교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728x90
반응형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정신건강사업의 현황 (0) | 2022.08.15 |
---|---|
지역사회 정신건강 (0) | 2022.08.15 |
우리나라 정신건강사회복지의 발달 (0) | 2022.08.15 |
서구 정신건강사회복지의 발달 (0) | 2022.08.15 |
정신건강영역에서의 팀워크 (0) | 2022.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