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정분류체계의 이해
1) 분류체계의 개념
가. 개념
- 정신질환의 복잡한 현상들을 어떤 공통점 & 유사성에 근거하여 이해하기 쉬운 단순한 형태로 구조화하여 체계화시킨 표준적인 틀
나. 목적
- 정신질환의 유형을 쉽게 파악하기 위함
2) 사정분류체계의 구분
범주적 분류 (categorical classification) | 유목적 분류 ex) A라는 사람이 우울증 인가? 아닌가? - Y or N 대답만 가능 - 얼마만큼 심각한가? 파악 불가 |
차원적 분류 (dimensional classification) | 양적인 차원 분류(심각도) ex) 우울증이 얼마나 심각한가? 경도 - 중도 – 고도 - 최고도 |
3) 사정분류체계의 활용
고혈압 | - 혈압의 측정값. 연속적. - 수축기 혈압 -> 정상 이완기 혈압 80mmHg~ 수축기 혈압 120mmHg -> 고혈압 140mmHg - 고혈압 치료 위해 -> 일정수준 이상의 혈압을 나타내는 사람들 범주화 필요 |
불안 | - 사람에 따라 정도의 차이 존재(차원적 의미) - 극도로 불안 높은 사람(심각) -> 치료를 위해 별도의 진단범주 필요 |
=> 정신질환이 이와 유사.
- 질환의 실체적 특성 : 차원적 분류(심각도)가 유용
- 현실적 측면에서 치료 대상인가? 아닌가? 판별에 유용
2. 사정분류체계의 종류
- 의료분야 : 국제질병분류 WHO(세계보건기구)
ICD :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Disease
- 정신의학 :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 APA(미국정신의학회)
DSM : Diagnostic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 사회복지 : 임상사회복지 사정체계 – NASW(미국사회복지사협회)
PIE : Person In Environment
1) DSM 5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편람 5판)
- 심리적 증상 & 증후군 위주로 정신질환 분류
- 진단 & 치료 & 경과 & 예후 기술
- 정신의학계 및 인접 학문분야의 지침서
가. DSM의 주요변화
구분 | 출간 년도 | 분류 범주수 | 전체 진단갯수 | 축체계 |
DSM-Ⅰ | 1952 | 8개 | 106개 | 축없음 |
DSM-Ⅱ | 1968 | 10개 | 182개 | 축없음 |
DSM-Ⅲ | 1980 | 16개 | 265개 | 다축체계 |
DSM-Ⅲ-R | 1987 | 17개 | 292개 | 다축체계 |
DSM-Ⅳ | 1994 | 17개 | 297개 | 다축체계 |
DSM-Ⅳ-TR | 2000 | 17개 | 297개 | 다축체계 |
DSM-5 | 2013 | 20개 | 2300여개 | 다축폐지 |
나. DSM-Ⅳ의 다축체계
축(Asix) Ⅰ | 모든 정신의학적 장애 |
축(Asix) Ⅱ | 성격장애 및 특정 발달장애 |
축(Asix) Ⅲ | 신체적 질환 |
축(Asix) Ⅳ | 심리사회적 / 환경적 스트레스 강도 |
축(Asix) Ⅴ | 전반적인 기능평가 (특정기간 중 사회적 & 직업적 & 심리적 기능 등) |
다. 다축체계의 폐지
- 혼합모델 적용
- 범주모델(범주적 분류)의 한계 극복
-> 차원 모델(차원적 분류) 일부 도입
-> 스펙트럼(spectrum) :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
-> 관련(related) : 양극성 및 관련장애, 강박 및 관련장애, 신체증상 및 관련장애
=> 명칭 자체에 차원(심각도) 의미 포함
* 진단기준에 심각도 측정한 경우도 있음.
- 알코올 사용장애 : 진단기준(11개)
-> 2~3개(경도), 4~5개(중등도), 6개 이상(고도)
2) PIE (임상사회복지 사정체계)
- 고유의 분류체계 없어 전문직으로서 인정 어려움
- DSM : Client의 전인적 관점 부족 & 사회적 기능 사정 부족 -
> 사회적 기능 수행 문제 사정 위해 개발
=> 1981년 NASW 사회복지 고유성 제시할 수 있는 사정체계 개발
가. 특징
- 증상보다는 사회적 기능 중심
- 약점 보다는 강점 중심
- 통합적 심리사회적 사정
나. PIE 요소 Ⅰ
- 개인 기능 사정 : 심각성, 지속기간, 대처능력
① 가족원으로서의 역할
② 타인과의 대인관계 역할
③ 직업적 역할
④ 특수상황에서 개인적 역할
다. PIE 요소 Ⅱ
- 환경문제 사정 : 정도, 지속기간
① 경제 & 기본욕구 체계 문제 – 음식/주거, 경제적 자원 등
② 교육 & 훈련 체계 문제
③ 사법 & 법적 체계 문제
④ 건강 & 안정 & 사회서비스 체계 문제
⑤ 자발적 모임 체계 문제 – 종교집단, 지역사회집단 등
⑥ 감정적지지 체계 문제
라. PIE 요소 Ⅲ
- 정신건강문제 사정
- DSM-5 기반
마. PIE 요소 Ⅳ
- 신체건강문제 사정
- ICD-10 기반
부산디지털대학교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역할 (0) | 2022.08.15 |
---|---|
사정도구의 실무적용사례 (0) | 2022.08.15 |
사정근거모델과 사정분류체계(1) (0) | 2022.08.15 |
정신사회재활에서 강점관점 (0) | 2022.08.15 |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정신건강사회복지실천 (0) | 2022.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