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정신건강 사회복지론

(39)
우리나라 정신건강사회복지의 발달 1. 우리나라 정신건강사회복지의 발달과정 1) 태동기(1945년~1969년) : 의료모델 가. 1945년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발족(MSW: morgan) - 청소년 문제 관심 - 정신의학, 심리학, 사회복지학(SW: 권기주) 나. 1958년 - 서울시립아동상담소 개설 - 팀접근 시도 : 정신의학·사회복지(하상락 교수)·심리학·법률 다. 1962년 - 국립 정신병원 개원. MSW(김원진) - 정신건강사회사업 서비스 & 실습 라. 1963년 - 성모병원 신경정신과 전임 MSW(이미영). 개인력 조사 & 가족상담 마. 1968년 - 중앙대 부속 필동 성심병원 신경정신과 개설. MSW(정의방, 박순자) - 개인력 조사, 집단지도, 가족상담, 가정방문 바. 1969년 - 계명대부속 동산기독병원 신경정신과. MS..
서구 정신건강사회복지의 발달 1. 영국 정신건강사회복지의 발달과정 1) 태동기(1880년대~1920년대) 가. 1880년대 - 정신병원 퇴원 환자의 거주지 알선 - 위탁가정, 사회복지시설, 요양원, 지역사회적응위한 가족지도, 직장알선 등 나. 1920년대 - 정신건강운동, 아동상담소 중심 전개 - 타전문가들과의 팀 작업 : 정신장애 아동 2) 발전기(1930년대) 가. 정신의학(대도시 중심), 정신병원 중심 발달 - 사회력조사, 사후 서비스, 환자 & 가족 지원, 퇴원 지원 - 병원 내 타 서비스 지원(행정 등), 치료 및 조사, 연구 참여 3) 정착기(1930년~1959년) / MSW 전문적 훈련 가. 1930년 - 영국정신건강사회복지사협회(BAPSW) 창립 나. 1944년 - 에든버러대학교 정신건강사회복지훈련센터 설치 다. 19..
정신건강영역에서의 팀워크 1. 정신건강영역에서의 팀 구성원 1) 정신의학자 가. 치료에 대한 종합적인 치료 전략 등 - 사회적, 법적으로 인정된 책임자 나. 생물학적 관점 - 병리학적, 발생학적, 해부학적, 생화학적 소인 등 다. 진단 & 약물치료 & 정신치료 2) 정신건강전문요원 가. 법적근거 - 정신건강복지법 제 17조 2항 나. 정신건강전문요원 업무의 범위 및 한계 고유업무 공통업무 정신건강 사회복지사 1. 정신질환자에 대한 개인력조사 및 사회조사 2. 정신질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사회사업지도 및 방문지도 1. 정신재활시설의 운영 2. 정신질환자 등의 재활 훈련, 생활 훈련 및 작업 훈련의 실시 및 지도 3. 정신질환자와 그 가족의 권익 보장을 위한 활동지원 4. 진단 및 보호의 신청 - 자해 or 타해의 위험 의심 정신질..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정의 1. 정신건강사회복지 정의의 다양성 1) 정신건강사회복지의 관점 가. 정신의학 영역의 규정 - 정신의학적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전문적인 사회복지 실천 - 의료사회사업 분야에서 분화되어 정신의학적 지식 & 기술을 갖춘 전문화된 영역으로 발전 나. 사회문화적 환경 - 정신의료사회복지(psychiatric mental health : PSW) : 병원 중심의 사회복지활동 - 정신건강사회복지(mental health social work : MSW) : 병원 및 정신건강실천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영역을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 다. 학자 2) 정신건강사회복지 정의 시 고려 사항 가. 실천의 본질 강조 - 본질적으로 특수한 것 - 사회복지실천과정에 지식 활용 (정신의학적 지식-정신병리 & 정신역동 등) 나. 실천의 장소..
정신건강사회복지의 개념 1.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의의 1) 건강보험확대 - 건강보험의 전면적 시행 - 의료수요 급증 - 의사1인당 환자 진료 시간 절대적 부족 - 정신의학에서도 정신장애를 지나치게 생물학적으로만 이해하는 경향 => 전인적 이해 부족 2) 의학적 개념 확대 - 예방 => 치료 => 재활 - 사회적 기능(역할) 유지 위한 관리 & 지원 서비스(가족) 중요 ex) 만성질환(고혈압, 당뇨 등) - 정신의학(건강) 영역에서도 재활 중요 => 정신사회재활의 필요성 증가 3) 성공적 사회 복귀 - 정신질환 증상 완화 + 재활 서비스 => 지역사회 재활서비스 개발·연계 및 원조 필요 4) 정신건강사회복지 원조 전문직 가. 재활서비스 담당자의 필요성 대두 - 환자 증상 완화 - 가족부담 => 욕구 발생 - 지역사회 복귀 => 지..
우울장애의 하위 유형(2) 1. 우울장애의 하위 유형(2) 1) 주요우울장애 가. 핵심증상 - 거의 매일, 하루 대부분 - 지속적인 우울한 기분 & 흥미(즐거움)의 상실 - 우울장애 하위유형 중 증상 가장 심각 - 평생유병율 : 남성(5~12%) 자기 자신에게 향할 때 - 자기 이미지 : 어릴 적 부정적 자기 이미지 갖고 성장시~ - 완벽주의자 : 지나친 완벽주의자 - 대인관계 & 일 - 현실기대 : 현실기대가 높은 사람 *우울증의 인지적 3요소 - 부정적 & 비관적 사고의 경향성 - 인지왜곡 -> 자신에 대한 부정적 지각, 현재에 대한 부정적 해석, 미래에 대한 부정적 시각 - 자신에 대한 부정적 지각 : 자신은 결함이 있고, 부족하며 무가치 하고 아무도 원치 않았던 존재다. => 부정적 자아상 - 현재에 대한 부정적 해석 : ..
우울장애의 하위 유형(1) 1. 우울장애의 하위 유형(1) 1) 파괴적 기분조절곤란 장애 - DSM-5에서 추가된 진단명 가. 핵심증상 - 만성적 & 지속적인 이자극성(irritability) – 과민성, 화를 잘 냄 - 우울 상태에 있다가 만성적 불쾌감(짜증), 간헐적인 분노폭발 - 자극에 비해 강도 & 기간 : 현저하게 과도 - 언어적(언어적 분노, 만성적 짜증), 행동적(사람 or 소유물에게 신체적 폭력) -> 발달수준에 부적절 나. 주요증상 - 언어적 & 행동적 반복적인 심한 분노폭발 - 평균 매주 3회 이상 발생 - 증상 12개월 이상 지속 - 증상이 3가지 상황(가정, 학교, 동료와 함께 있는 상황) 중 최소 2개 이상 & 이중 1개는 심하게 발현 - 연령 : 6~18세에만 진단 -> 1년 유병률 : 아동 ·청소년의 2..
우울증의 이해와 발생요인 1. 우울증의 이해 1) 우울증의 개념 가. 특징 - 우울한 기분 - 몇 달 or 몇 년 동안 증상 지속 → 수면 & 신체 & 사고방식 & 행동에 영향 - 미래질병 1위(WHO 세계보건기구), 정신건강의학과 내방자 4명 중 1명 - 현대 사회 : 치열한 경쟁 & 압박. 우울증 공장 & 심리적 독감(마음의 감기) 나. 평생유병율 - 주요우울증 15%, 여성유병율 25%↑ -> But 재발 잦으나 치료적 경과 가장 좋음 - 방치 시 자살. 치명적 장애 -> 우울증 환자의 15% 자살시도. 자살 환자의 80% 우울증 환자. 2) 우울증 관련 용어 가. 갱년기 우울증 - 우울증 이전 병력 없이 갱년기에 처음 발생 - 발병연령 : 남자 50~65세, 여자 40~55세 - 발병원인 : 생리적 변화(호르몬 등), 생..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