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족의 문제
3. 다문화가족의 문제 1) 결혼이민자의 장기체류로 인한 욕구의 변화 ■ 욕구의 변화 입국 초기 의사소통(한국어), 한국문화와 한국사회 적응, 임신 과 출산, 자녀 양육, 상당 등의 어려움 자녀 성장 및 진학시기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 학업성적, 자녀교육 등 한국생활 적응시기 취업, 경제적 자립 등 적성과 수준, 흥미, 본국에서의 취업 경험 등을 고려하여 수준별 일 자리 창출을 할 수 있는 취업교육 및 기술훈련 방안 요구됨 ■ 욕구의 변화 고려 - 지역사회에 안정적 정착 · 역량 강화, 자아실현, 리더십 발휘, 사회참여 등 욕구 증가 - 인적 자원 양성 차원 · 다문화전문가 양성 · 지속적인 보수교육을 통한 전문성 확보 · 이주여성 리더 발굴 및 사회참여 확대 ■ 가족 전체에 대한 총체적인 개입 - 다문..
한부모가족에 대한 서비스와 대책
3. 한부모가족에 대한 서비스 현황 1) 공공부조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 소득보장 : 생계급여, 긴급급여(임시생계급여), - 주거급여 : 주거안정지원비나 전세자금 대여 - 고용지원 : 직업훈련 및 알선, 자활훈련기관 및 자활공동체 등 다양한 방안 모색, 생활자금 융자 - 건강 및 보건 : 별도의 법에 의하여 의료급여 - 보호 및 양육 : 교육급여, 장제급여 ⇨보호수준이 낮고 보호기준을 불합리하게 책정하는 등의 문제점 있어 한부모가족을 위한 지원체계로 미흡함 2) 사회보험 - 공무원연금법, 군인연금법, 사립학교교직원연금법 · 배우자 사망 시 유족연금이나 유족일시금 지급 - 국민연금 · 피보험자와 그 가족에게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 등 보장 · 분할연금 : 이혼으로 인한 한부모가족을 위한 서비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