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다문화가족의 문제
1) 결혼이민자의 장기체류로 인한 욕구의 변화
■ 욕구의 변화
입국 초기 | 의사소통(한국어), 한국문화와 한국사회 적응, 임신 과 출산, 자녀 양육, 상당 등의 어려움 |
자녀 성장 및 진학시기 |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 학업성적, 자녀교육 등 |
한국생활 적응시기 | 취업, 경제적 자립 등 |
적성과 수준, 흥미, 본국에서의 취업 경험 등을 고려하여 수준별 일 자리 창출을 할 수 있는 취업교육 및 기술훈련 방안 요구됨 |
■ 욕구의 변화 고려
- 지역사회에 안정적 정착
· 역량 강화, 자아실현, 리더십 발휘, 사회참여 등 욕구 증가
- 인적 자원 양성 차원
· 다문화전문가 양성
· 지속적인 보수교육을 통한 전문성 확보
· 이주여성 리더 발굴 및 사회참여 확대
■ 가족 전체에 대한 총체적인 개입
- 다문화기관에서 내국인 또는 이중언어 가능한 당사자 전문상담원을 양성하여 지속적인 다문화가족치료 제공
■ 위기상담, 폭력피해자
- 초기 대응서비스
이주여성긴급전화 1577-1366과 연계하여 다국어 통역과 함께 경찰, 의료, 상담, 법률 등 원스톱 서비스 지원
2) 결혼이민자 가족관계 향상 및 가족 해체 예방
3) 재혼가족과 이혼 후의 결혼이민자 지원
■ 재혼가족
- 자녀의 학교 및 한국사회 부적응 문제
■ 이혼으로 인한 한부모가족
- 생계비 유지와 주거 공간 마련, 자녀 양육 및 교육 등의 문제
· 구직활동을 통한 생계비 마련을 위해 자립할 수 있는 취업과 지속적인 사례관리 요구됨
4) 다문화가족 자녀의 문제
⇨ 다문화가족 자녀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 차별, 낙인화 등으로 어려움 겪음
- 다문화코디네이터 활성화, 일대일 멘토링 확대, 학습지원 등 요구됨
- 개인의 자주성의 문이 열리고 미분화의 세대 간 전수를 막을 수 있음
· 정체성 확립
· 학업을 집중할 수 있는 학교 분위기 조성
■ 중도입국자녀
- 공교육 진입 어려움 : 체류신분 불안정, 한국어 미숙, 학업기간 공백
- 학업 중단 위기 높음 : 공교육 진입 후에도 기초학력 부진 및 학업 부적응
- 정체성 혼란 : 새로운 가족관계의 변화에 대한 어려움으로 불안정한 일상과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한 염려 등
- 진로상담, 진로교육 및 직업기술훈련 기회 제공 및 연계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복지론 강의정리 : 권량희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가족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정폭력에 대한 이해 (0) | 2022.07.16 |
---|---|
다문화가족에 대한 정책과 과제 (0) | 2022.07.16 |
다문화가족의 이해 및 현황 (0) | 2022.07.16 |
한부모가족에 대한 서비스와 대책 (0) | 2022.07.16 |
한부모가족의 문제 (0) | 2022.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