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문화가족에 대한 이해
■ 다문화주의
- 인간사회의 다양성, 인구학적이고 문화적인 다양화라는 사회적 사실에 대한 규범적 접근방식
- 한 나라에 여러 집단이 평화롭게 공존하는 것을 지향하거나 하나의 국가에서 다양한 인종, 민족, 문화간 관용과 평화적 공존을 수용하고 이를 증진하려는 이데올로기
-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 들어서면서 논의되기 시작함
- 캐나다 : 편견이나 차별의 두려움 없이 이민자들이 자신의 인종문화적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권리
- 유럽 : 민족적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권리
- 미국 : 소외된 사회집단의 요구를 수용해주는 규범적인 것
- 우리나라 : 국적 내지 민족이라는 개념과 연결짓는 데서 출발하고 있음
1) 다문화가족의 정의
■ 광의의 개념
- 자국 내에 거주하는 모든 외국인 가족
■ 협의의 개념
- 자국 내에 거주하는 것뿐 아니라 가족구성원 중 한 명이 국적을 취득해 이루어 진 가족
■ 다문화가족지원법
결혼 이민자, 귀화자, 그리고 대한민국 국적 취득자로 이루어진 가족
- 다음 사항 중 하나에 해당하는 가족
· 첫째, 재한외국인 처우기본법 제2조 제3호의 결혼이민자와 국적법 제2조에 따라 출생 시부터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
· 둘째, 국적법 제4조에 따라 귀하허가를 받은 자와 같은 법 제2조에 따라 출생 시부터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
■ 최근
-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결혼이민여성 가족
- 한국인 여성과 결혼한 이주남성가족
- 이주민가족 (이주노동자, 유학생, 북한이탈주민 포함) ⇨ 보다 확장된 의미로 사용
[정부의 다문화정책 대상과 관련 법률] | ||
구분 | 대상 | 주무기관 |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 | 재한 외국인 | 법무부 |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 이주노동자 | 고용노동부 |
다문화가족지원법 | 결혼이민자 및 귀화자 (가족 ) | 여성가족부 |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 북한이탈주민 | 통일부 |
재외동포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 | 재외동포 | 법무부, 고용노동부 |
난민법 | 난민 | 법무부 |
2. 다문화 인구 현황
1) 결혼이민자 현황
■ 2018 다문화가족실태조사 결과
- 다문화가구 32만 가구 / 전체 가구의 1.6%
- 다문화가구원 96만 명
✓결혼이민자 및 귀화자 32.8만명, 자녀 21.2만명(18세 이하), 한국인배우자 30.1 만명, 기타 동거인 12.2만명
- 다문화 혼인 및 이혼 현황
✓다문화 혼인(’17) 20,835건 / 전체 혼인(26만 4천건)의 7.9%
✓다문화 이혼(’17) 7,130건 / 전체 이혼(10만 6천건)의 6.7%
- 다문화 출생 및 학생 현황
✓다문화 출생(’16) 19,431명 / 전체 출생(40만 6천명)의 4.8%
✓다문화 학생(’17) 109,387명 / 전체 학생(646만 8천명)의 1.9%
- 결혼이민자 고용률
✓(‘16) 49.8%/ 전체 외국인(결혼이민자 포함) 고용률 67.6%
■ 주요 이혼 사유
- 결혼 과정 상의 문제
- 외국인 혐오성
- 여성인권 침해성 폭력
- 체류자격을 둘러싼 갈등
- 사회경제적 갈등
-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생활양식의 차이
2) 다문화가정 자녀 현황 및 문제
- 전체 학생 수 감소(2.5%↓), 중학교(5.2%↓) 및 고등학교(4.7%↓) 감소가 주 영향
- 다문화 학생 수 매년 10% 이상 증가하여 처음으로 10만명 넘어섬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복지론 강의정리 : 권량희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가족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문화가족에 대한 정책과 과제 (0) | 2022.07.16 |
---|---|
다문화가족의 문제 (0) | 2022.07.16 |
한부모가족에 대한 서비스와 대책 (0) | 2022.07.16 |
한부모가족의 문제 (0) | 2022.07.16 |
한부모가족의 유형과 현황 (0) | 2022.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