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가족복지론

한부모가족의 문제

728x90

2. 한부모가족의 유형과 현황

 


■ 한부모가족의 일반적 문제


- 모나 부의 부재로 인한 가족기능의 부분적 혹은 전체적인 수행불능


- 이로 인한 가족원의 욕구불만 등으로 가정의 경제적, 정서적인 제반 문제 나타 남

 


■  한부모가족의 문제 유형

 

 

 


1) 모자가족의 문제


■  경제적 문제


- 부의 상실로 인한 소득감소, 주택문제, 모의 취업문제 등 발생


-  한부모의  취업  비율은  높으나  근로소득은  낮아 근로빈곤층(working  poor) 특성을 보임

 

- 경제적 취약으로 인한 의료비 충당의 어려움으로 만성질환자 모자가족의 경우 어려움이 가속화됨


- 가족구성원의 정서적, 사회적 측면 및 가족관계에 영향 미침 

 

- 대책 : 경제적 자립을 위한 지원 필수

 


■  사회적 편견과 차별로 인한 문제


- 우리사회에 만연한 정상가족 이데올로기로 비정상적 혹은 건강하지 못한 가족으로 낙인과 차별 경험


- 자녀에 대한 낙인으로 건강한 성장 및 부정적 영향의 가능성 높음

 


■  자녀양육을 포함한 심리·사회적 문제


- 부의 부재로 인한 가족 내에서의 역할과 지위의 변화에 적응해야 하는 어려움 가중


- 모의 과중한 역할 수행으로 인한 소진 및 돌봄 소홀에 대한 죄책감으로 자녀양육에 있어 감정적 및 일관성이 결여되기 쉬움


- 역할수행의 둔화 및 혼란은 가족 전체의 결속력 붕괴 위험을 가중시키므로 모의 기능 강화 중요


- 모의 상실감과 소외감으로 심리적, 성격적 어려움 발생 

 

- 자녀의 부적응에 따른 가족 내 긴장과 갈등

 


■  자녀의 부적응에 따른 가족 내 긴장과 갈등 


- 부의 부재에 따른 문제 


· 감독권과 통제권 상실로 자신에 대한 통제능력 결여,  동일시 대상 상실, 사회적 편견에서 오는 압박감, 열등감 등
·가정의 경제적 어려움 및 주변의 편견으로 자녀의 부적응이나 비행 야기

 


2) 부자가족의 문제


■  경제적 문제


- 대다수 부자가족은 부의 저학력과 저소득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빈곤한 상태에 처해 있음


· 자녀양육과 가사의 양립으로 직업선택의 기회 낮고 전직 가능성 높아서 경제적 상태 악화될 가능성 높음

 


■  가사문제를 비롯한 가정관리 문제


-  배우자에  의해  관리되던  가사  문제를  스스로  처리해야  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스트레스 직면


-  가사관리가  잘  조절되지  못할  경우  직업생활에도  영향을  끼쳐  경제적  문제로 이어지는 악순환 가능성 높음

 


■  자녀 양육 문제


- 자녀양육에 대한 부담과 부적절한 대처로 자녀의 다양한 문제 발생


· 자녀양육 정보의 결여
· 모의 부재로 인해 감정이나 애정표현 기회가 박탈되어 가족이나 타인과의 긴밀한 관계 형성 어려움
· 부의 취직으로 인한 아동의 보호, 감독 소홀로 자녀의 비행 조장 가능성 높음

 


■  심리정서적 문제 : 부와 자녀


- 배우자 상실로 인한 역할 재구조화 및 재설정 문제로 정서적 위축 경험 

 

- 자녀양육에 대한 부담, 생계부양에 대한 부담, 주변의 편견 등으로 강한 스트레스 경험 


→ 타인과의 관계 위축 및 사회의 왜곡된 인식, 낙인에 대한 두려움 경험 

→ 부의 정서적 위축과 두려움은 사별보다 이혼의 경우 더 심각

 


■  심리정서적 문제 : 부와 자녀


- 모의 부재에 따른 모성실조 경험으로 자아에 대한 부정적 태도나 이미지 형성 가능성 높음


- 동일시 대상의 상실에 따른 역할수행의 혼란 및 사회적 위축감 발생 가능성 높음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복지론 강의정리 : 권량희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728x90
반응형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가족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문화가족의 이해 및 현황  (0) 2022.07.16
한부모가족에 대한 서비스와 대책  (0) 2022.07.16
한부모가족의 유형과 현황  (0) 2022.07.16
가족정책(3)  (0) 2022.07.16
가족정책(2)  (0) 2022.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