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의료사회복지실천의 기원
- 고려
-> 동서대비원(東西大悲院)
: 고려 11대 문종 때 창설, 빈민질병자의 구호요양 실시
-> 혜민국(惠民局)
: 고려 16대 예종 창설, 일반서민에게 의약과 의복 제공, 무료치료 제공
-> 혜민전약국(惠民典藥局)
: 제34대 공양왕 (1391)
- 조선
-> 활인서
: 약재를 연구하고 임상실험 진행, 병에 걸린 환자 치료, 빈민에게 옷과 음식 제공, 장례
1. 한국의 의료사회복지실천의 역사
1) 태동기
- 1950년대 후반. 현대적 의미의 의료사회복지실천
가. 1958년
- 한노병원 & 세브란스병원 -> 의료사회복지실천의 시작
-> 선교사에 의해 시작 - 결핵약 & 구호물자 공급 등 물질적 원조 중심
나. 1959년
- 국립의료원, 원주기독병원
-> 극빈 환자의 지원, 나환자촌 순회 진료 등의 업무
다. 1962년
- 국립정신병원, 가톨릭부속 성모병원
-> 정신질환자 진단과 치료 과정에 사회복지사 참여
2) 도입기
- 1960년대
- 의료사회사업 공식적 업무 시작
- 1964년 세브란스 병원
- 1966년 성모병원, 계명의대부속 동산의료원
- 1968년 예수병원
- 1971년 한강성심병원, 안양정신병원, 혜동의원 정신과
- 도입기 특징
① 법률적 근거 없이 선교사들에 의해 비조직적으로 사회복지사 채용
② 초점 : 지역사회의 공중위생 문제 & 빈자의 경제적 지원
③ 수행업무 : 결핵약품, 물자지원(자선차원)
3) 제도화기
- 1970년~1980년대
- 1973년 종합병원 사회복지사 채용 규정 마련
대통령 제6863호(의료법 시행령 24조 2항 5호)
"종합병원에는 사회복지사업법의 규정에 의한 사회복지사업 종사자 자격 중에서 환자의 갱생, 재활과 사회복귀를 위한 상담 및 지도 업무를 담당하는 요원을 1인 이상 둔다."
가. 의료사회사업의 시작
- 1973년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 설립 (사회복지사의 재교육과 권익 신장 도모)
- 1974년 이화여대부속병원, 서울기독병원, 고력대부속병원
- 1975년 성분도병원
- 1976년 서울 백제병원
- 1977년 대구 파티마병원, 국립보훈병원
나. 의료보험 도입의 영향(1977년)
-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치료 및 상담활동에 대한 보험수가 청구 인정
-> 개인력 조사, 가정방문, 사회사업지도, 사회사업조사
-> 정신과 중심의 단과 병원에 사회복지사 채용 증가
- 1978년 부산 한병원
- 1979년 부산 메리놀 병원 - 1980년 부산 아동병원
- 1982년 인제대부속 백병원
- 1983년 서울 적십자병원, 영동세브란스병원, 목포 성골롬병원, 마산 고려병원
* 의료보험 시행으로 의료욕구의 급격한 증가
-> 의료의 질 저하 우려 : 의료의 질 관리 필요성 제기
다. 병원표준화 심사제도 도입(1983년)
- 1981년
-> 최초 ‘병원표준화 심사’ 에 의료사회사업 부분 포함 (사회복지사 채용 계기 마련)
- 병원 내 사회사업 실 또는 과로 편성 -> 의료사회복지실천의 기반 조성
4) 전문화 및 확장기
- 1990년대 이후
- 전문적 서비스 제공의 기반 마련
- 1990년대 후반 (대기업의 병원 사업 참여)
-> 현대아산병원(현대), 아주대학병원(대우), 삼성강남병원(삼성) : 의료기관 간의 경쟁 체계 구축
가. 1992년
- 골수이식 기관 인정 기준 -> 사회복지사 참여 제도화
"훈련된 간호사, 사회복지사, 영양사, 기타 필요 인력이 상근한다."
나. 1994년
- 재활의학과 사회사업 수가 보험 인정
『의료보험 요양급여 기준 및 진료수가 기준』
- 3개항목 : 개인력 조사, 사회사업상담, 가정방문
다. 1995년
- 의료기관서비스평가제도(의료사회복지 부분 포함)
- 정신보건법 제정
라. 1997년
- 정신보건 전문요원 양성(수련제도 법제화)
(정신보건간호사,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마. 1999년
-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시행령
" ... 장기 등의 적출·이식을 위한 상담·연락 업무 등을 담당하는 간호사와 사회복지사 1인 이상을 두어야한다."
바. 1990년 이후
- 여러 가지 제도 시행 : 의료사회복지실천의 발전 기틀 마련
* 현재, 의료사회복지사
=> 각 기관(임상과)의 필요에 의해 장기이식, 암 환자에 대한 개입, 호스피스 프로그램, 화상 환자, 절단 환자, 당뇨환자, 심장환자 등 다양한 영역에서 개입 확대
- 의료사회복지사 수련제도(법적으로 제도화 되지 못함)
-> 1991년 서울 아산중앙병원 (1명), 1년간 인턴제도 시작
-> 1995년 아주대병원, 의정부 성모병원 확대 실시
-> 2002년 삼성서울병원 시행
- 1년간 수련 과정 이수자에 대한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 회장 명의 수료증 발급
- 2021년 국가자격-수련시작
부산디지털대학교 의료 사회복지 실천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의료사회 복지실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사회복지의 표준, 기준, 지표 (0) | 2022.07.15 |
---|---|
의료사회복지의 기능과 직무 (0) | 2022.07.15 |
서구의 의료사회복지 역사 (0) | 2022.07.15 |
의료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용어 (0) | 2022.07.15 |
건강보호체계와 의료사회복지실천현장 (0) | 2022.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