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료사회복지실천의 기원적 활동
1) 비조직적 봉사, 부녀봉사대의 활동
가. 종교지도자 & 종교집단
- 육체적 고통을 갖고 있는 개인 or 가정에 개입하는 차원
-> 14C 초 영국의 일부 교회에서 병원형태의 수도원&구빈원 설립 : 빈자, 맹인, 장애인, 노인, 질병자 등을 수용·보호 형태의 활동
나. 부녀봉사대의 활동
- 런던의 자선조직협회(1869) 개설
-> 우애방문원(friendly visitor) or 부녀봉사대(lady almoner)
업무
① 사회조사 : 자선의 수급 여부 확정(가정방문)
② 빈곤환자의 사회복지기관 or 의료기관 의뢰
2) 간호사의 봉사활동, 정신병원 환자의 사후지도
가. 간호사의 봉사활동
- 의료사회복지실천의 기원
-> 1869년 뉴욕(New York), 간호사의 심리·사회적 문제에 대한 봉사활동
① 빈곤가정 방문 : 가족위로 & 환자로 인해 생긴 가족문제 개입
② 환자의 퇴원 후 지속관리
나. 정신병원 환자의 사후지도
- 정신요양원 퇴원 환자의 사후 지도 운동
- 1880년, 영국 퇴원환자에 대한 퇴원계획 & 사후지도
① 위탁가정 & 사회복지시설 & 요양원 등에 의뢰
② 퇴원한 환자들의 지역사회 적응 및 직업 알선
③ 가정방문 및 필요한 보호 서비스 제공, 가족 지도 => 정신건강사회복지의 기초
3) 의과 대학생의 봉사활동
- 1920년 존스홉킨스 대학(볼티모어) 에머슨 박사 -> 자선기관에 봉사활동 하도록 함
① 환자의 전인적 이해
② 질환에 따른 환자의 심리적·사회적·경제력 조건의 영향력 이해
2. 서구의 의료사회복지실천 역사
1) 태동기
가. 시기
- 1905년 이전까지 (자선조직협회, 인보관 운동)
- 18C, 산업혁명, 도시빈민의 슬럼가 형성, 빈곤 환자 증가
나. SW의 역할
- 위생교육 : 공중보건 문제 규명시작 – 비위생적 환경
ex) 결핵, 유아 사망, 매독, 소아마비 등
- 의료구제 : 빈곤환자 & 공중보건(위생)의 문제 갖고 있는 사람
-> 병원 연계 및 상담하는 역할
ex) 정신병원 & 시립병원 & 요양원 등
- 병동청소 : 병원에 빈민 환자들 급증
환자의 의료비 지불능력 평가(의료구제 적합 여부 판단. Almoner)
2) 도입기
- 1905년~1930년대 이전
- 근대적 의미의 의료사회복지실천이 시작된 시기
- 메사추세츠병원(1905, 캐봇 Cabot)
-> 질병의 근원 : 생리적 원인 + 사회적 원인
ex) 소화불량 어린이 (어머니에 대한 교육지도)
-> 펠튼 Pelton(간호사) 고용 : 의료사회복지 시작
주요 업무 – 치료 방해할 수 있는 사회적 요인 제거
- 의료 영역의 변화 : 환자 & 가족 협력
- 각 병원에 사회복지사 채용되기 시작
① 환자의 사회적 문제 조사, 보고, 완화시키는 역할 수행
② 의사의 환자 치료를 도와주는 사람으로 인식
- 1918년 : 미국병원 사회복지사협회 설립
- 1921년 : 미국 사회복지사협회 설립 - 1924년 : 미국정신의학 사회복지사협회
- 1920년대 중반 : 미국병원협회에서 공식적으로 의료사회복지실천 용어 소개
=> 300여개의 병원에 사회사업부서 설치 : 의료사회복지실천의 토대 구축
3) 제도화기
- 1930년~1960년대 이전
- 의료팀의 한 전문가로 인식 / 제도화가 이루어진 시기
- 1930년대(미국), 1000개의 병원 사회사업 부서 설치 -> 1명~50명 사회복지사 활동 시작
- 1930년대 세계적 대공황 시기
① 정신상태, 감정 신체 기능에 장애 준다고 인식 : 신체와 정신의 상호관련성 대한 연구가 의학의 중심
② 이에 의료사회복지서비스의 관심 영역 변화
환자의 외적문제(빈곤) 내적문제(심리적)에 관심
<< 1930년대 대공황의 시기 >>
환자가 심리적, 정서적으로 편안하면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욕을 갖게 된다고 생각함.
따라서, SW는 질병과 관련된 사회적 환경 뿐 아니라 환자의 감정을 보다 깊이 이해하려고 노력함.
대상도 빈곤자 뿐 아니라 심리적ㆍ사회적 문제를 가진 환자로 확대 이에, 정신건강사회복지 발달(정신분석이론 심취) -> 의료사회복지와 정신건강사회복지 분리
- 제2차 세계대전
-> 부상자 & 장애인 재활 중요성 강조, 치료의 공동 보조 필요성 제기 => 보건의료 팀 일원으로 사회복지분야 전문성 인정받는 기틀 마련
- 1940년대 : 의료사회복지 저널 발간
- 1946년 : 정신보건법 제정
- 1965년 : 미국 의료보장제도 제정
-의료사회복지수요증가
ex) 메디케어(medicare)&메디케이드(medicaid)
-> 노인, 장애인, 빈곤층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
4) 전문화 및 확장기
- 1960년~1980년대 및 그 이후
- 의료사회복지 전문직으로 자리 잡게 된 시기
- 1970년대 :
① 사회복지사의 인식향상
② 전문의료사회복지실천 영역확대 시기
- 1970년대~1980년대 초반 : 전문직으로 확고한 매김
- 배경 : 다양한 이론 도입
-> 문제해결에 기초한 과업중심이론, 행동수정, 분석치료, 자아심리치료, 위기개입, 가족치료 등 다양한 접근 시도
- 표준화를 위한 노력 : 1973년 병원 승인프로그램에 사회복지서비스 추가
-> 의료사회복지서비스 표준화된 계기(병원표준화 심사)
- 병원 표준화심사(병원신임제도)
-> 목적
① 의료의 서비스의 수준을 향상
② 환자에게 적정한 진료를 제공
-> 평가기준
① 의사의 자격
② 조직과 활동
③ 의무기록
④ 진단 및 시설시설 기준 평가
- 석사학위 소지자의 채용과 적자 감축법
① 사회보장법개정(1978)
: 사회복지사 병원채용의 합법화 계기 말기 신장질환자에게 급여 제공
→ 기금 지원조건 : 석사학위 이상의 사회복지사 채용
② 적자감축법(1983)
: 포괄수가제(DRG) 시행 (1980년대 의료비의 상승에 대처)
- 단기치료
- 사회복지사 : 장기 재원 환자 & 문제 환자의 퇴원계획 관여
부산디지털대학교 의료 사회복지 실천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의료사회 복지실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사회복지의 기능과 직무 (0) | 2022.07.15 |
---|---|
한국의 의료사회복지 역사 (0) | 2022.07.15 |
의료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용어 (0) | 2022.07.15 |
건강보호체계와 의료사회복지실천현장 (0) | 2022.07.15 |
건강과 질병에 대한 이해 (0) | 2022.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