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건강과 질병에 대한 생의학적 ·사회문화적 접근
1) 생의학적 접근
판단기준 | 생의학적 검사결과 ex) 혈액 & 소변 & 혈압 & 세균 검사 |
의료목적 | - 질병 & 건강의 구분 - 정상(건강)으로의 회복 |
질병원인 | 감염 & 신체기능 이상 | 판단주체 | 전문인력 ex) 의사 – 기술자 |
2) 사회문화적 접근
판단기준 | - 사회기능 or 역할수행상태 - 규범으로부터 일탈정도 ex) 사회적 역할 & 기능 수행여부 - 사회는 유기체로 상호의존적 구조 -> 각 요소는 각 역할 부여 -> 사회적 지위(사회적 기대) ex) 고혈압 & 당뇨 |
판단주체 | 사회주도집단 준거집단 |
2. 건강과 질병의 개념
1) 질병과 질환 및 병의 구분
가. 질환(disease)
- 판단기준 : 생의학적 차원
-> 생·화학적 검사 결과 이상이 있는 상태
- 의료의 목적 : 초점 – 생·화학적 검사 결과의 정상회복
의료인 = 기술자
- 질환의 원인 : 개인의 잘못된 건강관리
나. 질병(illness)
- 판단기준 : 사회적 차원
: 주관적 개념 (검사결과와 무관)
-> 사회적 역할 수행정도 정상이면 건강 !
- 의료의 목적 : 초점 – 사회적 역할 정상적 수행 도모
다. 병(sickness)
- 판단기준 : 사회적 차원
: 사회적 낙인이 부여된 상태 ex) 알코올 중독
- 개입방법의 변화 : 과거 - 죄 (종교적 개입 & 처벌)
현재 - 병 (치료)
ex) 정신질환 & 비만 & 아동학대 등
2) 건강의 정의
신체적 측면 | 심리적 측면 | 사회학적 측면 |
한 세포가 다른 세포들과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는 것 | 개인과 환경이 완벽하게 조화를 이룬 상태 | 개인의 역할수행 상태가 적절한 수준에 이른 것 |
- Twaddle : 건강의 연속성
- 의료문제 : 신체적 + 심리적 + 사회적 요인과 복합적
- 의학적 문제 – 의료인, 심리적사회적 기능상 문제 – 사회복지사의 개입필요
=> 상호관련이 있음
부산디지털대학교 의료 사회복지 실천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1학기 강의
728x90
반응형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의료사회 복지실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의료사회복지 역사 (0) | 2022.07.15 |
---|---|
서구의 의료사회복지 역사 (0) | 2022.07.15 |
의료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용어 (0) | 2022.07.15 |
건강보호체계와 의료사회복지실천현장 (0) | 2022.07.15 |
의료사회복지의 생태체계 관점 적용 (0) | 2022.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