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환경속의 인간
1) 생태체계 관점
가. 개념
- 생태적 관점(ecology) + 체계이론(system theory)
- 생태학(ecology) 초점 -> 적응
- 체계이론(system theory) 초점 -> 상호작용
나. 특징
- 통합론적 관점 & 환경속의 인간
- 인간 & 환경 분리 불가. 상호작용. 문제해결 => 환경적응 or 환경변화 다. 네 가지 수준의 환경체계
미시체계(micro system) | 개인이 가장 인접한 수준의 환경 직접적 & 대면적 상호작용 ex) 집, 가족, 이웃, 또래 친구, 학교, 교회 |
중간체계(meso system) |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두 가지 이상의 미시체계간의 관계 & 상호작용 ex) 가정 & 학교, 가정 & 또래집단 or 학교 간의 관계 |
외(부)체계(exo system) | 개인과 직접 상호작용 X but, 개인발달에 영향 미치는 사회적 환경 ex) 父母직장환경 : 자녀양육에 강력한 영향, 지방정부 |
거시체계(macro system) | 간접적 영향, 강력(미시 & 중간체계에 영향) ex) 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관습, 중앙정부 등 |
2) 개인과 환경에 대한 이중초점
- 환경속의 인간
- 문제원인 : 개인 or 환경 어느 한쪽의 결함 아님
: 개인적 요소 & 환경적 요소 간의 상호작용의 문제
- 문제해결방법 : 개인의 변화 – 성장 잠재력 강화
: 사회환경의 변화 – 환경의 반응 증진
3) 사회복지사가 관여해야 할 영역
가. Zastrow
- 개인차원 : 문제해결능력 & 적응능력의 개발
- 인간과 체계관계 : 자원 & 서비스 & 기회의 연계와 상호작용
- 체계차원 : 개인욕구 충족 위한 개혁
나. Bartlett
- 사회복지실천의 공통기반 : 개인과 환경에 대한 이중초점
- 개인의 대처능력, 개인에 대해 환경이 요구하는 것 사이의 균형
다. 전미사회복지사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 상호작용 촉진 : 개인과 환경 간 상호작용 촉진
- 개인능력 확대 : 문제해결능력, 대처능력 향상
- 정책에 영향 : 사회 및 환경과 관련된 정책
2. 생태체계 관점의 적용
1) 의료모델과 생·심리·사회모델
- 의료모델 : 개인 육체 & 정신의 질병에 초점
- 생·심리·사회모델 : 건강문제와 인과관계인 사회적 환경 조율에 초점
정서적 고통 -> 육체적 건강문제
사회적 상황 & 생활변화 ex) 이혼, 별거, 실업 등
가. 의료보호 & 건강보호
- 의료보호(medical care) : 협의의 개념 -> 질병과 손상의 회복
- 건강보호(health care) : 광의의 개념 -> 질병의 예방, 치료, 재활
나. 치유 & 보호
- 치유(curing) : 건강상태를 교정하는 노력. 급성문제 치료에 초점.
- 보호(caring) : 건강한 성장과 발달 증진.
: 일시적 문제가 있는 동안 고통 경감, 기능 유지.
: 문제가 영속적이거나 말기인 경우 편안함, 기능을 최대화 하도 록 지지적 원조에 초점
부산디지털대학교 의료 사회복지 실천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의료사회 복지실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의료사회복지 역사 (0) | 2022.07.15 |
---|---|
서구의 의료사회복지 역사 (0) | 2022.07.15 |
의료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용어 (0) | 2022.07.15 |
건강보호체계와 의료사회복지실천현장 (0) | 2022.07.15 |
건강과 질병에 대한 이해 (0) | 2022.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