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료사회복지실천 관련 용어
1) 의료사회사업과 의료사회복지실천
병원사회사업(Hospital Social Work) -> 의료사회사업(Medical Social Work)
-> 의료사회복지실천(Social Work in Health Care) => 의료사회복지의 개입 영역, 역할, 기능 등의 변화
가. 의료(Medical) < 건강(Health)
- 의료(Medical) : 질병의 진단 & 치료에 국한
- 건강(Health) : 질병의 치료&예방&재활, Client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면 강조
나. 치유(Care) < 돌봄(Care) & 관리(Management)
- 치유(Care) : 수리(repair)의 의미
But, 오늘날의 질환은 Acute or Cronic?
- 돌봄(Care) & 관리(Management) : 고통 경감 & 기능유지
- 장애가 있는 상태라도 질병의 치유+재활+추후관리 포함
2) 진료과와 의료사회복지실천
- 개입 임상과의 환자 군의 특성에 따른 구분
가. 정신건강사회복지
- 정신장애 및 가족에 대한 접근
나. 재활의료사회복지
- 재활의학과 환자
다. 의료사회복지
- 정신건강의학과와 재활의학과 이외의 나머지 임상과 환자군
라. 지역사회건강복지
- 의료사회복지실천의 단위
마. 군의료사회복지
- 군병원 내 질병치유를 위한 상담, 직업군인의 가족상담
3) 임상사회사업과 의료사회복지실천
- 임상(clinical) : 침상 옆(at bed side)을 의미
가. 정신건강사회복지와 임상사회복지
- 외래환자 정신건강 세팅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 혼용 사용
- Client에게 직접적 심리사회적 실천
나. 임상사회복지와 의료사회복지실천
- 임상(Client)
- 지나치게 의료적 의미 강조 / 치료에 초점
- 환경속의 인간
- 사회복지의 정체성에 불일치
- 실천범위의 제한 초래
2. 의료사회복지실천의 개념
1) 미시적 개념, 거시적 개념
가. 미시적 개념(협의)
- 주로 의료적 측면에서 접근
- 초점 : 질병의 원인 & 치료에 방해가 되는 개인 내면 문제 요인 제거
- 목적 : 의료를 보다 효과적, 능률적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돕는 것
(의료진의 보조적 역할)
- 활동영역 : 병원 & 의료시설 내 활동 중심
- 단점 : 의료진의 역할 보조, 임상 지향적 활동, 사회복지의 활동 영역 축소
나. 광의의 개념(광의)
- 주로 건강의 측면에서 접근
- 초점 : 질병의 치료(회복)와 예방, 사후관리(재활), 의료제도와 정책
- 목적 : 질병의 치료와 회복 뿐만 아니라 예방과 재활을 포함한 건강에 대한 포괄적 접근 도모
- 활동영역 : 병원 & 의료시설 내 지역사회
2) 의료사회복지실천의 두 개념 비교
- 미시적 접근 + 거시적 접근의 상호보완적 관계 => 의료사회복지실천
∴ 의료사회복지실천이란 무엇인가?
- 질병을 가진 환자와 가족,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 그들이 가진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고
- 입원 시 뿐만 아니라 입원 전과 퇴원 후에도
- 사회적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 개인에 대한 접근 뿐만 아니라
- 의료제도나 정책차원의 접근을 통하여
- 의료사회복지실천의 목적 달성을 돕는 사회복지의 전문적 실천활동
구분 | 미시적 개념 | 거시적 개념 |
목표 | 질병의 치료 건강회복 유지 | 질병예방, 건강증진 지역사회 의료복지 달성 |
의료의 개념 | medical care | health care |
서비스의 특성 | 환자의 임상치료 지향 | 주민 건강수준 유지 및 개발 지향 |
사회복지사의 활동영역 | 의료시설 내(병원, 진료소 등) | 의료시설 or 의료문제 갖고 있는 지역,의료제도 및 정책결정 기관 |
서비스 대상 | 환자, 가족, 의료진 | 지역주민, 의료환경(의료기관, 의료제도, 의료정책) |
서비스내용 | - 질병 관련 심리·사회적 문제 해결 - 건강회복 및 유지, 사회적응을 위한 원조 |
- 보건의식 개발과 건강한 생활태도 유지 - 환경개선(위생, 방역) - 의료자원발굴, 활용 - 보건정책, 제도의 결정 및 시행에 영향력 행사 - 의료 문제 해결을 위한 자문 |
사회복지사의 위치 | 임상치료 팀 일원 | 지역사회 보건의료 팀 일원 |
주요기법 | case work, group work, family therapy | group work, community organization,research |
용어 | medical social work | social work in health care |
3. 의료사회복지실천의 전제와 특징
1) 의료사회복지실천의 기본 전제
가. 사회적·문화적·경제적 요인
- 건강상태, 질병의 예방 및 회복에 중요
나. 질병과 관련 행동
- 개인 & 가족에 영향 : 갈등 & 불균형 & 대처능력 저하 -> 가족구성원 전체에 서비스 제공 필요
다. 단독적 치료(신체적)만으로는 치료의 불완전함
-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개입 필요
-> 사회적 지원, 상담서비스
라. 의료서비스의 제공 및 활용의 문제
- 의료 관련 제도 & 정책 차원의 접근 필요
마. 전문직으로 구성된 의료 팀의 상호 협력
- 복잡한 의료 문제 & 전인적 접근 위해 다양한 전문가의 팀 접근 필요
2) 의료사회복지실천의 특징
- 팀워크 접근 강조. 전문직간 분화 & 협조
- 환자 & 가족 하나의 단위(체계)로 이해 - 입원 전, 입원 기간, 퇴원전·후 서비스 제공
- 포괄적·전인적 접근 강조
부산디지털대학교 의료 사회복지 실천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의료사회 복지실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의료사회복지 역사 (0) | 2022.07.15 |
---|---|
서구의 의료사회복지 역사 (0) | 2022.07.15 |
건강보호체계와 의료사회복지실천현장 (0) | 2022.07.15 |
건강과 질병에 대한 이해 (0) | 2022.07.15 |
의료사회복지의 생태체계 관점 적용 (0) | 2022.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