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건강보호체계의 구분과 의료사회복지실천현장
1) 건강보호체계
가. 1차 보호서비스 (Primary care)
- 질병 예방 & 조기 개입 ex) 공공건강기관, 외래클리닉
나. 2차 보호서비스 (Secondary care)
- 질병 치료 & 조정(control) -> 이미 악화된 상태의 건강문제의 회복
ex) 병원 & 입원치료
다. 3차 보호서비스 (Tertiary care)
- 요양 & 보호 -> 치유 어려운 만성적 or 말기 Client
-> 남은 기능의 최대화 지원 & 편안함의 제공
ex) 재활시설 & 요양시설 & 호스피스 프로그램 & 재가시설 등
2) 의료사회복지실천현장
가. 일반의료 및 응급병원, 종합병원
나. 정신병원
다. 재활센터
라. 장기보호시설 (요양원, 호스피스, 성인주간보호프로그램)
마. 1차 보호 분야 (HMO, 응급보호센터, 개원의)
바. 가정건강보호 프로그램
=> 우리나라 : 종합병원 & 정신병원 중심
3) 의료사회복지의 개입 대상의 확대
가. 의료분야에서의 사회복지사 개입 요구 증가
- 질병의 원인 or 회복 지연 & 악화시키는 요소로서 -> 심리·사회적 과정에 대한 인식 증가
나. 의료사회복지의 개입 대상 확대
- 질병에 대한 낙인 해소 (AIDS, 간경화)
- 스트레스 대처 방법 (심장병)
- 지역사회내 사례관리
2. 의료사회복지의 체계와 분석틀
1) 거시체계, 중간체계, 미시체계
가. 거시체계
- 의료환경
: 의료제도 or 의료기관 운영 및 종사자, 환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외적체계
: 보험체계, 의료전달체계, 질보장 체계 등 ex) 건강보험, 의료급여 등
나. 중간체계
- 병원(의료기관)체계
: 의료사회복지실천의 기본이 되는 체계, 다양한 전문가가 활동하는 체계 => 전문영역 간 조화와 협력 필요
- 지역사회 : 지역사회 내 자원 발굴 및 연계 & 사회로의 재진입 가능 방해요인 제거
ex) 입원 시 : 재정지원, 특정 프로그램, 집단 옹호 ex) 퇴원 시 : 후 주거시설 or 재활 프로그램
다. 미시체계
- 환자 : 환자는 주변 체계의 영향으로 발병하기도 함 질병으로 인하여 관련 체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함
- 가족 : 환자 회복 촉진 or 저해할 수 있음
- 집단 : 개인은 집단에 소속 하는 욕구 가짐 but, 질병은 기존의 사회관계 파괴
ex) 개인의 과제수행수행능력, 수입 등
2) 의료사회복지의 분석틀
가. 기관에 대한 이해
- 사회보장체계 내에서 의료사회복지와 관련된 사항
ex) 건강보험, 의료급여, 노인장기요양보험
- 의료환경의 변화와 다양한 의료제도에 관한 것
ex) 포괄수가제, 병원표준화 심사제도, 의료기관 인증평가제도
나. 클라이언트에 대한 이해
- 클라이언트의 특성 파악 및 이해
- 클라이언트 개인, 가족, 지역사회, 집단
다.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이해
- 의료사회복지사로서의 윤리, 지식, 기술, 기법 등
부산디지털대학교 의료 사회복지 실천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의료사회 복지실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의료사회복지 역사 (0) | 2022.07.15 |
---|---|
서구의 의료사회복지 역사 (0) | 2022.07.15 |
의료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용어 (0) | 2022.07.15 |
건강과 질병에 대한 이해 (0) | 2022.07.15 |
의료사회복지의 생태체계 관점 적용 (0) | 2022.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