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881)
정신건강과 정신장애 1. 정신건강의 개념 1) 세계보건기구(WHO) - 일상생활에서 언제나 독립적, 자주적으로 처리해 나갈 수 있고 질병에 대해 저항력이 있으며 원만한 가정생활과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 상태 2) 미국 정신위생위원회 - 정신적 질병에 걸려 있지 않은 상태만이 아니고 만족스러운 인간관계와 그것을 유지해 나갈 수 있는 능력 => 정신건강이란, 정신적으로 병적인 증세가 없을 뿐만 아니라, 자기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있으며, 자주적이고 건설적으로 자기 생활을 처리해 나갈 수 있는 성숙한 인격체를 갖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2. 정신장애, 정신질환, 정신병의 구분 1) 정신장애 가. 정신 장애(mental disorder) - 개인의 인지·감정조절·행동에서 나타나는 임상학적인 의미 있는 장애를..
우리나라 정신건강사업의 전달체계 1. 우리나라 정신건강사업의 전달체계 1) 정신질환자현황과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실태 - 정신질환 평생 유병률 : 성인 4명 중 1명(25.4%) - 정신건강서비스 이용률 : 2016년 기준 일반인 6.9%, 정신질환자 22.2% 2) 정신건강증진기관 현황과 주요기능 가. 정신건강증진기관 현황(보건복지부. 2020년 기준) - 정신건강복지센터 : 243개 - 정신의료기관 : 1,449개 - 정신재활시설 : 349개 - 중독관리 통합지원센터 : 50개 - 정신요양시설 : 59개 => 전국 2,555개 나. 정신건강증진기관의 주요기능 - 정신건강복지센터 : 지역사회 내 정신질환의 예방, 정신질환의 발견 & 상담 & 사례관리, 지역사회정신건강 사업기획&조정·정신건강증진 시설 간 연계체계 - 정신의료기관 : 국공립..
우리나라 정신건강사업의 현황 1. 정신건강복지법의 의의 - 산업화, 정보화, 도시화, 핵가족화, 생존경쟁, 스트레스 등의 급속한 사회변화 => 정신질환의 급속한 증가 - 미국, 유럽, 호주에서 정신건강에 대한 책임을 ‘사회’에 있다고 보았음. -> 1960년대 정부주도 지역별 정신건강복지센터 설치·운영 -> 정신질환 조기발견·치료·재활 2. 정신건강복지법의 형성과정 1) 최초의 입법 시도(1968년) - 대한신경정신의학회·대한의학회 ‘정신위생법’안 건의 => 기각 - 1978년, 1980년 기각 2) 체계적 정신건강정책 필요성 제기 - 1983년 ‘기도원’ 수용 정신질환자에 대한 비인간적 인권침해 보도 3) 정신질환종합대책 수립(1984년) - 정신질환자관리체계 확립 - 1차 기관 : 정신과 의원, 보건소(보건지소), 상담소 -> ..
지역사회 정신건강 1. 지역사회정신건강의 이해 1) 지역사회정신건강의 정의 - Community Mental Health - ‘지역사회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정신건강 활동’ Bloom, 1984 - 지리적 영역에 기초하여 - 집합적 동질성을 가진 구성원들 상호행동 - 공동 욕구 충족, 공동 목적 성취 - 사회적 단위에서 정신건강 지키고 유지 활동 2) 지역사회정신건강의 기본원칙 가. 최소한의 규제 원칙 - 격리·수용 대단위 시설 입원치료 -> 자유, 친근한 환경에서의 치료 & 재활 & 보호로 전환 나. 보통화/정상화 원칙 - 격리·수용 대단위 시설 입원치료 -> 생활리듬, 생활환경, 주거의 보통화 -> 보통 사람의 생활조건과 비슷한 상태의 생활조건 & 자율 보장 다. 사회통합 원칙 - 격리·수용 대단위 시설 입원치료 -..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과 낙인 및 극복방안 1.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과 낙인 1) 원인 & 경과 & 치료에 대한 편견과 낙인 가. 원인에 대한 편견과 낙인 - 군대, 가족의 양육방식의 문제, 유전, 충격, 가족 내 종교의 다름 등 나. 경과에 대한 편견과 낙인 - 괴상하다, 위험하다, 결혼하면 좋아진다 등 다. 치료에 대한 편견과 낙인 - ‘바보가 된다’, ‘치료가 되지 않는다’ 등 2) 편견과 낙인의 결과 가. 조기치료 기회 박탈 - 무분별한 종교 & 무속의 활용 2. 편견과 낙인의 형성과정 1) 매스컴의 보도태도 가. 정신질환자 = 잠재적 범죄자 나. 선정적, 흥미, 시선유도 2) 정신질환에 대한 무관심 가. 상식 벗어난 행동 - 두려움, 회피 3) 수사기관 종사자 의식 가. 미제 & 잔인한 사건 문제 - 정신질환자 지목 3. 편견과 낙인의 ..
우리나라 정신건강사회복지의 발달 1. 우리나라 정신건강사회복지의 발달과정 1) 태동기(1945년~1969년) : 의료모델 가. 1945년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발족(MSW: morgan) - 청소년 문제 관심 - 정신의학, 심리학, 사회복지학(SW: 권기주) 나. 1958년 - 서울시립아동상담소 개설 - 팀접근 시도 : 정신의학·사회복지(하상락 교수)·심리학·법률 다. 1962년 - 국립 정신병원 개원. MSW(김원진) - 정신건강사회사업 서비스 & 실습 라. 1963년 - 성모병원 신경정신과 전임 MSW(이미영). 개인력 조사 & 가족상담 마. 1968년 - 중앙대 부속 필동 성심병원 신경정신과 개설. MSW(정의방, 박순자) - 개인력 조사, 집단지도, 가족상담, 가정방문 바. 1969년 - 계명대부속 동산기독병원 신경정신과. MS..
서구 정신건강사회복지의 발달 1. 영국 정신건강사회복지의 발달과정 1) 태동기(1880년대~1920년대) 가. 1880년대 - 정신병원 퇴원 환자의 거주지 알선 - 위탁가정, 사회복지시설, 요양원, 지역사회적응위한 가족지도, 직장알선 등 나. 1920년대 - 정신건강운동, 아동상담소 중심 전개 - 타전문가들과의 팀 작업 : 정신장애 아동 2) 발전기(1930년대) 가. 정신의학(대도시 중심), 정신병원 중심 발달 - 사회력조사, 사후 서비스, 환자 & 가족 지원, 퇴원 지원 - 병원 내 타 서비스 지원(행정 등), 치료 및 조사, 연구 참여 3) 정착기(1930년~1959년) / MSW 전문적 훈련 가. 1930년 - 영국정신건강사회복지사협회(BAPSW) 창립 나. 1944년 - 에든버러대학교 정신건강사회복지훈련센터 설치 다. 19..
정신건강영역에서의 팀워크 1. 정신건강영역에서의 팀 구성원 1) 정신의학자 가. 치료에 대한 종합적인 치료 전략 등 - 사회적, 법적으로 인정된 책임자 나. 생물학적 관점 - 병리학적, 발생학적, 해부학적, 생화학적 소인 등 다. 진단 & 약물치료 & 정신치료 2) 정신건강전문요원 가. 법적근거 - 정신건강복지법 제 17조 2항 나. 정신건강전문요원 업무의 범위 및 한계 고유업무 공통업무 정신건강 사회복지사 1. 정신질환자에 대한 개인력조사 및 사회조사 2. 정신질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사회사업지도 및 방문지도 1. 정신재활시설의 운영 2. 정신질환자 등의 재활 훈련, 생활 훈련 및 작업 훈련의 실시 및 지도 3. 정신질환자와 그 가족의 권익 보장을 위한 활동지원 4. 진단 및 보호의 신청 - 자해 or 타해의 위험 의심 정신질..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