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881)
이마고부부치료 - 성격형성단계 1. 이마고 부부치료의 핵심 - 이마고: 어린 시절 주 양육자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이미지의 총체 - 구성요소 : 부모나 형제, 양육자에 대한 인상, 의미 있는 상호작용, 상처받은 기억 등의 합성으로 이미지 형성 - 인상의 예 : 양육자의 목소리, 웃는 모습, 어깨 모양, 몸동작, 독특한 분위기, 재능과 관심, 화났을 때 얼굴색 등 - 양육자에 대한 정보와 성격, 특성 등의 자료를 해석하지 않고 모두 혼합하여 두뇌에 저장, 이마고 형성 2. 힘겨루기(어린시절 상처와 부부갈등) - 결혼 전 ‘낭만적 사랑’은배우자의 부정적 모습을 과소평가하게 함. ‘결혼 전이라 마음이 복잡해서 그럴 거야. 결혼하고 안정되면 더 관심을 줄 거야.’ - 결혼 후 ‘낭만적 사랑’이사라지면 부정적 모습이 보이면서 고통 시작되고,..
이마고부부치료 1. 이마고 부부치료 - 부부는 스스로를 치료한다! - 부부갈등에는 아직 치유되지 않은 어린 시절의 상처가 있다! - 부부는 서로에게 상처를 주는 무의식적 힘겨루기 중! - 상담 중에 ‘이마고부부대화법’을훈련한다! - 부부상담사는 이마고부부대화법을 통해 부부관계를 안전한 수준까지 이르도록 돕는 코치역할! 2. 이마고 부부치료란? - HarvilleHendrix와 Helen Hunt에 의해 1988년에 개발 - 부부관계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원리를 강조해 이마고부부치료라고 명명 - 다양한 이론의 통합 : 정신분석이론, 대상관계이론, Jung의 분석심리학,애착이론, 사회학습이론 등 다양한 관점을 통합 3. 이마고 부부치료 개관 - 배우자가 원하는 것을 주는 방법을 배워 자신과 배우자를 함께 치료하는 것 -..
독서치료 / 영화치료 1. 이야기치료 관련분야 - 이야기 치료 - 시치료 / 글쓰기 치료 - 독서치료 - 문제, 진단 그에 관한 처치 등을 이해하는데 유익한 도서를 매개체로 하는 치료 - 심리적 성장 및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모든 독서 관련 행위(상담학 사전) # 책을 활용 # 독서를 상담에 활용 # 책을 사용하여 개인의 문제를 해결 - 문학치료 - 영화치료 2. 독서치료 - 문제, 진단 그에 관한 처치 등을 이해하는데 유익한 도서를 매개체로하는 치료 - 심리적 성장 및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모든 독서관련 행위(상담학사전) 3. 독서치료의 과정과 기법 1) 동일시 - 등장인물 중 마음이 가는 사람 탐색 - 등장인물과 자신의 성격, 환경, 사건, 느낌, 감정, 사고 등을 탐색 - 책을 통해 등장인물에게 느끼는 전이를 이끌어냄 ..
이야기 치료 - 과정과 기법 1. 이야기치료의 과정 *1단계 : 문제의 경청과 해체 *2단계 : 독특한 결과의 해체 *3단계 : 대안적 이야기 구축 *4단계 : 대안적 정체성 구축 1) 문제의 경청과 이해(입장진술) * 가족의 문제를 경청 - 가족의 좌절, 절망, 슬픈 이야기를 시작 - 치료자는 가족이 빈약한 설명을 할 때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할 수 있게 격려 - 열린 자세로 가능성을 열어 놓은 자세 필요 * 사람과 문제를 분리 - 사람이 문제가 아니라 문제가 문제임 - 초기 이야기가 진행되는 동안 치료자는 문제를 내담자와 분리하고 객관화하기 위하여 문제에 이름을 붙이고 의인화, 외재화 작업(문제 표출) - 문제를 자신의 내면속으로 끌어들이는 행위를 경계하고 문제를 내담자의 경험과 일치 - 문제는 주어, 내담자의 삶은 목적어로 표현..
이야기 치료 - 전제 1. 이야기의 힘 - 우리의 삶은 이야기이다 - 이야기에는 줄거리가 있다 - 이야기에는 이미지가 있다. - 이야기에는 해석이 녹아있다 - 이야기에는 구멍과 틈이 있다. 2. 이야기 치료의 배경 - 이야기 치료와 함께 1990년대 이대표적인 인물 - 화이트(Michael White) - 엡스턴(David Epston) - 몽크(Gerald Monk) - 프리드먼(Jill Freedman) - 콤스(Gene Combs) 3. 대표저서 - 이야기 방법을 통한 치료적 결말, 1990 - 이야기치료 : 선호하는 이야기의 사회적 구성, 2009. 이야기치료의지도, 2010 4. 이야기치료(Narrative therapy) 5. 이야기 치료 - Story : 기승전결의 구조를 가진 말이나 글 - Narrative :..
해결중심적 단기가족상담 - 개입전략 1. 변화 - 해결중심 단기가족상담의 목표 그 자체 - 문제상황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묘사 - 문제에 대한 예외상황을기술 -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를 묘사 2. 변화를 이끄는 개입 - 내담자가 원하는 것을 찾게 하는 것 - 다른 것을 하게 하는 것 - 예외와 강점을 강조하는 것 - 다양한 관계 속에서 자신의 상황을 보게 하는 것 3. 개입전략 1) 첫회기후 개입전략 - 지난 번 상담 이후 변화에 대한 질문 - 긍정적인 변화에 대한 구체적이고 자세한 질문 - 긍정적인 변화에 대한 가치와 인정 - 앞으로의 변화에 대한 확신 2) 개선이후 악화 - 나빠진 상황보다 대처방법 질문 - 작은 해결책 - 치료간격 / 상담일정 조정 등 변화 - 상담관계 유형과 상담목표 재검토 예) 이번의 어려움과 과거의 어려움..
해결중심적 단기가족상담 - 상담기법 1. 해결중심단기가족상담의 목표 1) 상담목표 설정의 원리 - 해결 방안과 관련된 상담 목표를 스스로 설정하게 함 - 스스로의 노력을 위하여 내담자에게 중요한 것을 설정하게 함 - 자신이 무엇을 변화시켜야할지 모르는 것이 아니라 언어화 / 구체화하기 어려움 - 따라서 내담자 자신이 목표의 언어화 / 구체화가 중요함 - 가족 / 본인이 동의할 수 있는 목표 혹은 본인이 원하는 목표를 선정하도록 함 - 목표는 작게 그리고 쉽게 설정하게 함 - 성공의 경험은 희망을 주고 변화의 동기를 높여 주도록 함 2) 해결중심 단기 가족상담의 목표 - 내담자에게 중요하며 유익한 것 - 작고 사소한 것 - 구체적이며 명확하고 행동적인 것 - 문제를 없애는 것보다는 있는 것 바람직하고 긍정적인 행동에 관심두고 시작 - 목표를..
해결중심 단기가족상담 - 기본원리 1. 해결 중심적 단기 가족상담의 핵심 키워드 1) 개인상담과 가족상담 차이 * 개인 상담과는 다른 접근법 * 개인의 문제와 원인보다 가족의 시스템을 강조 * 문제와 변화에 대한 가족의 책임을 강조 * 문제행동의 수정보다 변화를 추구 ▶개인상담 : 선형론, 인과론전 관점 ▶가족상담 : 원형론, 체계론적 관점 구분 개인상담 가족상담 상담목표 성격이 재구성, 성격수정, 증상제거 등이 목표 가족기능의 향상, 변화 자체가 목표 행동변화 초점분야 무의식, 사고방식, 행동의 수정및 변화가 초점 가족 의사소통, 가족의 기능과 역할의 변화가 초점 문제 원인 성격, 무의식적 갈등, 잘못된 행동, 사고방식 등 개인의 문제 부부문제, 부모자녀문제, 고부갈등 등 관계 문제와 관계로 인한 개인의 문제 등 2) 단기상담과 장기상..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