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야기치료 관련분야
- 이야기 치료
- 시치료 / 글쓰기 치료
- 독서치료
- 문제, 진단 그에 관한 처치 등을 이해하는데 유익한 도서를 매개체로 하는 치료
- 심리적 성장 및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모든 독서 관련 행위(상담학 사전)
# 책을 활용
# 독서를 상담에 활용
# 책을 사용하여 개인의 문제를 해결
- 문학치료
- 영화치료
2. 독서치료
- 문제, 진단 그에 관한 처치 등을 이해하는데 유익한 도서를 매개체로하는 치료
- 심리적 성장 및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모든 독서관련 행위(상담학사전)
3. 독서치료의 과정과 기법
1) 동일시
- 등장인물 중 마음이 가는 사람 탐색
- 등장인물과 자신의 성격, 환경, 사건, 느낌, 감정, 사고 등을 탐색
- 책을 통해 등장인물에게 느끼는 전이를 이끌어냄
- 등장인물의 성격, 행동, 태도를 자기 내면에 받아들여 같은 감정을 증대시킴
2) 카타르시스
- 자기 마음속에 얽키고 설킨 답답함을 표현
- 등장 인물의 감정, 사고, 성격, 태도에 대한 감상을 표현 / 표출
- 자신의 문제와 함께 수반되는 분노나 좌절감, 슬픔 등 부정적 감정을 표현함으로 카타르시스 경험
3) 통찰
- 카타르시스 후 나타나는 객관적 인식을 통해 체득
- 등장인물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것을 통하여 통찰
- 자기만의 방식으로 문제 해결 모색
4. 영화치료
- 영화치료는 예술치료의 한 분야
- 영화 및 영상매체를 활용한 상담 및 심리치료 방법
- 필름치료(filmtherapy), 릴치료(Reeltherapy) 비디오치료, 비디오 워크라고 불리기도 함
5. 영화치료의 과정
- 영화보기
- 카타르시스
- 통찰
- 적용
6. 영화치료의 주제
- 가장 마음에 와 닿는 등장인물은 누구인가?
- 주인공이 나와 닮은 점은?
- 새롭게 이해되는 점은?
- 내가 주인공이라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대사)는 무엇인가?
- 이 영화가 나에게 주는 메시지는?
7. 치료적 영화보기
오락적 | 관점 | 치료적 |
줄거리 | ㅋ초점 | 인물 |
액션 | 왜에 대한 대답 | 관계 |
흥미 | 무엇은 얻는가 | 통찰 |
결과 | 중요관심사 | 과정 |
배우 | 누구를 보는가 | 자신 |
긴장 | 무엇을 하는가 | 분석 |
무의식적 / 정서적 | 동일시 방법 | 의식적 / 언어화 |
8. 영화치료기법
1) 지시적 기법
- 영화를 교육적 / 지시적 목적 사용
- 유사한 등장 인물을 통해 동일시
- 자신의 문제를 객관화
- 영화는 모델링
- 새로운 정보 제공
- 영화 자체가 강화
- 교육, 연수, 재활, 복지 등 응용
- 내담자의 자기 이해
- 가치관의 재구조화 / 확장의 역할
2) 연상적 기법
- 영화를 통한 감동 혹은 불편함
- 영화를 꿈 / 투사를 위한 도구
- 영화관람 후 자유연상의 도구 활용
- 어린 시절의 꿈 / 기억에 도달
- 연상적 접근과 퇴행을 통한 통찰
- 심리적 외상치료 / 재해석
3) 정화적 기법
- 영화를 통하여 웃음과 울음, 분노, 두려움 등 다양한 감정 경험
- 억압된 감정을 방출함으로 감정 정화
- 정서를 촉진함으로 영화 속 인물이나 상황에 동일시
- 동일시를 통한 감정의 증폭, 방출을 통하여 카타르시스 경험
- 카타르시스 경험을 나눔으로 친밀감(라포) 형성
- 내담자의 정서를 공감하고 이해
<요약>
1) 독서치료
- 독서치료는 기본적으로 책과 독서를 활용하여 개인의 문제를 해결하는 심리치료
- 책, 독서뿐 아니라 토론, 글쓰기, 그림 그리기 등 다양한 활동
2) 영화치료
- 영화치료는 영화 / 영상매체를 활용한 심리치료
- 영화보기, 카타르시스, 통찰, 적용 등의 과정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상담및 가족치료 강의정리 : 송종원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가족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마고부부치료 - 성격형성단계 (0) | 2022.06.10 |
---|---|
이마고부부치료 (0) | 2022.06.10 |
이야기 치료 - 과정과 기법 (0) | 2022.06.10 |
이야기 치료 - 전제 (0) | 2022.06.10 |
해결중심적 단기가족상담 - 개입전략 (0) | 2022.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