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변화
- 해결중심 단기가족상담의 목표 그 자체
- 문제상황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묘사
- 문제에 대한 예외상황을기술
-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를 묘사
2. 변화를 이끄는 개입
- 내담자가 원하는 것을 찾게 하는 것
- 다른 것을 하게 하는 것
- 예외와 강점을 강조하는 것
- 다양한 관계 속에서 자신의 상황을 보게 하는 것
3. 개입전략
1) 첫회기후 개입전략
- 지난 번 상담 이후 변화에 대한 질문
- 긍정적인 변화에 대한 구체적이고 자세한 질문
- 긍정적인 변화에 대한 가치와 인정
- 앞으로의 변화에 대한 확신
2) 개선이후 악화
- 나빠진 상황보다 대처방법 질문
- 작은 해결책
- 치료간격 / 상담일정 조정 등 변화
- 상담관계 유형과 상담목표 재검토
<주로 대처질문과 예외질문 활용>
예) 이번의 어려움과 과거의 어려움의 차이가 뭐니?
예) 이번의 어려움을 통한 얻은 유익이 있다면 뭐니?
예) 그래도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 것이 있다면 뭐지?
예) 앞으로 어떻게 하면 좋겠니?
예) 조금 더해야 할 노력이 있다면 뭐가 있겠니?
4. 상담자와 내담자와의 협력 관계
1) 고객형
- 상담자와 내담자가 문제의 해결책을 공동으로 확인
-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해결의 일부로 생각
- 문제 해결에 대한 의지 표명
- 칭찬과 행동 과제
2) 불평형
- 문제를 공동으로 확인했으나 자신을 문제 해결의 일부로 보지 않음
- 타인과 환경의 변화만을 요구
- 칭찬과 관찰과제
- 가족의 예외적인 행동 관찰
- 자기만의 해결책을 생각해 보고 적어 오기
3) 방문형
- 공동으로 문제 또는 상담의 목표를 발견할 수 없을 때
-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의뢰되었을 때
- 칭찬과 바람을 통하여 상담에 참여토록 지지
<요약>
1) 해결중심단기가족상담의 변화
- 변화는 해결중심단기가족상담의 변화 그 자체
- 긍정적인 변화
- 예외상황
- 시각의 변화
2) 해결중심단기가족상담의 개입전략
- 첫회기 후 개입전략 : 지난 상담후 긍정적 변화에 대한 질문과 확신
- 개선과 악화 후 : 대처방법과 작은 해결책, 치료간격, 일정, 방법 등 재검토
3) 해결중심단기가족상담의 협력관계
- 고객형 : 상담자와 내담자가 문제해결을 위하여 협력하는 단계
- 불평형 : 문제는 인정하나 협조하지 않는 단계
- 방문형 : 문제나 목표에 협력하지 않는 단계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상담및 가족치료 강의정리 : 송종원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가족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 치료 - 과정과 기법 (0) | 2022.06.10 |
---|---|
이야기 치료 - 전제 (0) | 2022.06.10 |
해결중심적 단기가족상담 - 상담기법 (0) | 2022.06.10 |
해결중심 단기가족상담 - 기본원리 (0) | 2022.06.10 |
경험적 가족상담 - 상담 과정과 기법 (0) | 2022.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