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가족과문화

(35)
통과의례문화 1) 통과의례 ▶통과의례 : 독일의 민속학자 게냅(Arnold van Gennep) • 개인의 출생, 성년, 사망 등을 통과할 때 갖는 의식과 생일, 새해 등 생의 중요 사건을 확인할 때 갖는 의식 • 우리사회는 가족중심 의례를 갖기 때문에 가정의례라 함 • 관·혼·상·제를 사례(四禮)로 정하고 격식을 갖추어 행함 2) 통과의례문화에 대한 관점 (1) 평생의 과정에서 새로운 상황이나 지위·신분·연령 등을 거치면서 치러야 하는 의식들 (2) 의식들은 분리, 전이, 통합의 세 단계로 구성됨 (3) 분리, 전이, 통합의 세 하위 범주가 지역과 문화에 따라 다름. (4) 의례 행위에서 중요한 것은 의례에 대한 태도 • 의례에 있는 본질적 의미를 찾음 • 올바른 가정생활 위해 통과의례 배우고 익히는 게 의미 있음..
지식정보사회의 이해 1) 지식정보사회 (1) 지식은 주요 자산 : 개인의 생활을 편하게 하고, 부와 권력 창출할 수 있는 원천 (2) 생산의 전통적 3요소 : 노동, 자본, 자연자원 최근 지식 추가하고, 가장 우위의 요소가 될 것으로 전망 (3) 지식정보사회 : 정보와 지식의 사회적 중요성 증대되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형성되는 사회 (4) 다니엘 벨 ("후기산업사회의 도래", 1973)의 정보사회 • 경제생활중심 → 물질생산에서 정보지식서비스 산업으로 이동 • 직업 분포 → 정신노동자층(전문직 / 사무직)이 산업사회의 육체노동자층 초월 • 과학적·이론적 지식이 사회혁신과 정책 결정의 원천이 됨 • 대학 및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한 지식산업 발전 (5) 앨빈 토플러(제3의 물결) : 정보사회의 특징 탈규격화, 탈전문화, ..
산업화 시대의 생활문화 1) 산업화 시대의 등장 (1) 영국의 산업혁명 • 산업혁명 : 영국에서 시작, 17세기 ~ 19세기 전반기까지 진행됨 • 17세기 시민혁명으로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 가능 → 거대한 공업을 일으킬 수 있는 자본 축적 • 산업혁명은 면직분야에서 일어남. 1796년 제임스 와트가 증기기관 발명, 방직업에 이용하면서, 면직공업의 혁명적 발전 (2) 산업혁명의 특징 • 산업혁명의 주요 특징 : 기술적·사회경제적·문화적 측면의 변화 • 기술적 변화 ▷ 철·철강·알루미늄 등 새로운 기본소재 사용 ▷ 석탄·전기·석유 등 새로운 에너지원과 동력 이용 ▷ 제니 방적기, 동력직조기 등의 기계발명 → 생산 증가 ▷ 증기기관차·증기선·자동차·라디오 등 교통 / 통신의 혁명적 발전 • 경제적 발전 ▷ 증가된 비농업 인구에게 식..
조선시대 생활문화 3) 조선시대 (1) 가족생활 • 조선초기의 가족제도 : 유교의 영향으로 혼인제도, 재산상속, 양자제도, 제사상속, 족보 등에 변화가 생김 • 혼인 : 양반끼리, 상민끼리 결혼하는 계급 내 혼이 행해짐 • 동성 / 동본의 사람끼리 혼인을 금하는 동성동본불혼(同姓同本不婚) 제도화 함 • 상속 : 1600년대 중엽 이전에는 아들과 딸이 균등하게 상속 받음 • 1700년대 중반부터는 장남우대, 남녀차별 상속 경향 나타남 • 제사상속 : 장자봉사(長子奉祀)와 자녀윤회봉사(子女輪回奉祀)가 함께 유지되었으나 1700년대 초부터 장자봉사가 주를 이룸 (2) 의생활 • 조선시대 남성복 저고리 : 삼국시대의 긴 저고리가 점점 짧아짐. 서민들의 평상시 바지 : 통이 넓은 바지와 좁은 바지가 있었음 • 두루마기 : 양반 -..
삼국시대, 고려시대 생활문화 1) 삼국시대 (1) 가족생활 ▷ 혼인 방식과 결혼생활 : • 데릴사위제 : 고구려 결혼 풍습. 남자가 여자의 집에서 사는 제도(예서제) 남자가 여자의 집에서 일정기간 또는 계속 삶 • 민며느리제 : 옥저의 결혼 풍습. 여자가 남자 집에 미리 가서 살다가 결혼하는 제도. 여자 나이 10세 쯤에 약혼하고 신랑집에 머물다가 성인이 되면 본가로 갔다가 다시 맞아들임. 딸이 없는 집에서 여자 노동력이 필요하여 실시 • 재산상속상 아들 / 딸, 장남 / 차남 등의 차별 없었음 (2) 의생활 • 온대와 아한대의 기후조건과 북방대륙의 영향을 받음 • 복식의 기본형 : 저고리, 바지, 치마, 두루마기를 중심으로 관모 쓰고, 허리에 대 띠고, 신을 신음. • 이 기본 복식이 삼국시대 이후 조선시대까지 지속됨 (3) 식생..
가족생활문화의 특성, 구성요소와 내용 1. 가족생활문화의 특성 1) 역사성 : 가족생활문화를 통해 생활양식의 전수과정을 알 수 있음. 즉, 조상의 삶의 지혜가 가족생활문화를 통해 계승되고 축적됨 2) 보편성 : 가족생활문화는 공통성이 있음. 인류의 기본적인 신체적, 정서적 욕구해결이 가족생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 3) 독창성 : 가족과 사회에 큰 변화 있어도, 변하지 않고 지속되는 독특성 있음 • 풍토나 풍습에 영향 받음. 돐, 환갑 등의 통과의례의식, 설날, 추석의 절식. 주거, 복식, 음식 등 4) 다양성 : 사람이 다른 것 처럼, 가족생활문화도 다양함 • 특정 기준에 따라 문화적 우열 정할 수 없음 → 문화상대주의 • 각 생활문화에는 나름의 타당성과 합리성이 있음 2. 가족생활문화의 구성요소 1) 유태용(1999) : 행위적, 인지적, ..
문화의 특성, 가족생활문화 5)문화의 특성 (1) 문화는 학습됨 - 문화는 사회 성원을 통해 학습됨. 즉 문화는 사회적 유산임 (2) 문화는 공유됨 - 같은 문화권에 있는 사람들은 문화를 공유하기 때문에 타인과 의미있는 상호작용 할 수 있음 3) 문화는 상징성이 있음, 상징을 이용함 - 인류는 지식, 신념 등을 교환하기 위해 상징(symbols) 이용 언어는 가장 기본적 상징도구, 상징은 그 자체의 고유한 특징 이상의 의미를 가짐. 예: 소리, 모양, 냄새, 물체, 사고 등. 4) 문화는 상호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있음 - 문화의 구성요소는 상호작용함. 문화는 통합되고, 상호연결 되며, 상호작용하는 사상, 행위, 다른 생활유형들의 연속체 5) 문화는 합리성을 가짐 - 문화는 그 자체로 논리적이며 조리가 있어 그 사회의 구성원들이 활..
문화의 의미와 정의, 범주와 유형 문화의 이해 1) 문화의 의미 (1) 문화 : culture는 라틴어 cultus에서 유래, cultus란 ‘밭을 갈아 경작한다’ → 자연에 노동을 가하여 수확한다는 의미 (2) 문화(文化), '문명으로 변화하는 것'. 개화기 동양사회가 서양 말 culture를 쓰기 위해 '고안'한 용어 (3) 문화는 경작 또는 배양의 의미를 가진 것으로 주어진 자연을 일정한 목적 또는 표준에 따라 지배하고 형성하는 것 (4) 인간은 문화를 창조하고 소유하며 누린다는 점에서 다른 동물과 구별됨 (5) 문화는 인간학습의 소산으로, 구체적으로 지각, 신념, 가치관, 행동의 표준이 됨 2) 문화의 정의 (1) 박진규(2003) • 협의의 관점 : 특수 집단의 사람들이 일반 대중과 차별해서 추종하고 즐기는 생활에서의 멋, 우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