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가족과문화

(35)
현대의 여가문화, 여가문화의 방향 1) 우리나라 여가문화의 특징 (1) 현대 주 5일 근무제와 가족여가 ① 1980년대 이후, 1990년대 국민소득수준 향상으로 노동계에 휴식과 여가 요구 커짐 ② 주 5일 근무제 가장 먼저 도입한 국가는 프랑스 • 1936년 주 40시간 근로제 시작. • 근로시간 단축 정책은 노동자의 생활의 질 개선 보다 실업 대책의 일환으로 일자리 공유를 위해 마련함 • 여가시간의 확대를 가져 왔고 프랑스의 여가문화가 가장 발달한 계기가 됨 ③ 주 5일 근무제 2004년 도입. 일주일에 휴일이 이틀로 늘어나 근무방식이 변화. 일생생활 양식과 여가문화의 변화 가져옴 ④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여가 트렌드 • 시간소비형여가로 변화 : 여유시간 확장으로 그 동안의 금전소비형 여가에서 여가 내용을 충실히 하려는 시간소비형 여..
전통적 여가문화 1) 전통세시풍속과 민속놀이 • 여가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 농경문화와 기층종교에 기반한 세시풍속과 민속놀이를 이해해야 함 (1) 정월 초하루 ‘설날’ • 정월 초하루는 새해의 첫날로서 ‘설날’이라고 함, 설은 ‘낯설다‘, ‘사린다’의 의미 • 설날에는 외출을 삼가고 집안에서 지내며 한 해의 무사를 기원함, 몸과 마음을 정결히 하고, 설빔 차려 입고 조상에게 차례 지냄 • 설은 조상숭배의 성격이 강한 혈연 중심의 명절로 가족들과 함께 지내고, 복을 빌며, 복조리를 벽에 걸어두고 복을 빌기도 함 ① 윷놀이 • 가족이 다 같이 하는 설날 놀이, 기원은 삼국시대 이전이며, 대표적인 민속놀이 • 농경사회의 필수적인 가축 이름을 따서 도(돼지), 개(개), 걸(양), 윷(소), 모(말)의 명칭 사용 ② 널..
가족여가문화 1) 가족여가문화란 • 건강가정의 대표적인 특성은 가족원간의 친밀감 • 친밀감 : 가족구성원이 서로에게 느끼는 정서적 일체감, 서로가 하나의 가족 단위로 결합되어 있다고 느끼는 감정 • 가족의 친밀감과 유대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 : 가족여가문화 • 주 5일 근무제의 정착과 함께 가족 단위의 여가에 관심 집중 • 가족여가 : 가족구성원 중 2인 이상이 참여하는 여가활동 • 여가 : 직업, 가사, 면학 등의 일상 생활에 소요되는 시간을 뺀 나머지의 자유시간, Free time, 레저 • 여가활동분류 : 가족 전체가 참여하는 여가활동, 부부만의 여가활동, 부부 중 한 사람과 자녀가 함께하는 여가활동, 두 명 이상의 자녀들끼리의 여가활동, 확대가족 여가활동 등 • 가족여가의 기능 : 가족원의 상호이해 증진,..
가족소비문화, 재산 및 상속문화 1) 가족소비문화 (1) 한국소비문화의 특성 ① 소비구조의 고급화 • 가계소비지출 중 식료품비 감소, 건강과 간편함 추구, 외식 증가 등 식생활 소비문화가 고급화됨 • 의생활도 패션 다양화, 차별화 현상이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확산 유행의 주기가 단축되는 양상 • 소득수준 상승, 주거공간확대, 고급화 및 개성화가 급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소비 고급화 ② 선택적 소비지출 급격한 증가 • 가정 내 소비패턴은 필수적 지출에서 점차 선택적 소비지출 증가 ③ 편승소비와 과소비 • 상위계층의 소비행동 쫓아가는 편승소비 및 과소비가 외식, 가구, 침구, 보건의료, 교양, 오락, 이·미용, 개인교통 등 사치성 강한 항목에서 나타남 ④ 레저용 서비스 수요와 해외여행의 급증 • 고급 레저인 골프나 스키 등의 수요 증가, 이..
가족경제와 문화 1) 가족경제와 역할변화 (1) 기혼여성 취업 증가와 역할 변화 •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 지속적 증가 → 개인적 동기와 사회구조변화 • 개인적 동기 : 인정에 대한 욕구와 생활수준 향상과 경제적 비용지출에 대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 사회구조적 변화 • 기혼여성의 취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 변화, 가족 크기 축소 → 자녀양육기간 단축 • 가전제품발달 → 가사노동시간 단축 • 사회·경제적 참여 확대로 인한 사회적 역할 변화에도 가족 내의 역할 변하지 않음 • 여성 역할과 지위에 대한 사회규범 및 여성의 의식변화가 사회 변화에 미치지 못함. 자신의 직업을 남편의 직업이나 가정에 종속시켜 생각하는 경향 때문에 역할부담 / 갈등가중 •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은 남성의 5배(2015) • 2019년 남성 54분..
건강한 가족생활 문화 1) 건강한 가족의 기능 (1) 가족이 건강하다는 것은 가족의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된다는 것 (2) 유엔이 1994년 제시한 건강한 가족의 기본적 기능 ① 인간의 가치를 다음 세대로 전달. 아동을 있는 그대로 수용, 사랑으로 돌보며, 긍정적 영향 주고자 노력. 이를 통해 긍정적 인간 가치가 다음 세대로 전달됨 ② 가족 구성원 모두에게 출생부터 사망까지 각기 고유한 위치 제공 ③ 가족 구성원에게 인간관계 형성 / 유지하는것과 공동 선을 위해 함께 노력하는 것을 학습하는 장소 제공 ④ 모든 사람들이 보다 나은 세계를 위해 노력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메시지를 공유하고 전달하는 길 발견하는 것 (3) 건강한 가족이라도 문제, 고통 발생. 건강한 가족은 고통 겪으면서 서로 신뢰, 배려, 지지, 헌신하며 어려움..
가족생활주기와 문화 ① 가족생활주기 : 가족의 형성에서 시작하여 해체될 때 까지 가족생활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나타나는 일련의 특징적 단계 ② 힐 / 듀발(Hill & Duvall)은 가족을 각 구성원의 개별적 생활주기의 집합으로 보고 의존하는 관계로 정의함. 여기서 가족생활주기 유래 1) 청소년 자녀시기 가족문화 • 청소년의 중요한 발달적 특성 : 자아 정체감 확립, 독립성 증가. 자기만의 시간 즐기며, 가족보다 친구와의 시간 선호 • 독립 원하지만, 의존 하며, 간섭 거부하면서, 관심 주지 않는다고 화내기도 함. • 청소년 세대는 이전 세대와 다른 문화 경험 → 세대차이로 인한 문제발생 (1) 청소년가족 의사소통 문화 • 세대간 문제 해결하기 위해 상호작용의 질 향상 중요 • 가족으로부터 적절한 의사소통 방식 배운 청소년..
세대 및 세대별 특징 1) 세대의 개념 ① 삶에서 학교, 거주지, 직업, 배우자, 종교 등의 선택에서 쇼핑 등의 작은 선택까지 끊임없는 선택, 이 과정에서 개인의 정체감 형성 ② 이런 특성을 동년배 집단과 동일시하면 특정의 ‘세대’라고 부름 ③ 세대 : 아이가 성장하여 부모일을 계승할 때까지 30년 정도의 기간 ④ 한 세대 : 출생에서 첫 자녀가 태어날 때 까지. 15년에서 30년까지의 기간을 한 세대로 봄 ⑤ 세대차 : 연령차에 의한 구분이 아니라 특정 집단이 자신들의 삶에 대한 가치와 다른 동년배 집단들과의 가치관의 차이 ⑥ 산업화된 43개 국가에 대한 조사 연구에서 한국이 “가장 세대차가 큰 사회”라고 지적 ⑦ 독일 사회학자 Karl Mannheim : 다양한 세대의 공존은 사회변동의 원동력, 세대간 갈등과 충돌은 사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