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가족과문화

전통적 여가문화

728x90

1)  전통세시풍속과   민속놀이

 


•  여가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  농경문화와  기층종교에  기반한  세시풍속과   민속놀이를   이해해야   함 

 

 

(1)  정월  초하루  ‘설날’


•  정월   초하루는   새해의   첫날로서   ‘설날’이라고   함,  설은   ‘낯설다‘,  ‘사린다’의  의미


•  설날에는  외출을  삼가고  집안에서  지내며  한  해의  무사를  기원함,  몸과  마음을  정결히  하고, 설빔  차려  입고  조상에게  차례  지냄


•  설은   조상숭배의  성격이  강한  혈연  중심의  명절로  가족들과  함께  지내고, 복을  빌며, 복조리를  벽에  걸어두고  복을  빌기도  함

 


①  윷놀이

•  가족이  다  같이  하는  설날  놀이, 기원은 삼국시대  이전이며,  대표적인  민속놀이


•  농경사회의  필수적인  가축  이름을  따서  도(돼지),  개(개),  걸(양),  윷(소), 모(말)의  명칭  사용

 


②  널뛰기


•  젊은  부녀자들이  즐기는  놀이. 설날,  단오, 추석 등   명절에  행함. 고려시대부터  전승됨
•  외부활동을  삼가던  조선시대  부녀자들은  널뛰기를  통해  담  밖의 세상을  구경하는  탈출구가  되기도  함

 


③  제기차기


•  주로  남자  아이들이  겨울철에  많이  하던  놀이

 


④  연날리기


•  주로  남자들이  하는  놀이, 삼국시대부터  유행했으며, 조선시대  영조가  백성들의  연날리기를  장려하면서  성행함.

 
•  ‘송액영복(送厄迎福)’이란  글자를  쓴  연을  띄움.  이를  통해  질병, 사고, 흉년 등  나쁜  액운은  멀리  사라지고  복이  찾아오도록  빔

 

 


(2)  정월  15일  ‘대보름’

 


•  음력  1월  15일,  한  해를  시작에서  첫  보름달이  뜨는  날, 가장  큰  달이라는  뜻으로  대보름이라  함


•  대보름  전날  새벽에  논에  퇴비를  갖다  부으면서  풍년  기원하고  한해  농사  준비함. 


•  대보름  아침  밤,  호두  등의  부럼을  깨물면  1년  동안  부스럼이  나지 않고, 이가  단단해지고,  ‘귀밝이술’이라  하여 청주  한  잔  마시면  ‘귀가  밝아지고  1년  동안  즐거운  소식  듣는다’  하여  남녀노소  모두  마심

 


①  쥐불놀이


•  대보름  전날  아이들과  동네  사람들이  함께  논밭  두렁에  불을  붙여  쥐와  해충 없애며  풍작을  기원하던  논두렁  태우기  행사


•  들판의  불의  크기에  따라  그  해  농사의  풍흉을  점침

 


②  달맞이


•  높은  곳에  올라  정월  대보름  달을  보며   소원  빌고  농사를  점치는  세시풍습, 남보다  먼저  달  보는  것이  길하다고  여겨  앞다투어  뒷동산에  올라  소원  빔


•  대나무로  기둥  세우고, 짚으로  만든  달을  걸어두고  달이  뜨면  풍물  치며  태우는  ‘달집  태우기’  통해  한  해  농사를  점침

 


③  지신밟기


•  농악대가  집집마다  돌며  지신(地神)을  달래고  복을  비는  민속놀이


•  ‘지신밟기’라고  쓴  기가  선두에  서고, 그  뒤를  농악대와  기수(旗手), 사대부, 포수 등으로 분장한 가장행렬이  따름


•  잡귀를  물리치고, 재앙을  막아준다고  믿고, 집주인은  술 / 음식  등을  대접하고 금전 / 곡식으로 사례함, 모은  금품은  마을  공동사업에  사용

 


④  다리밟기


•  정월  대보름  밤에  남녀노소  많은  사람들이  나와  줄지어  개천 / 강의  다리를  밟는  전통적  민속놀이


•  나쁜  일, 병을  물리칠  수 있다고  믿음

 


⑤  줄다리기


•  정월  대보름날  촌락  사람들이  동과  서로  나누어  줄  당기며  힘  겨룸


•  줄다리기  줄을  거름으로  쓰면  농사  잘되고,  소  먹이면  병  없으며,  지붕에  얹으면  집안이  무사태평하다고  믿음

 


⑥  석전


•  편을  갈라  돌을   던지는  놀이,  ‘편싸움’이라고도  함. 


•  향토방위  위해서  공동으로  무예를  연마하는  민속놀이


•  일제강점기  민족의  진취성과 투쟁성을  없애기  위하여  석전을  금지하여  많이  사라짐

 

 


(3) 5월   5일   ‘단오’


•  5월  5일  ‘단옷날’은  1년  중  양기가  가장  왕성한  날이라고  하여  큰  명절로  여김


•  고대  마한에서는  파종이  끝난  5월에  군중이  모여  농경의  풍작을  기원하며  신에게  제사  지내고,  가무와  음주로  밤낮을  쉬지  않고  놀았으며, 조선시대에는  설날, 추석, 단오를  3대  명절로  봄


•  여자들은  창포물로  머리를  감고  창포뿌리로  비녀  만들어  꽂았으며, 남자들은  창포뿌리를  허리춤에  차고  다녔음

 


①  그네뛰기



•  고려  말기부터  전승된  놀이,  고려시대  신분  구분없이  수백명이  모여  즐기는  등  매우  성행.  조선시대는  유교적
 윤리관에  의해  양반집  여성의  체통을  거스르는  일이라  하여  멀리함

•  민간에서는  여전히  성행하여  평상시에도  그네를  즐겼으며,  단오절만은  모든  여성이  그네를  뛰는  것  허용됨

 

 

②  씨름


•  단오절  되면  남자들은  자기마을을  대표하여  씨름을  함. 


•  이긴  사람에게는  황소를  부상으로  주기도  함

 

 


(4) 8월  15일   ‘추석’

 


•  설날과  함께  우리나라 최대   명절. 중추절, 가배, 한가위라고도  함


•  1년  농사와  추수에  감사하는  날로  새  옷으로  단장하고  햇곡식과  햇과일로  조상께  차례  지냄


•  그  해  난  쌀로  송편을  빚어  차례상에  올리며  농사일로  바빴던   일가친척이  서로  만나  이 날을  즐김

 


①  농악놀이


•  ‘농악놀이’는  추석  뿐  아니라  김매기,  논매기,  모심기  등의  힘든  일을  하고  난 후  피로를  덜기  위해  즐겨함


•  농악놀이  중에  소  먹이놀이와  거북놀이가  겸해지기도  하였음

 

 

②  강강술래


•  추석날  저녁  부녀자들이  곱게  단장하고  수십  명씩  모여  원형으로  손을  맞잡고  빙글빙글  돌면서  뛰노는  놀이


•  ‘강강수월래’ 라는  후렴이  붙은  노래를 부름,  목청  좋은  사람이  선창  하고  나머지는  합창으로  후렴 부르면서  천천히  돌다가  점점  빨라지며  마구  뛰면서  놀게  됨

 


③  반보기

•  추석  무렵  시집간  딸이  친정어머니와  중간   지점에서  만나  가져온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즐기는  것,  중로상봉(中路相逢)이라고도  함


•  가부장적  가족제도로  시집간  여성들이  마음대로  친정나들이를 할  수  없었기  때문에  생긴  풍속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과 문화> 강의정리 : 홍영근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