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리나라 여가문화의 특징
(1) 현대 주 5일 근무제와 가족여가
① 1980년대 이후, 1990년대 국민소득수준 향상으로 노동계에 휴식과 여가 요구 커짐
② 주 5일 근무제 가장 먼저 도입한 국가는 프랑스
• 1936년 주 40시간 근로제 시작.
• 근로시간 단축 정책은 노동자의 생활의 질 개선 보다 실업 대책의 일환으로 일자리 공유를 위해 마련함
• 여가시간의 확대를 가져 왔고 프랑스의 여가문화가 가장 발달한 계기가 됨
③ 주 5일 근무제 2004년 도입. 일주일에 휴일이 이틀로 늘어나 근무방식이 변화. 일생생활 양식과 여가문화의 변화 가져옴
④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여가 트렌드
• 시간소비형여가로 변화 : 여유시간 확장으로 그 동안의 금전소비형 여가에서 여가 내용을 충실히 하려는 시간소비형 여가로 변화
• 여가활동의 다양화 : 영화와 연극 관람의 일변도에서 예술문화활동, 지적 탐구의 여가활동 증가
• 자연회귀형 여가문화 발전 :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으로 온라인 여가활동 증가하고 있지만 자연회귀형 여가문화도 함께 발전. 주말농장, 자연친화형 여가, 스포츠 레저활동 증가
• 참여 및 체험 여가 증가 : 보고 즐기는 수동적 여가에서 직접 참여하고 체험하는 능동적 여가 증가
(2) 가족여가실태 및 문제점
• 획일화 : 가족여가활동의 종류가 다양하지 못하며, 가족이 함께 외출 하는 경우는 외식이나, 집안행사에 참여하기
위한 것으로 가족이 함께 즐기기 위해 주로 외출하는 경우는 미미함
• 시설부족 : 가족여가에 대한 중요성은 인지하고 있으나 가족단위 여가활동을 위한 시설 부족으로 효율적 활동하지 못함
2) 건강가정을 위한 가족여가문화의 방향
(1)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여가 프로그램
① 2018년 4월 기준 전국 187개의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는 센터 내에 가족교육팀, 가족문화팀, 가족상담팀, 운영지원팀 등을 구성하여 건강가정 지원사업 실시함
② 가족여가프로그램은 가족문화 사업담당팀에서 기획 · 운영
▶ 목적 :
• 가족여가와 관련한 가족문화사업은 가족 중심의 여가문화활동을 통해 가족의 기능과 응집력 강화
• 지역사회와의 유대감 증진시켜 건전한 공동체 문화 형성
• 구체적 가족 여가 프로그램
▷ 가족과 함께하기 : 가족사랑걷기, 가족영화제, 가족사생대회, 가족요리대회, 가족캠프 등
▷ 전통문화체험 : 박물관 및 문화유적 답사, 전통음식 만들기
▷ 자연친화적 체험활동 : 가족갯벌 체험, 주말농장체험, 가족원예체험
▷ 가족봉사단 활동
▷ 지역공동체활동 : 가족품앗이, 가족 및 지역주민참여행사 등의 프로그램이 매월 진행됨
(2) 바람직한 가족여가 실천방안
① 가족여가교육의 필요성
• 가족여가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제고하기 위해 필요.
• 아동기에는 학교, 성인들은 사회교육, 평생교육 등을 통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
② 가족여가 프로그램의 개발
• 우리나라 가족여가는 외식, 쇼핑, 놀이공원, 관광 등에 편중되어 있음. 여가의 상업화로 가족여가활동이 획일적 / 모방적 경향이 있음
• 가족단위의 스포츠활동, 예술문화활동, 체험활동, 학습활동, 취미동호회 활동 등의 다양한 여가프로그램과 가족 단위의 생산적 여가활동 모형 개발, 사례 발굴이 요구됨
③ 가족여가시설의 확충
• 여가활동을 위해 근본적으로 시설과 공간이 구비되어야 하고, 시설이나 공간은 근거리의 접근성이 높아야 함
• 기존 문화센터, 종합복지관, 도서관, 체육시설의 가족 단위 프로그램 확충과 이용 장려, 이용시간의 확대와 지역별 여가문화 시설의 연계체계가 필요함
④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생활공동체문화 형성
• 조부모세대와 다른 유형의 가족을 소외시키지 않도록 다양한 가족을 아우르는 생활공동체 여가문화 형성해야 함
• 지역주민이 한자리에 모여서 즐기고 서로 도울 수 있는 커뮤니티 형성은 지역사회의 통합에 이바지 함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과 문화> 강의정리 : 홍영근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가족과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문화 가족과 문화 (0) | 2022.11.01 |
---|---|
한부모 가족과 문화 (0) | 2022.11.01 |
전통적 여가문화 (0) | 2022.09.05 |
가족여가문화 (0) | 2022.09.05 |
가족소비문화, 재산 및 상속문화 (0) | 2022.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