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가족과문화

삼국시대, 고려시대 생활문화

728x90

 

 

1)  삼국시대


(1) 가족생활


▷ 혼인  방식과  결혼생활 :


• 데릴사위제 : 고구려 결혼 풍습. 남자가  여자의 집에서 사는 제도(예서제)  남자가 여자의  집에서  일정기간  또는  계속  삶


• 민며느리제 : 옥저의 결혼 풍습.  여자가 남자 집에 미리 가서 살다가 결혼하는 제도. 여자 나이 10세 쯤에 약혼하고 신랑집에 머물다가 성인이 되면 본가로 갔다가 다시 맞아들임.   딸이 없는 집에서 여자 노동력이 필요하여 실시


• 재산상속상  아들 / 딸, 장남 / 차남  등의  차별  없었음

 

 

 

 

 

(2)  의생활


• 온대와  아한대의  기후조건과  북방대륙의  영향을  받음


• 복식의 기본형 : 저고리, 바지, 치마, 두루마기를  중심으로  관모  쓰고,  허리에  대 띠고, 신을  신음.


• 이 기본 복식이  삼국시대  이후  조선시대까지  지속됨

 

 

 

 

삼국시대 의생활

 

 

 

(3)  식생활


• 고구려,  백제, 신라는  전형적  농업국으로  발전


• 백제 : 서해안의  비옥한  평야  차지, 기온과   강우량이   벼농사에   적당하며,  백제   중엽경에  쌀밥이  주식화됨


• 고구려 : 산악지대  많고  한랭.  벼농사  어려웠고, 조   많이  경작


• 신라 : 농업이 주요 산업, 벼농사 백제보다 늦었고,  보리농사 주로 함

 

 

 

 

 


• 삼국시대까지 발전된 기본  음식 : 죽,  떡,  밥,  포,  절임,  술은 널리  보급되고 토착화됨 

 
• 전통음식의  발달순서 : 죽 → 찐떡 → 밥


• 밥과 반찬 차림은 삼국시대 말경에 형성된 것으로 추측

 

 

 

 

 

 

(4)  주생활


• 중앙집권 국가체제 되면서 주택건축도 원시 단계를 벗어나 목조 가구식 구조로 발달


• 고구려 : 일반주택은 초가, 왕궁, 관아, 사찰들만 기와지붕을 함.  가난한 사람들은 장갱(쪽 구들)을 만들어 겨울을  남
• 백제 : 고구려와  별로  큰  차이가  없음


• 신라 : 주택의 규모, 양식, 사용 재료를 사회계층에 따라 제한하는 건축법규를  둠

 

 

 

 

 

 

(5)  종교


• 원시신앙(토테미즘, 자연물  숭배사상, 조상숭배  등)존재, 점차  샤머니즘으로 정리됨


• 중앙집권체제  되면서, 국가유지에  유용한  철학  및  종교  요구됨.    ▷ 이즈음  전래된 불교가  그 역할  담당


• 불교는  재래의  토속신앙과  결합하여  수용됨


• 유교는  삼국시대  신라에서  국학을  세운  것을  그  기원으로  함.

 

 

토테미즘, 자연물 숭배사상, 조상숭배

 

 

 

 

2)  고려시대 

 

 

(1)  가족생활


• 가족유형 : 직계가족, 방계가족 구별 없고, 양계적  방계가족  유형


• 장인과  장모, 기혼의  딸과  사위를 가족원으로  봄


• 부계중심의  혈연자를  가족원으로  보는  것은  17세기  이후  나타남


• 귀족들의 공음전 상속순위 : 아들 - 사위 - 조카  순위, 호적도 남녀 구별없이 출생순위대로  기록

 

 

가족유형

 

 

 

 

 

• 혼인제도 : 서류부가혼(壻留婦家婚)  형태 - 삼국시대  같이  처가에  머무   혼인

 

• 동성 혼인 있었으며, 5촌과  6촌간 근친혼 행해짐


• 동성혼은 1200년대에서 고려말기로 내려오면서 점차 감소됨


• 남자의 초혼 연령은 20세 미만,  여자는 18세 이하가 대다수

 

 

 

 

 

 

(2)  의생활


• 귀족층  복식제도 : 오대, 송, 원, 명의 제도 따름 서민층은  고유의  복식풍속  유지


• 저고리, 바지  삼국시대와  같으며, 평민과  귀족들도  고유의  두루마기인  백저포  입음


• 출가하지 않은 여자 : 홍라(紅羅)로  머리  묶음 출가하면  머리를  틀어서  작은 비녀  꽂음

 

 

 

 

 

(3)  식생활


• 초기부터  권농정책에  힘씀


• 불교사조  아래  어업이나  축산보다  양곡의  생산이  증가


• 쌀밥, 떡, 한과류가  발달.  채소 소비가  늘어나고  나박김치 발전.  무·갓·미나리·파 등을 김치로  만들었고, 양념으로  마늘·생강·천초  사용


• 소주는 고려말 원의 지배를 받을 때  페르시아에서 발달한  증류법이  원나라 / 만주를 거쳐  고려로  들어옴

 


(4)  주생활


• 삼국시대  주택을  그대로  계승한  것으로  추정


• 초기주택은  고구려  온돌구조와  신라  마루구조가  전승됨


• 상류층은  주로  중국풍으로  의자, 침상  들을  사용한  의자식  생활함


• 일반  서민들은  구들  바닥에서  생활함

 

 

 

 

 

 

(5)  종교


• 건국과정에서  민중의  정신적  지주였던  불교의  호국사상  유행


• 각종불교행사  개최


- 연등회 : 정월  보름  불을  켜고  부처에게  복을  비는  국가적  행사

- 팔관회 : 8가지  계율을  하루  동안  지키게  하는   불교의식


• 승과제도  교종선과  선종선으로  구별하여  승려  선발.  합격시  대선이라는  법계  주고 별사전  주어,  신분과  생활을  국가가  보장

 

 

 

 

 


• 호국  불교적  사상을  기반으로  찬란한  불교문화  꽃피움


• 고려  불교는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방면의  중심. 


• 고려중기  이후  타락한  지배계층의  옹호자로  전락하는  등  점차  사회적  위상  약화됨

• 유교 : 태조의 숭불정책으로 부진하였다가  고려  후기  25대  충렬왕 때(1300년경)  안향의  건의로  대성전  건립하여  공자를  존숭하는  유교 부흥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과 문화> 강의정리 : 홍영근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