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족생활문화의 특성
1) 역사성 : 가족생활문화를 통해 생활양식의 전수과정을 알 수 있음. 즉, 조상의 삶의 지혜가 가족생활문화를 통해 계승되고 축적됨
2) 보편성 : 가족생활문화는 공통성이 있음. 인류의 기본적인 신체적, 정서적 욕구해결이 가족생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
3) 독창성 : 가족과 사회에 큰 변화 있어도, 변하지 않고 지속되는 독특성 있음
• 풍토나 풍습에 영향 받음. 돐, 환갑 등의 통과의례의식, 설날, 추석의 절식. 주거, 복식, 음식 등
4) 다양성 : 사람이 다른 것 처럼, 가족생활문화도 다양함
• 특정 기준에 따라 문화적 우열 정할 수 없음 → 문화상대주의
• 각 생활문화에는 나름의 타당성과 합리성이 있음
2. 가족생활문화의 구성요소
1) 유태용(1999) : 행위적, 인지적, 물질적 측면으로 구성
2) 박진규(2003) : 가치, 규범, 상징, 언어, 이데올로기로 구성, 문숙재(2000) : 가치, 규범, 상징, 용구로 구성.
(1) 가치 : 옳고 그름, 선과 악의 문제에 대한 평가기준이나 신념체계, 행동을 지배하는 감정 체계 : 가부장적 가치, 효, 부부유별.
(2) 규범 : 가치를 근거로 형성된 행위 규칙. 타인과의 관계에서 따라야 할 규칙. 특정 상황에서 해야 할 것, 하지 말아야 할 것. 예)식사예절, 가족의례규범, 공중도덕 등
(3) 상징 : 의미를 가진 대상물이나 몸짓, 소리, 색깔 또는 디자인. 예) 십자가, 국기, 상징에서는 의미부여가 중요
(4) 언어 : 집단의 산물, 표준화된 의미있는 발음으로 구성. 인간사회의 산물이지만 사회성원들의 생각과 행동에 영향 미침
(5) 이데올로기 : 사회 구성원의 사상, 행동, 생활방법을 근본적으로 제약하는 관념이나 신념의 체계. 삶의 방향을 지시
(6) 용구 : 물질적 측면. 시간흐름, 예술적 기준 등에 따라 가치가 달라짐 예) 예술작품, 생활용품, 전통주택 등
3. 가족생활문화의 내용
1) 이흥재(2001) : 주거문화, 음식문화, 복식문화, 출산문화와 성년의식, 혼례문화, 상례문화, 제사문화로 구성하여 고찰
2) 박명희(2003) : 성년례, 혼례, 상례, 제례 등의 가족의례, 의생활문화, 식생활문화, 주거생활문화, 소비생활문화, 여가생활문화로 구분
3) 건강가정기본법에 나타난 가정생활문화 : 가족여가문화, 양성평등 가족문화, 건강한 가정의례문화, 건강한 의식주 생활문화, 합리적 소비문화, 지역사회 공동체문화, 등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과 문화> 강의정리 : 홍영근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가족과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 생활문화 (0) | 2022.09.05 |
---|---|
삼국시대, 고려시대 생활문화 (0) | 2022.09.05 |
문화의 특성, 가족생활문화 (0) | 2022.09.05 |
문화의 의미와 정의, 범주와 유형 (0) | 2022.09.05 |
현대사회의 가족특성 (0) | 2022.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