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조선시대
(1) 가족생활
• 조선초기의 가족제도 : 유교의 영향으로 혼인제도, 재산상속, 양자제도, 제사상속, 족보 등에 변화가 생김
• 혼인 : 양반끼리, 상민끼리 결혼하는 계급 내 혼이 행해짐
• 동성 / 동본의 사람끼리 혼인을 금하는 동성동본불혼(同姓同本不婚) 제도화 함
• 상속 : 1600년대 중엽 이전에는 아들과 딸이 균등하게 상속 받음
• 1700년대 중반부터는 장남우대, 남녀차별 상속 경향 나타남
• 제사상속 : 장자봉사(長子奉祀)와 자녀윤회봉사(子女輪回奉祀)가 함께 유지되었으나 1700년대 초부터 장자봉사가 주를 이룸
(2) 의생활
• 조선시대 남성복 저고리 : 삼국시대의 긴 저고리가 점점 짧아짐.
서민들의 평상시 바지 : 통이 넓은 바지와 좁은 바지가 있었음
• 두루마기 : 양반 - 철릭, 도포 등이 발달. 서민 - 그대로 유지, 예복 내지 외출복으로 착용
• 여자복식 : 500년 간 많이 변하지 않음. 바지는 속옷으로 변함
• 유교적 내외법으로 머리쓰개 발달 : 장옷, 쓰개치마, 삿갓 등
• 의생활의 다른 특징 : 세탁을 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임
(3) 식생활
• 고려시대 식생활이 그대로 이어짐
• 남방식품 유입 : 고구마, 고추, 호박 등
• 약효가 있는 식품을 가미한 죽요리, 음청류, 주류가 개발되어 일상식사에 식이요법적 특성 더해짐
• 김치 소재 : 무·오이·배추를 주재료로 하고 갓·파·미나리 등은 양념용 향채로 사용됨
(4) 주생활
• 조선시대의 사회 기본단위 : 개인이 아니라 가족단위의 가부장적 대가족제도로서, 가장을 중심으로 여러 세대가 동거
• 대가족제도는 주택 건축에 영향을 미침. 양반가에서는 여러 세대가 같은 주택에 거주 하였고, 가계의 계승권이 장자에게 이어져 작은 사랑을 큰 사랑 옆에 배치함
• 가묘제가 일반화되어 중인 계급이상에서 사당 건축하고 신위 모심 제사공간인 사당은 조선시대 건축의 특색을 더함
• 남녀 구별로 주택 건축 시 안채 / 사랑채를 구분하여 남녀를 격리시킴
• 주택은 사회 신분제도에 의해 서민, 중류, 상류주택으로 구분됨
(5) 종교
• 건국이념인 성리학의 영향으로 불교는 전반적으로 쇠퇴함
• 조선 정치·사회의 중심부에서 밀려나고, 산간에서 명맥을 유지하여 불교는 기층민의 신앙대상이 됨
• 불교는 기층사회에 뿌리 내리기 위해 염불신앙을 확대해 갔으며, 자생력을 갖기 위한 자립경제의 구축도 지속함
• 태조의 숭유억불(崇儒抑佛) 정책으로 유교(儒敎)가 크게 발전하게 됨
• 천주교 전파 : 조선후기 북경을 왕래하는 사신들을 통해 서학(西學)이라는 학문으로 천주교가 전파됨
• 천주교 : 유학적 가치관과 대립하고 있어 박해를 받았으나 1886년 한불조약 체결과정에서 공식 인정됨
• 개신교 : 1880년대 미국 선교사에 의해 전해짐. 학교와 병원 함께 설립. 개신교 교육 사업은 근대지향적 계몽활동으로 이해됨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과 문화> 강의정리 : 홍영근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가족과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정보사회의 이해 (0) | 2022.09.05 |
---|---|
산업화 시대의 생활문화 (0) | 2022.09.05 |
삼국시대, 고려시대 생활문화 (0) | 2022.09.05 |
가족생활문화의 특성, 구성요소와 내용 (0) | 2022.09.05 |
문화의 특성, 가족생활문화 (0) | 2022.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