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식정보사회
(1) 지식은 주요 자산
: 개인의 생활을 편하게 하고, 부와 권력 창출할 수 있는 원천
(2) 생산의 전통적 3요소 : 노동, 자본, 자연자원
최근 지식 추가하고, 가장 우위의 요소가 될 것으로 전망
(3) 지식정보사회
: 정보와 지식의 사회적 중요성 증대되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형성되는 사회
(4) 다니엘 벨 ("후기산업사회의 도래", 1973)의 정보사회
• 경제생활중심 → 물질생산에서 정보지식서비스 산업으로 이동
• 직업 분포 → 정신노동자층(전문직 / 사무직)이 산업사회의 육체노동자층 초월
• 과학적·이론적 지식이 사회혁신과 정책 결정의 원천이 됨
• 대학 및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한 지식산업 발전
(5) 앨빈 토플러(제3의 물결) : 정보사회의 특징
탈규격화, 탈전문화, 탈동시화, 탈집중화, 탈극대화, 분권화
(6) 정보사회의 특징 종합
• 정보통신기술(컴퓨터, 통신기계 등)통해 창출된 지식 / 정보가 중요한 생산요소가 되는 사회
• 산업 구조 → 제조업에서 지식을 이용한 지식산업이 주도하는 사회
• 다원화되고 분권화된 네트워크형 사회
• 쌍방향적 통신에 의한 새로운 정치 형태
• 지적 엘리트 등장
• 개인의 창의적이고 개성적 자아실현의 사회 등
2) 지식정보사회의 생활문화
▷ 지식정보사회는 형성과정에 있음
▷ 생활문화에 관해 종합적인 조망 어려움, 몇 가지로 한정
(1) 가내노동
• 육체를 수단으로 일하는 노동자 수 감소
• 재택 근무 업종 증가(디자인, 주식, 번역, 작가 등)
• 재택근무 → 직장이전으로 인한 부동산비용 절감
• 직장 이동 → 환경오염 완화 → 환경정화에 필요한 비용 절감
(2) 통근 대용으로서의 통신
• 산업화로 인해 교통문제와 환경오염 문제 심각
• 노동자 파업, 기계 고장, 운임상승 등 대량수송체계 한계
• 고용자 부담, 소비자 물가 상승
• 가솔린 등 에너지 비용 감소
→ 팩스, 인터넷, 컴퓨터 등의 사용으로 사용료, 에너지 소비량 저하
3) 가정 중심의 사회
(1) 지역공동체에 주는 영향
• 재택근무자 증가 → 지역공동체는 훨씬 안정된 구조가 됨
• 직업 변할 때 마다 이사하지 않아도 됨. → 직장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업무 가능
• 거주지 이동으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 줄며, 인간관계 끊어지지 않음
• 지역공동체에 대한 참여도 및 소속감 향상 → 지역모임, 동호회, 청년봉사단 등의 자발적 조직 발달
• 환경에 미치는 영향
• 재택근무 → 에너지 소비량 감소. 자동차 등등
• 심리적 영향
• 재택근무는 가족이나 이웃과 친밀한 관계 형성하게 하며, 리더십이나 경영방식도 변함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과 문화> 강의정리 : 홍영근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가족과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대 및 세대별 특징 (0) | 2022.09.05 |
---|---|
통과의례문화 (1) | 2022.09.05 |
산업화 시대의 생활문화 (0) | 2022.09.05 |
조선시대 생활문화 (0) | 2022.09.05 |
삼국시대, 고려시대 생활문화 (0) | 2022.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