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가족과문화

통과의례문화

728x90

1)  통과의례

 


▶통과의례 : 독일의  민속학자  게냅(Arnold van Gennep)

 


•  개인의  출생, 성년, 사망  등을  통과할  때  갖는   의식과  생일, 새해  등  생의 중요 사건을  확인할  때  갖는  의식


•  우리사회는  가족중심  의례를  갖기  때문에  가정의례라  함


•  관·혼·상·제를  사례(四禮)로  정하고  격식을  갖추어  행함

 

 

관혼상제

 


2)  통과의례문화에  대한  관점

 


(1) 평생의 과정에서 새로운 상황이나 지위·신분·연령 등을 거치면서 치러야 하는 의식들

(2) 의식들은  분리, 전이, 통합의  세  단계로  구성됨

 

 

 


(3) 분리, 전이, 통합의  세  하위  범주가  지역과  문화에  따라  다름.

 


(4) 의례  행위에서  중요한  것은   의례에  대한   태도

 


•  의례에  있는  본질적  의미를  찾음


•  올바른 가정생활  위해  통과의례  배우고  익히는 게  의미  있음

 

 

 


우리나라의  통과의례문화

 

1)  출생의례


▶ 출생의례는  아이가  세상에  태어나는  과정에  행하는  의례

 

 


(1)  출산  전  의례

 


•  아이를  낳기  위한  다양한  기자(祈子)행위를  함


•  기자행위 : 훌륭한  자녀를  얻으려는  소망을  담은  행위


▷ 치성기자 (삼신당, 절, 나무, 바위  등에  빎)


▷ 주술기자 (아들  낳은  산모  옷  입기, 부적  배꼽에  붙이기  등)


•  현대는  자녀  수  감소 / 남아선호사상  감소 → 기자행위도  점차  사라짐

 

 

 

 


(2)  임신과  출산의례

 


① 임신

 


•  임신에서  출산까지  아기가  건강하고  훌륭한  사람이  되기  원하는  마음으로  부부의  태교 강조

•  음식금기와  행위금기를  통해  태교


▷ 바르게   앉고,  칼로  벤  음식  먹지  않고, 음란한  소리  듣지  않고,  악한  것  보지  않음 등

 

 


② 출산

 


•  산실과  삼신상  차리기 : 출산 위해  산실  차리고, 물, 쌀밥, 미역국  세 그릇의  삼신상을  차려  삼신할미에게  자녀  순산  빎


•  금줄 : 출산  알리고, 출입금지, 장수 기원하는  줄을  대문에  매닮


▷ 남아 : 붉은 고추(남아상징 / 귀신  쫓는  매운 맛)와  숯(제독, 귀신흡수) 


▷ 여아 : 청솔가지(정절)와 숯을 닮

 

 


③  출산  후  의례

 

•  삼칠일 : 배꼽의  화농이  아물어  첫  번째  사망고비  넘긴  시기. 아기  보호하고  산모의  건강회복을  위한  의례적  행사

 

 


(3)  백일


•  태어난  지  백일째  되는  날을  축하하는  행사


•  두  번째  사망고비  넘긴  것  축하


•  목적 : 아기의  무사함  축복, 무병장수  기원, 복을  빌며  아기의 성장에  방해  되는  재액을  막는  것

 

 


(4)  돌

 


•  1년  되면  세  번째  사망고비  넘긴  것  축하


•  목적 : 여러  위험을  넘기고  건강하게  성장했음을  축하함

 

 

 


2)  성년례 

 

 

(1)  성년례

 


•  아이에서  어른으로  성장하는  질적  변화의  의미를  새기는  의례


•  목적 : 공동체에  동화시키고,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기초능력을  갖춘  어른이  되었음을  자각  하게  하는  의식


•  남아메리카  부족  중  기니아  아마존 : 성인을  나타내는  장식으로  귀나  입술에  구멍  뚫음


•  카브리족이나 아라족 : 개미에게 뜯기거나,  채찍을 견디게 함

 



(2)  서양


•  20세   생일날  성인으로서  지켜야  할  계율과  가문의  소중함과  가정과  사회에서의  역할을   인식시키는   의식을   함

 

 


(3)  성년례(관·계례)의  의미

 


•  고려  광종  16년(965)부터  시작


•  조선시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1940년까지  시행됨


•  이  때의  성년례는  왕실 / 사대부  등  상류에서  행해진  관례,  계례


•  관례 : 남아를  어른으로  인정하기  위해  땋았던  머리를  올려  상투를  틀고  갓을  씌우는   의식


•  계례 : 여아가  혼인을  정하거나  15세가  넘으면  땋은  머리를  위로  올려  쪽을  지어  비녀를  꽂는  의식  절차를  말함


•  민가에서는  경제적  부담으로  성년례  없었고  음력  7월  보름에  무거운  돌(들돌)을 들어  올려  마을   어른들께  축하받고  진세턱(술)을  내는  과정을  통해  성인으로  인정

 

 


①  현대  성년례의  의미

 


•  성년 : 일정  연령의  젊은이가  새로운  권리, 의무, 책임을  갖고  법률행위를  단독으로 할  수  있는 능력과  독립적  사회인이  됨을  의미


•  민법  제4조 : 만  20세가  되면  성년이  된다고  규정

 

 


②  현대  성년례의  절차

 


•  일정  절차  없음


•  20세  생일이나  성년의  날에  가족이  모여  덕담과  간단한  선물로  축하


•  대학, 회사, 공공기관  등에서 성년식  축하

 

 

 


3)  혼례

 


(1)  혼례의  의미

 


•  혼례 : 한  남자와  여자가  부부가  되는  혼인  의식


•  부부관계  맺는  의식, 개별적  측면보다  사회적 / 공적  측면이  큼

 

 


(2)  현대  결혼식

 


•  현대  혼례  전통문화와  서구문화가  혼합됨


→  웨딩드레스와  연미복  입고, 예식장  혹은  교회  등에서  서양식으로   함.  예식  후 전통혼례  일부인  폐백  통해   결혼식


•  폐백 : 신부가  시부모에게  첫  인사를  올리던  의례.


•  현재는  양가  부모님  모두에게  폐백  절을  함. 아들  딸 구별없이  신랑  신부가   양가의  자손이  되었음을  의미하는  새로운  풍습

 

 

 


4)  상례

 


•  상례 : 주검을  묻고  슬픔으로  근신하는  의식  절차에  관한  예절


•  관혼상제  중  가장  엄숙하고  정중하게  치뤄지는  의례

 



(1) 전통상례

 


•  초종 (임종 → 수시 → 고복 → 발상) → 습렴 (전습 → 소렴 → 대렴 → 성복) → 치장 (천구 → 발인 → 운구 → 하관 → 성분) → 흉제 (반곡 → 초우 → 재우 → 삼우 → 졸곡 → 부제 → 소상 → 대상 → 담제) → 길제의  절차로  진행됨


•  초종 : 처음  운명한  것으로  종(終)이란  세상을  하직했다는  뜻


•  습렴 : 시신  옷을  벗기고  향나무나  쑥  삶은  물로  씻는  것


•  치장 : 시신을  매장하기까지의   절차로   장지와   장일을   정해  구덩이를   파고, 신주를 만듦.


•  흉제 : 치장  끝나고  혼백을  상청에  모시고  거행하는  우제로부터  소상·대상·담제·길제가  끝날  때까지  각종  제례.


•  길제 : 담제  마치면  사자에  대한  상례를  다한  것이니  완전히  탈상

 

 

전통상례

 


(2)  현대식  상례의  절차

 


•  전통상례보다  간소화


•  상복 : 남자는  검정색  양복, 검정색  넥타이, 왼쪽 가슴에  검정색  상장을  닮. 여자는  한복, 흰색  혹은  검정색  치마저고리 입음


•  전통  상례에서는  상을  당한지  3년  되면  탈상했으나  현대는  집안에  따라  1년  혹은 100일, 49일,  짧게는  3일  만에  탈상

 

 

상례

 


5)  제례

 


(1)  제례의  의미와  역사

 


•  제례 : 생전의  부모를  섬기는  마음을  돌아가신  후에도  이어가려는  것. 고려  때  부터  의식으로   자리잡기   시작함


•  의식  참여에  남녀  차별, 장자봉사  관습은  조선  중엽  이후  주자학이  정치이념으로  뿌리  내리면서부터  시작됨

 

 

제례

 

 


(2)  제례의 종류

 


•  기일제 : 조상(고조까지)이  돌아가신  날에  지내는  제의.  돌아가신  날  첫   새벽,  돌아가신  조상과  배우자  함께  지냄


•  차례 : 명절에  지내는  제례로  설날, 한식, 한가위에  지냄


•  제수진설 : 제상에  제의음식  차리는  것, 가문에  따라  다소 다름


• 제수진설 순서 : 1.  과일,  2. 포와 나물,  3  탕,  4. 적과 전,  5. 메와 갱

 

 

 

 


(3)  현대식  제례

 


•  과거에  비해  우리  생활문화  가운데서  가장  많이  변함


•  서양  종교, 바쁜  현대생활이  제례문화를  변형시킴


•  장자전담  대신  형제들이  음식  준비하는  분담식  제사  늚


•  관광지에서   지내거나   배달업체에  주문해  제사  지내기도  함

 

 

 

 


가정생활예절 

 

 

 

1)  가정생활   생활규범

 


•  혼인으로   부부관계   형성되고, 자녀   태어나면, 종적인   부모와   자녀관계가   형성되고, 가정  형성


•  가정은  대인관계에  이루어지는  가장  기본적  단위


•  가정생활  생활규범을  가가례(家家禮)라  함

 

 


2)  가족간의  대화  예절

 


•  항렬  높거나  같은  항렬이라도  나이  많은  어른에게는  존대어  씀


•  항렬이나  나이  어린 사람에게는  낮춤  말 씀. 시집  온  며느리와  시댁  가족,  처가  쪽 아래  사람이라도  높임말  쓰기도  함


•  항렬 / 나이로  봐서  낮춤말  써야  하나  장년이  되어  사회적으로  대접받는  위치가 되면  보통  말씨로  대해  주는  것이  좋음

 

 

 

 

 

 


3)  절에  대한  일반  예절

 


(1) 답배(答拜)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  자녀, 손  자녀


•  나이가  적은  8촌  이내의  조카  등

 

 


(2) 서로  정중하게  맞절을  해야  하는  경우

 


•  남편의  형제자매


•  처형, 처제

 

 


(3) 반절로  답배하는  경우

 


•  장모가  사위에게  답배할  경우


•  형님의  사위에게  답배할  경우  등

 

 

 

절에 대한 일반 예절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과 문화> 강의정리 : 홍영근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728x90
반응형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가족과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생활주기와 문화  (0) 2022.09.05
세대 및 세대별 특징  (0) 2022.09.05
지식정보사회의 이해  (0) 2022.09.05
산업화 시대의 생활문화  (0) 2022.09.05
조선시대 생활문화  (0) 2022.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