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통과의례
▶통과의례 : 독일의 민속학자 게냅(Arnold van Gennep)
• 개인의 출생, 성년, 사망 등을 통과할 때 갖는 의식과 생일, 새해 등 생의 중요 사건을 확인할 때 갖는 의식
• 우리사회는 가족중심 의례를 갖기 때문에 가정의례라 함
• 관·혼·상·제를 사례(四禮)로 정하고 격식을 갖추어 행함
2) 통과의례문화에 대한 관점
(1) 평생의 과정에서 새로운 상황이나 지위·신분·연령 등을 거치면서 치러야 하는 의식들
(2) 의식들은 분리, 전이, 통합의 세 단계로 구성됨
(3) 분리, 전이, 통합의 세 하위 범주가 지역과 문화에 따라 다름.
(4) 의례 행위에서 중요한 것은 의례에 대한 태도
• 의례에 있는 본질적 의미를 찾음
• 올바른 가정생활 위해 통과의례 배우고 익히는 게 의미 있음
우리나라의 통과의례문화
1) 출생의례
▶ 출생의례는 아이가 세상에 태어나는 과정에 행하는 의례
(1) 출산 전 의례
• 아이를 낳기 위한 다양한 기자(祈子)행위를 함
• 기자행위 : 훌륭한 자녀를 얻으려는 소망을 담은 행위
▷ 치성기자 (삼신당, 절, 나무, 바위 등에 빎)
▷ 주술기자 (아들 낳은 산모 옷 입기, 부적 배꼽에 붙이기 등)
• 현대는 자녀 수 감소 / 남아선호사상 감소 → 기자행위도 점차 사라짐
(2) 임신과 출산의례
① 임신
• 임신에서 출산까지 아기가 건강하고 훌륭한 사람이 되기 원하는 마음으로 부부의 태교 강조
• 음식금기와 행위금기를 통해 태교
▷ 바르게 앉고, 칼로 벤 음식 먹지 않고, 음란한 소리 듣지 않고, 악한 것 보지 않음 등
② 출산
• 산실과 삼신상 차리기 : 출산 위해 산실 차리고, 물, 쌀밥, 미역국 세 그릇의 삼신상을 차려 삼신할미에게 자녀 순산 빎
• 금줄 : 출산 알리고, 출입금지, 장수 기원하는 줄을 대문에 매닮
▷ 남아 : 붉은 고추(남아상징 / 귀신 쫓는 매운 맛)와 숯(제독, 귀신흡수)
▷ 여아 : 청솔가지(정절)와 숯을 닮
③ 출산 후 의례
• 삼칠일 : 배꼽의 화농이 아물어 첫 번째 사망고비 넘긴 시기. 아기 보호하고 산모의 건강회복을 위한 의례적 행사
(3) 백일
• 태어난 지 백일째 되는 날을 축하하는 행사
• 두 번째 사망고비 넘긴 것 축하
• 목적 : 아기의 무사함 축복, 무병장수 기원, 복을 빌며 아기의 성장에 방해 되는 재액을 막는 것
(4) 돌
• 1년 되면 세 번째 사망고비 넘긴 것 축하
• 목적 : 여러 위험을 넘기고 건강하게 성장했음을 축하함
2) 성년례
(1) 성년례
• 아이에서 어른으로 성장하는 질적 변화의 의미를 새기는 의례
• 목적 : 공동체에 동화시키고,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기초능력을 갖춘 어른이 되었음을 자각 하게 하는 의식
• 남아메리카 부족 중 기니아 아마존 : 성인을 나타내는 장식으로 귀나 입술에 구멍 뚫음
• 카브리족이나 아라족 : 개미에게 뜯기거나, 채찍을 견디게 함
(2) 서양
• 20세 생일날 성인으로서 지켜야 할 계율과 가문의 소중함과 가정과 사회에서의 역할을 인식시키는 의식을 함
(3) 성년례(관·계례)의 의미
• 고려 광종 16년(965)부터 시작
• 조선시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1940년까지 시행됨
• 이 때의 성년례는 왕실 / 사대부 등 상류에서 행해진 관례, 계례
• 관례 : 남아를 어른으로 인정하기 위해 땋았던 머리를 올려 상투를 틀고 갓을 씌우는 의식
• 계례 : 여아가 혼인을 정하거나 15세가 넘으면 땋은 머리를 위로 올려 쪽을 지어 비녀를 꽂는 의식 절차를 말함
• 민가에서는 경제적 부담으로 성년례 없었고 음력 7월 보름에 무거운 돌(들돌)을 들어 올려 마을 어른들께 축하받고 진세턱(술)을 내는 과정을 통해 성인으로 인정
① 현대 성년례의 의미
• 성년 : 일정 연령의 젊은이가 새로운 권리, 의무, 책임을 갖고 법률행위를 단독으로 할 수 있는 능력과 독립적 사회인이 됨을 의미
• 민법 제4조 : 만 20세가 되면 성년이 된다고 규정
② 현대 성년례의 절차
• 일정 절차 없음
• 20세 생일이나 성년의 날에 가족이 모여 덕담과 간단한 선물로 축하
• 대학, 회사, 공공기관 등에서 성년식 축하
3) 혼례
(1) 혼례의 의미
• 혼례 : 한 남자와 여자가 부부가 되는 혼인 의식
• 부부관계 맺는 의식, 개별적 측면보다 사회적 / 공적 측면이 큼
(2) 현대 결혼식
• 현대 혼례 전통문화와 서구문화가 혼합됨
→ 웨딩드레스와 연미복 입고, 예식장 혹은 교회 등에서 서양식으로 함. 예식 후 전통혼례 일부인 폐백 통해 결혼식
• 폐백 : 신부가 시부모에게 첫 인사를 올리던 의례.
• 현재는 양가 부모님 모두에게 폐백 절을 함. 아들 딸 구별없이 신랑 신부가 양가의 자손이 되었음을 의미하는 새로운 풍습
4) 상례
• 상례 : 주검을 묻고 슬픔으로 근신하는 의식 절차에 관한 예절
• 관혼상제 중 가장 엄숙하고 정중하게 치뤄지는 의례
(1) 전통상례
• 초종 (임종 → 수시 → 고복 → 발상) → 습렴 (전습 → 소렴 → 대렴 → 성복) → 치장 (천구 → 발인 → 운구 → 하관 → 성분) → 흉제 (반곡 → 초우 → 재우 → 삼우 → 졸곡 → 부제 → 소상 → 대상 → 담제) → 길제의 절차로 진행됨
• 초종 : 처음 운명한 것으로 종(終)이란 세상을 하직했다는 뜻
• 습렴 : 시신 옷을 벗기고 향나무나 쑥 삶은 물로 씻는 것
• 치장 : 시신을 매장하기까지의 절차로 장지와 장일을 정해 구덩이를 파고, 신주를 만듦.
• 흉제 : 치장 끝나고 혼백을 상청에 모시고 거행하는 우제로부터 소상·대상·담제·길제가 끝날 때까지 각종 제례.
• 길제 : 담제 마치면 사자에 대한 상례를 다한 것이니 완전히 탈상
(2) 현대식 상례의 절차
• 전통상례보다 간소화
• 상복 : 남자는 검정색 양복, 검정색 넥타이, 왼쪽 가슴에 검정색 상장을 닮. 여자는 한복, 흰색 혹은 검정색 치마저고리 입음
• 전통 상례에서는 상을 당한지 3년 되면 탈상했으나 현대는 집안에 따라 1년 혹은 100일, 49일, 짧게는 3일 만에 탈상
5) 제례
(1) 제례의 의미와 역사
• 제례 : 생전의 부모를 섬기는 마음을 돌아가신 후에도 이어가려는 것. 고려 때 부터 의식으로 자리잡기 시작함
• 의식 참여에 남녀 차별, 장자봉사 관습은 조선 중엽 이후 주자학이 정치이념으로 뿌리 내리면서부터 시작됨
(2) 제례의 종류
• 기일제 : 조상(고조까지)이 돌아가신 날에 지내는 제의. 돌아가신 날 첫 새벽, 돌아가신 조상과 배우자 함께 지냄
• 차례 : 명절에 지내는 제례로 설날, 한식, 한가위에 지냄
• 제수진설 : 제상에 제의음식 차리는 것, 가문에 따라 다소 다름
• 제수진설 순서 : 1. 과일, 2. 포와 나물, 3 탕, 4. 적과 전, 5. 메와 갱
(3) 현대식 제례
• 과거에 비해 우리 생활문화 가운데서 가장 많이 변함
• 서양 종교, 바쁜 현대생활이 제례문화를 변형시킴
• 장자전담 대신 형제들이 음식 준비하는 분담식 제사 늚
• 관광지에서 지내거나 배달업체에 주문해 제사 지내기도 함
가정생활예절
1) 가정생활 생활규범
• 혼인으로 부부관계 형성되고, 자녀 태어나면, 종적인 부모와 자녀관계가 형성되고, 가정 형성
• 가정은 대인관계에 이루어지는 가장 기본적 단위
• 가정생활 생활규범을 가가례(家家禮)라 함
2) 가족간의 대화 예절
• 항렬 높거나 같은 항렬이라도 나이 많은 어른에게는 존대어 씀
• 항렬이나 나이 어린 사람에게는 낮춤 말 씀. 시집 온 며느리와 시댁 가족, 처가 쪽 아래 사람이라도 높임말 쓰기도 함
• 항렬 / 나이로 봐서 낮춤말 써야 하나 장년이 되어 사회적으로 대접받는 위치가 되면 보통 말씨로 대해 주는 것이 좋음
3) 절에 대한 일반 예절
(1) 답배(答拜)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 자녀, 손 자녀
• 나이가 적은 8촌 이내의 조카 등
(2) 서로 정중하게 맞절을 해야 하는 경우
• 남편의 형제자매
• 처형, 처제
(3) 반절로 답배하는 경우
• 장모가 사위에게 답배할 경우
• 형님의 사위에게 답배할 경우 등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과 문화> 강의정리 : 홍영근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가족과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생활주기와 문화 (0) | 2022.09.05 |
---|---|
세대 및 세대별 특징 (0) | 2022.09.05 |
지식정보사회의 이해 (0) | 2022.09.05 |
산업화 시대의 생활문화 (0) | 2022.09.05 |
조선시대 생활문화 (0) | 2022.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