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세대의 개념
① 삶에서 학교, 거주지, 직업, 배우자, 종교 등의 선택에서 쇼핑 등의 작은 선택까지 끊임없는 선택, 이 과정에서 개인의 정체감 형성
② 이런 특성을 동년배 집단과 동일시하면 특정의 ‘세대’라고 부름
③ 세대 : 아이가 성장하여 부모일을 계승할 때까지 30년 정도의 기간
④ 한 세대 : 출생에서 첫 자녀가 태어날 때 까지. 15년에서 30년까지의 기간을 한 세대로 봄
⑤ 세대차 : 연령차에 의한 구분이 아니라 특정 집단이 자신들의 삶에 대한 가치와 다른 동년배 집단들과의 가치관의 차이
⑥ 산업화된 43개 국가에 대한 조사 연구에서 한국이 “가장 세대차가 큰 사회”라고 지적
⑦ 독일 사회학자 Karl Mannheim : 다양한 세대의 공존은 사회변동의 원동력, 세대간 갈등과 충돌은 사회변화를 위해 필요한 자연스런 현상
⑧ Kerkzer 세대 개념
㉠ 항렬이 같은 사람들
㉡ 비슷한 시기에 출생한 사람들
㉢ 생애주기 단계가 동일한 사람들
㉣ 특정한 역사적 시기에 생존한 사람들 등
⑨ 해방 이후 분단, 산업화, 민주화, 정보화, 세계화의 단기간에 많은 사회변화를 겪으면서 다양한 명칭의 세대 형성됨
2) 세대 구분 및 세대별 특징
(1) 4·19세대
• 1960년 4·19혁명 주도한 세대, 당시 20대 초반 대학생 세대.
같은 해 벌어진 3·15 부정선거와 4·19혁명, 1961년 5·16 군사정변 등 정치적 격변기 거치면서 세대 형성
• 6·3세대와 한국 학생운동과 반정부·민주화 투쟁의 상징적 세대.
▷ 한국 학생운동사의 제1세대라 함
• 4·19혁명 주도한 학생들은 이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학계, 언론계 등에서 큰 영향력 발휘
(2) 6·3세대
• 1964년 6월 3일 굴욕적 한일회담 반대, 6·3 사태 주도하며 시위에 참가했던 세대
• 65년 6월 22일 한일기본조약 체결시까지 반정부 투쟁한 대학생들
• 넓게는 4·19세대, 1969년 3선 개헌 반대투쟁, 1970년대 초 유신반대 투쟁에 참가했던 민주화운동 세대 포함
• 1980년대 ~ 1990년대까지 한국 정계 주류 형성, 2000년대도 활발한 활동
(3) 386 세대
• '386’ : 1990년대 중반에 등장한 386 컴퓨터에서 딴 것
• '3'은 1990년대 당시 30대, '8'은 1980년대 대학 다닌 1980년대 학번, '6'은 1960년대에 태어난 사람
• 1960년대 출생, 1980년대 대학, 1990년대 30대였던 세대
• 넓게는 1960년대에 태어난 사람을 모두 386세대라 함
(4) X세대
• 1991년 더글라스 코플랜드가 출간한 책 제목
• 'X세대’ : 1960년대와 1970년대(65년 - 76년) 서구 산업국가에서 태어난 세대를 가리키는 유행어가 됨
• 특징
▷ '이해하기 힘들다'는 의미, 관념의 틀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생각하고 자신의 뜻대로 행동하는 특성 보임
▷ 자기중심적이고 소비에 민감하며, 컴퓨터와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세대 중 비교적 나이가 많은 연령층 의미
(5) y세대
• 미국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베이비붐 세대(미국에서 세계 제2차 대전 후 1946년 ~ 1965년 사이에 출생)의 자녀세대
• 1982년 ~ 2000년 출생. Y세대라는 용어는 미국에서 2000년에 주역이 될 세대
• 특징
▷ 다른 문화, 인종에 대한 거부감 적고, 지적 수준 높고, 반항, 도전정신 있음. 개인적, 개방적, 감성적
▷ 모방심리, 호기심 많고, 튀는 패션, 쇼핑 즐기고 소비력 왕성. 서구식 생활에 거부감 없는 16 ~ 23세 청소년
(6) Z세대
• 알파벳 끝 자, '20세기 마지막 세대’, 새롭고 특별한 것에 관심 많고 전통과 합리적인 것에 애정 갖는 세대.
X세대와 Y세대의 다음 세대
• 1995년 이후 태어난 19세 미만의 청소년
• 특징 :
▷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 2000년 초반 정보기술(IT)과 함께 유년 시절부터 디지털 환경에서 지냄. 신기술에 민감, 소비활동에 적극적, 옷, 신발, 책, 음반, 게임기 등 전자기기의 온라인 구매 비중 이 모두 50% 초과
(7 ) N세대
• ‘Net 세대’ 줄임말,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네트워크 세대’라는 의미. 1970년대 중반 이후 출생.
경제적 혜택과 문화적 혜택 누린 X세대 중 컴퓨터에 익숙한 세대
• 특징
▷ N세대 이전 TV세대가 일방적 지식, 정보 교육을 받았다면 N세대는 컴퓨터 통신 바탕으로 쌍방향 정보 교환에 익숙함
▷ 개인용 컴퓨터와 인터넷기술 이용하여 학습, 여가 활동, 쇼핑, 사교 등 많은 활동을 온라인에서 함
▷ 전화나 편지보다 이메일, 채팅에 익숙함
▷ 길거리의 정치판 대신 PC방 같은 자신만의 공간으로 숨었다는 비판
(8) M세대
• 모바일 세대(mobile generation) : M은 mobile의 약자, 디지털시대의 등장과 함께 출현한 세대
• 특징
▷ 휴대전화를 통화 이외의 용도로 사용. 휴대전화의 무선 인터넷을 이용해 뉴스 검색, 주식거래, 쇼핑몰에서 물건 구매
▷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에 주로 사용되는 이모티콘으로 소통하고 개인화된 특징을 가진 새로운 세대
(9) U세대
• 유비쿼터스 세대. 시공을 초월해 '언제 어디에나 존재한다'는 뜻의 라틴어, 장소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
• 1988년 제록스의 Mark Weiser가 '유비쿼터스 컴퓨팅' 이라는 용어 사용하면서 등장
• 특징
▷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U - 통신, U - 네트워크 등의 형태로 쓰임.
▷ 자동차, 냉장고, 안경, 시계, 스테레오 등에 컴퓨터 집어넣어 커뮤니케이션 가능하도록 함
▷ 유비쿼터스화 되면 가정·자동차, 산에서도 정보기술 활용 가능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과 문화> 강의정리 : 홍영근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가족과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한 가족생활 문화 (0) | 2022.09.05 |
---|---|
가족생활주기와 문화 (0) | 2022.09.05 |
통과의례문화 (1) | 2022.09.05 |
지식정보사회의 이해 (0) | 2022.09.05 |
산업화 시대의 생활문화 (0) | 2022.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