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퇴원계획의 모델
1) 종결 및 사전 지도 관리 모델
① 퇴원 시
- 병원제공 모든 서비스 종결
② 유일한 퇴원계획 과정
· Dr : 퇴원 후 약 처방 및 복용에 대한 교육
2) 의뢰 모델
① 퇴원에 대한 사전 지도 & 지원 + 다른 서비스 이용 지원
· 의뢰 하는 기관 & 받는 기관 & Client 사이의 상호작용 지원 안내
② 다른 기관으로 의뢰하는 과정 중 치료 종결 과정에서 보일 수 있는 환자 or가족의 심리 역동적 문제 개입
ex) 공격성 & 불안 & 두려움 등
3) 조종 모델
① Client 스스로 향후 서비스에 대해
독립적으로 협상할 능력을 갖춘 후 퇴원하는 것
② 환자 스스로 필요한 서비스 탐색 & 연결 & 접근하도록 돕는 것
③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존중이라는 측면
· 사회복지 이념 부합
2. 퇴원계획의 단계
1) 선별 및 확인 단계
· 퇴원 어려움이 있는 환자의 조기발견 & 문제 규명 위해
- 입원 시 사례발견 위한 공식적 장치 필요
→ 잠재력 환자 선별
· 환자 입원 초부터, 퇴원에 어려움이 있는 환자의 조기발견 위해
- 사회복지사의 조기 개입 시스템 구축 필요(상담의무화)
가. 입원 계획
✔ 입원 시 예상되는 문제 사전 조치 통해
· 집중적 치료 여건 마련 & 조기퇴원 유도하기 위한 과정
✔ 입원 전, 입원상담 통해 소요예상 진료비 & 자원연계대책 미리 계획
· 입원 시 불필요한 재원기간 감소
· 치료수준 등 퇴원 관련 분쟁 소지 감소
ex) 골수이식 & 장기이식
나. 사례발견
✔ 사례 발견의 방법 : 고위험 환자 스크리닝
✔ 대상 : 입원 & 입원 대기 환자
· 문제 발생 가능성이 높은 환자군 미리 발견
· 문제 사전 예방 및 조기 해결 도모
✔ 효과
- 장기 입원환자 조기퇴원 & 효율적 병상 회전 기여 의료분쟁 최소화
※ 의료사회복지사의 개입이 필요한 고위험 환자군 범주
① 장기 입원 예상 환자
✔ 진료비 지불 능력이 없는 환자, 보증인 확보가 부실한 환자
✔ 고가의 진료비 예상되는 환자, 진료비 납부 책임자가 3자인 경우
② 퇴원에 있어 심리·사회적 문제나 의료적 문제가 있는 환자
✔ 결손가정의 환자, 미혼부모, 10대 부모
✔ 신생아에 문제가 있는 경우, 자살위험이 있는 환자
2) 개입 동의 및 정보 수집 단계
* 퇴원관련 정보 수집
의료적 상태, 치료진과의 관계, 환자와 가족의 태도, 정서적 문제, 물리적 환경, 경제적 문제, 퇴원 후 주거지, 활용 가능한 자원체계 등 포괄적으로 정보수집
가. 퇴원계획의 정보 수집 요소
1. 일반적 정보
① 진단명
② 진료와 주치의
③ 입원일, 전과일, 재원일수
④ 의료보장
⑤ 진료비부담
⑥ 직업
⑦ 가족현황
⑧ 가옥구조
⑨ 거주지
⑩ 진료비 발생 현황
2. 병력과 예후
① 현재 의료적 문제
② 향후 치료 계획
③ 예상 장애
✔ 장애부위 및 정도, 장애구분 : 인지, 정서, 지체, 언어 등
④ 보호제공의 문제
✔ 일상생활능력측정지원 : 식사, 몸단장, 목욕, 세면 등
✔ 간호, 보호기술 유무
3) 사정, 퇴원계획 수립 및 적용 단계
✔ 환자 퇴원 방해 요소 & 자원적 도움 요소 파악
· 환자의 퇴원 문제와 관련된 요인 사정
· 퇴원계획 수립시 상담과 교육 & 팀 접근적 서비스 조정 & 지역사회 활성화 통해 퇴원계획 적용 필요
가. 퇴원계획 사정 시 고려 요소
1. 퇴원계획
① 시기 ② 장소 ③ 보호자 ④ 욕구
2. 퇴원문제
① 적절한 퇴원계획의 부재
② 퇴원시기의 조정문제
③ 퇴원 후 거주지 부재
④ 퇴원 후 보호 제공자의 부재
⑤ 진료비 문제
⑥ 환자의 입원치료 관련 법률 소송문제
⑦ 제3자 지불체계로 인한 가족의 퇴원 지연
⑧ 가족의 퇴원 필요성 인식부족 및 병식 부족
⑨ 환자 및 가족의 극단적 퇴원 거부
부산디지털대학교 의료 사회복지 실천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의료사회 복지실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사회복지실천의 평가 (0) | 2022.08.10 |
---|---|
퇴원계획의 목적과 원칙 (0) | 2022.08.10 |
퇴원계획의 정의와 필요성, 관점의 변화 (0) | 2022.08.10 |
중간수준의 의료사회복지실천(2) (0) | 2022.08.10 |
중간수준의 의료사회복지실천(1) (0) | 2022.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