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료사회복지실천의 평가의 의의와 중요성
- 평가(outcome evaluation) : 개입활동 전반에 대한 평가
· 사회적 책무성(accountability) 증명을 위한 필수 작업
· 기본전제
-> 효과성(effectiveness) + 효율성(efficiency)
✔ 효과성(effectiveness) : 기대했던 결과가 실제 달성된 정도
✔ 효율성(efficiency): 투입(자원 & 노력)에 대비 얻은 결과 (경제성)
=> 평가계획은 개입 계획 시 미리 고려 필요
1) 의료사회복지실천의 평가 의의
가. 의료사회복지실천영역의 평가 중요성 강조
나. Fisher(1973), 「개별사회사업은 효과적인가?」
✔ ‘사회복지개입이 효과적임을 증명하는 증거가 없다’ 주장
· 효과 입증 위해 - 효과적 실천을 위한 지식과 기술 개발
- 효과성 입증 위한 노력 : 평가에 대한 관심 고조
다. 우리나라의 경우
· 1997년부터 사회복지관 평가시행 => 사회복지서비스 책임성 강조
*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조사연구 중요성, 유용성 인정하나, 실제 조사연구수행, 연구결과 실천에 활용 - 미약
2) 의료사회복지실천의 평가가 어려운 이유
사회복지조직(social welfare organization) - 특성과 관련 ·
Client에게 사회서비스 직접제공 or 계획 통해
- 인간(사회문제) 해결 & 완화시키는 기능 수행하는 조직
* 서비스 전달과정에서 타 조직과의 차이는?
사회복지조직의 특성 | |
주 대상 | 도덕적 가치를 가진 인간– 자체가 평가 어려움 |
지식과 기술 | 인간속성 완전한 이해 가능한 지식 & 기술 부재 - 관찰 & 측정 불가요소많음 |
효과성 측정 척도 | 효과성 측정 도구 부족(어려움) - 인간의 속성(관찰 & 측정 어려움) - 서비스 기술의 불확실성 |
※ 의료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도 동일
3)의료사회복지실천 평가의 필요성
가. 의료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 기대 증가
· 의료이용인구의 증가(건강보험의 확대)
· 의료시설 및 지역사회로의 서비스 개입 범위 확대
· 만성 질환자의 증가로 인한 욕구 증가
· 의료사회복지서비스의 양적 증가
- 할당된 자원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는가?
· 책임성 요구
나. 다른 전문직간 효율적인 팀 협력 위해 필요
· ex) 의사, 간호사, 영양사, 심리학자, 물리치료사 등
· 효율적인 팀 접근 위해
- 역할 분담 + 다른 전문직과 개입 결과 & 평가 논의
- 정밀 & 다양한 평가 필요
다. 의료사회복지의 전문성 확보 위해 필요
· 의사 vs 사회복지사 개입의 차이 존재
구분 | 도구 | 개입, 중재의 결과 | |
의사 | 진단 | 질병에 대한 과학적 기술적 검사 & 진단 |
•실증적 결과 ex) 상태 호전 증상 제거 |
사회 복지사 | 사정 | 심리·사회적 문제, 욕구 사정 (객관성 확보 어려움) |
•실증적 결과 - 증명 어려움 |
라. Client에 대해 질 높은 서비스 제공 위해 필요
· 조사 & 평가과정 거쳐
- 환자, 가족에 도움이 되는 개입방법 & 프로그램 확인 -> Client에게 양질의 서비스 제공 가능
마. 의료사회복지의 개입 정당성 확보 위해 필요
· 평가과정을 거쳐
- SW 개입 방법 & 기술 효과성 증명시 -> SW 개입 정당성 확보 가능
공공부문 & 민간영역 SW 확대
2. 의료사회복지실천의 평가의 개념과 유형
1) 평가의 개념
✔ 평가의 정의
· 사물 or 속성에 대한 가치(or 수준)판단 의미
- 가치판단 위해서는 판단의 근거 or 표준 필요
· 사회복지에서 평가란?
· 사회복지기관에서 포괄적 활동을 체계적으로 판단하는 것
ex) 사회복지 프로그램 & 기관의 계획 & 수행 & 활용 등
2) 평가의 유형
가. 자료의 속성에 따른 분류
양적 평가 | 질적 평가 |
• 계량화가 가능한 경우 ex)통계분석 & 질병 역학조사 | • 계량화가 곤란한 경우 ex)사례분석 |
나. 평가의 시기에 따른 분류
형성 평가 | 총괄 평가 |
• 개입방법의 과정사정 ex) 개입, 프로그램 진행과정상 문제점 파악 및 수정, 보완 |
• 개입방법의결과사정 ex) 성과, 효과 연구 다양한 개입방법의 효과성, 효율성 사정 |
다. 개입대상에 따른 분류
개인, 집단 가족 대상 | 지역사회 대상 |
• SW 개입 노력 사정하는 실천평가(practice evaluation) ex) 임상적 결과 중시 |
• 지역사회를 단위로 하는 프로그램의 효과성& 효율성 평가 ex) 통계적 의미 중시 |
학습정리
1. 의료사회복지실천의 평가의 의의와 중요성
· 의의
- 사회적 책무성 증명을 위한 필수작업 (효과성 & 효율성)
· 중요성
- 의료사회복지 양적수요증가로 인한 책임성 확보
- 전문직 간의 효율적 팀 협력 & 전문성 확보
- 질 높은 서비스 제공 & 개입의 정당성 확보
2. 의료사회복지실천의 평가의 개념과 유형
· 사회복지에서 평가
- 사회복지기관에서 포괄적 활동을 체계적으로 판단하는 것
· 유형
- 자료의 속성 : 양적평가와 질적평가
- 평가의 시기 : 형성평가와 총괄평가
- 개입 대상 : 개인, 집단, 가족 대상과 지역사회대상
부산디지털대학교 의료 사회복지 실천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의료사회 복지실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사회복지실천의 기록 (0) | 2022.08.11 |
---|---|
의료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 평가와 윤리 (0) | 2022.08.11 |
퇴원계획의 목적과 원칙 (0) | 2022.08.10 |
퇴원계획의 모델과 단계 (0) | 2022.08.10 |
퇴원계획의 정의와 필요성, 관점의 변화 (0) | 2022.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