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낮병원의 이해
1) 낮병원의 도입배경
- 아무리 심한 정신장애를 가졌다고 하더라도, 대부분의 정신장애인은 입원장면보다 덜 제한적이고 비용이 적게 드는 환경에서도 성공적으로 치료될 수 있다는 믿음
2) 낮병원의 특징
- 부분입원(낮 병원 & 밤 병원 & 주말 병원 등) 개념에서 가장 대표적
- 입원치료의 대안적인 형태
- 입원치료 & 외래치료 장점 혼합
-> 외래치료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집중적인 프로그램 제공 가능 -> 입원치료에서 오는 부작용 최소화
3) 낮병원의 목적
- 원활한 사회복귀 극대화 도모
4) 낮병원의 사례
- 미국
-> 일반적으로 주 20-30시간 프로그램 운영 -> 정신장애를 가진 client : 25~30명
-> 치료팀 접근 : 정신의학자 + 사회복지사 + 간호사 + 임상심리사 등(4~5명)
5) 낮병원의 발달과정
- 병상없는 병원 : 1930년대 러시아에서 최초 개원
- 24시간입원 보완, 정신치료 강조 : 캐나다 카메론(cameron)에 의해 시행
- 사회활동 강조 : 영국 바이에르(bierer)의 사교클럽(social club model)
-> 낮병원 출현 촉진
- 미국 탈원화 운동 : 1960년대 낮병원 지역사회 중심의 정신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서비스로 인식 -> 오늘날 낮 병원 체계 구축에 많 은 기여
- 국내 처음 도입 : 1980년 중반, 건강보험체계의 미비 등으로 중단
- 본격적 도입(1993) : client, 만성화 방지 & 사회복귀 촉진 효과적 & 정신장애인 재활에 필수적이라는 인식 확산
- 건강보험 청구 가능(1995) : 낮병원 서비스 건강보험 청구 가능
-> 오늘날 낮병원의 활성화에 큰 기여
2. 낮병원의 개입모델
- 부적절한 사회기술 향상 & 부적당한 행동 개선 위해 심리적 지지 제공
- 참석자 특성을 고려한 세 모델로 구성
1) 집중 치료모델
가. 전통적인 입원치료 대체형태(집중적 & 포괄적 접근)
- 입원병동에서 제공되는 많은 서비스들을 계속 제공
- 입원치료 시 퇴행적 & 파괴적인 영향 최소화하도록 고안
나. 입원서비스 가까운 위치 강조
- 필요시 정신장애인의 전원(Transfer)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 대상
- 병식 부족 or 약물치료 저항적 client
- 입원치료가 가지는 포괄적인 치료 요구되는 client
2) 만성정신장애인의 치료모델
가. 회복에 대한 적절한(수준에 맞는) 기대 & 지지적 접근
- 증상에 대한 높은 내성 가진 만성 정신장애 client
- 가족 도움 받아야만 하는 만성 정신장애 client
- 지역사회에서 황폐화될 것이 틀림없는 만성 정신장애 client
나. 대상
- 보다 적극적인 치료프로그램을 견딜 수 없는 만성정신장애 client
3) 재활모델
가. 외래치료의 대안
- 목적 : 직업적 활동에 필요한 기술 습득
나. 직장과 유사한 환경으로 운영(강한 지지와 구조 제공)
- 직업활동 준비에 많은 비중
예) 직업 수행에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 교육 높은 치료 목표 & 엄격한 출석 요구
다. 대상
- 사회적 기능 수행 손상 심한 정신질환 client
부산디지털대학교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기술훈련 (2) (0) | 2022.07.14 |
---|---|
사회기술훈련 (1) (0) | 2022.07.14 |
낮병원(부분입원) (2) (0) | 2022.07.14 |
정신사회재활의 구성요소 (0) | 2022.07.14 |
정신사회재활의 이해 (0) | 2022.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