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문화다양성을 위한 국가의 대응방식
4) 복합주의 모델
º 한 형태의 정책을 구사하기 보다 정책 사안별로 동화주의나 차별적 배제모델, 다문화주의 모델의 정책을 구사함
예) 일본 : 동화주의에서 다문화주의로의 이행
º 자국의 고용시장을 고려하여 이주노동자에 대해 차별적 배제정책을, 결혼이주 에게는 다문화주의를 선택할 가능성 높음
▶ Castles & Miller의 사회통합 모델
3.문화변용 전략
▶ 문화변용이란?
문화가 다른 두 집단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접촉할 경우, 어느 한쪽 또는 양쪽 사회구성원들의 고유 문화양식에 변화가 초래되는 것
▶ 문화변용 전략
문화 변용과정에서 모든 개인과 집단이 주어진 상황과 조건에 따라 각기 다른 대응방식을 선택하는 것
▶ 문화변용 전략의 분류 기준
① 수용성
어떤 이주민집단이 기존 사회와의 접촉이나 관계 유지에 대해 긍정적인가 혹은 부정적인가로 나누는 것
② 정체성 유지
이주민 집단의 구성원들이 자신들의 정체성과 특징을 유지하는 데 적극적인가 혹은 소극적인가로 나누는 것
▶ 문화변용 전략 유형
①동화
이주민들이 자신들이 가진 고유한 문화적 정체성과 특성을 유지하는 데 적극적이지 않으면서 기존 문화를 수용하는 것에는 적극적인 태도를 갖는 것
②분리
이주민들이 기존 문화를 수용하고 접촉하는 것에는 소극적이면서, 자신들이 가진 고유한 문화적 정체성과 특성을 유지하는 것에 강한 집착을 갖고 있는 경우
③통합
이주민들이 자신들이 가진 고유한 문화적 정체성과 특성 유지에 적극적이면서도 기존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접촉하는 경우
④주변화
이주민들이 자신들이 가진 고유한 문화적 정체성과 특성을 유지하는 것에 소극적 일 뿐 아니라, 기존 문화를 수용하고 접촉하는 것에도 소극적인 경우
▶ Berry의 문화적응 모형
▶ 사회통합
º “ 비통합적인 상태에 있는 사회 내 집단이나 개인들이 서로 적응함으로써 단일한 집합체로 통합되어 가는 과정 ”
º 사회적인 갈등을 제어하고 사회적 합의를 창출하는 동시에 사회의 내적 결속력 을 높이는 기능을 담당함
▶ 다문화주의
º 모든 다양한 민족집단을 포함한 전체 사회가 다양성을 수용하는 경우
학습정리
2) 문화다양성을 위한 국가의 대응방식
- 복합주의 모델
- 한 형태의 정책을 구사하기 보다 정책 사안별로 동화주의나 차별적 배제모델, 다문화주의 모델의 정책을 구사함
- Castles와 Miller의 사회통합 모델 특징 비교
3) 문화변용 전략
- 문화변용이란
- 문화가 다른 두 집단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접촉할 경우, 어느 한쪽 또는 양쪽 사회구성원들의 고유 문화양식에 변화가 초래되는 것
- 문화변용 전략의 분류 기준 : 수용성과 정체성 유지
- 문화변용 전략의 유형 : 동화, 분리, 통합, 주변화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와 문화다양성 강의정리 : 권량희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회복지와 문화 다양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다문화 정책(2) (0) | 2022.07.12 |
---|---|
미국의 다문화 정책(1) (0) | 2022.07.12 |
다문화사회 관련 이론(2) (0) | 2022.07.12 |
다문화사회 관련 이론(1) (0) | 2022.07.12 |
세계화와 인권(3) (0) | 2022.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