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문화주의와 시민권
▶ 시민권이나 국적에 대한 법률 원칙
속인주의 (law of the blood) | 속지주의 (law of the soil) |
해당 국가 국민과의 혈연관계를 조건으로 국적 부여 오스트리아, 독일과 같은 종족적 민족주의에 입각한 국가 |
해당 국가의 영토 내에서 출생을 한 경우 국적 부여 미국, 캐나다, 호주와 같은 다양한 종족 집단으로 구성된 국가 |
➔ 최근 대부분의 국가에서 두 가지 원칙을 함께 적용하고 있음
▶ 시민권이나 국적에 대한 법률의 근거
- 국제이주현상의 증가와 한 사회 내 문화적 다양성 심화 ➠ 다양성에 대한 인정이 전통적인 시민권 개념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비판 등장 ➠ 다문화시민권 등장
▶ 다문화시민권
º 시민권에 사회권의 도입에 이은 또 다른 시민권 개념의 확장
º 개인이 아닌 집단을 권리의 대상으로 간주
- 기존 시민권 인식에 대립되는 개념
- 전통적인 시민권에 문화권을 포함시키는 것
▶ 문화권
º 해당 사회의 법을 준수하고 인권이나 민주주의와 같은 원칙을 존중한다는 조건 하에 소수민족 집단에게 부여되는 권리
º Will Kimlicka : 주류사회의 사회문화로부터 배제되어 온 소수자들이 주류사회의 구성원과 동등한 권리와자유를 보장받기위해서는소수민족∙문화 집단에게 차별화된 권리를 부여함으로써 국가는 이들의 문화적 권리를 시민권의 영역으로 인 정하고, 이러한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공공정책과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
2.문화다양성에 대한 국가의 대응방식
[Castles & Miller(2009)]
1) 차별적 배제모델
① 특정 국가의 국민이나 특정 직업인, 특정 기술인, 자국에 일정 정도 이상의 자본을 투자하려는 외국인 또는 이민자 등 엄격한 조건을 통과한 사람에게만 차별적으로 유입을 허가해 주는 배타적 외국인 이민정책
② 하나의 국가나 민족이 하나의 문화를 가진다는 이데올로기 반영
③ 단일민족주의에 입각한 민족 관점을 가지고 있는 국가에서 주로 나타나는 현상
④ 특징
º 장기 체류를 원하거나 영주권을 취득하려는 이민자는 받아들이지 않음
º 3D 직종과 같은 자국 내에서 충당하기 어려운 특정 경제적 영역에만 단기 취업자로 한시적으로 유입을 허가
º 이주민 정착을 위한 다문화 정책을 거의 시행하지 않고, 이주민에게 복지혜택, 국적 획득, 정치참여의 기회를 주지 않음
º 대표적 국가 : 스위스, 벨기에, 오스트리아, 독일 등
º예
-1960년대 독일의 이주통합방식으로서 게스트 워커제도 ,(guest worker system),
미국의 게스트 워커제도, 우리나라의 이주노동자에게 부여한 고용허가제 등
2) 동화주의 모델 : 용광로 모델
① 이질적인 문화를 가진 이주민 또는 소수집단들이 유입되어 사회적인 구심력이 약화되면 공동체가 와해될 것을 우려하여, 이주민 또는 소수집단이 가진 문화 를 주류 문화에 일방적으로 흡수시키려는 사회통합정책
② 특징
º 이주민과 소수집단의 정체성과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음
º 국가의 다양한 정책은 소수집단의 동화과정을 가속시키기 위한 사회적 조건을 제공함
º 이주민에게 자국민과 같은 국적과 시민권을 허용해 주는 대가로 이주민의 언어, 문화, 사회적 특성 등의 정체성을 포기하도록 요구하여, 주류 사회의 일원 으로 편입시키려 함
º예
-1960년대까지 미국사회가 표방한 용광로(melting- pot)정책
-프랑스의 초기 이주노동자 유입시의 공화주의(동화주의) 정책
-우리나라의 결혼이민자 대상 다문화주의를 표방한 동화주의 정책
※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단일하거나 절대보편적인 가치 및 행위의 준거 기준이 있다.”[프랑스의 공화주의적 동화주의 ] ➠ 프랑스 사회의 구성원이 되기를 원하는 이민자들에게 문화적 동화를 대가로 치르는 조건으로 프랑스 국민으로 합류하는 것을 허용하는 정책
학습정리
1) 다문화주의와 시민권
- 시민권 개념의 확장
- 개인이 아닌 집단을 권리의 대상으로 간주하고, 전통적인 시민권에 문화권을 포함시킴
2) 문화다양성에 대한 국가의 대응방식
- 다문화사회 이론 : 차별적 배제모델, 동화주의 모델, 다문화모델, 복합주의 모델
2) 문화다양성에 대한 국가의 대응방식
- 차별적 배제모델 :특정 국가의 국민이나 특정 직업인, 특정 기술인, 자국에 일정 정도 이상의 자본을 투자하려는 외국인 또는 이민자 등 엄격한 조건을 통과한 사람에게만 차별적으로 유입을 허가해 주는 배타적 외국인 이민정책
- 동화주의 모델 :
이질적인 문화를 가진 이주민이나 소수집단들이 유입되어 사회적인 구심력이 약화되면 공동체가 와해될 것을 우려하여, 이주민이나 소수집단이 가진 문화 를 주류 문화에 일방적으로 흡수시키려는 사회통합정책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와 문화다양성 강의정리 : 권량희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회복지와 문화 다양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문화사회 관련 이론(3) (0) | 2022.07.12 |
---|---|
다문화사회 관련 이론(2) (0) | 2022.07.12 |
세계화와 인권(3) (0) | 2022.07.12 |
세계화와 인권(2) (0) | 2022.07.12 |
세계화와 인권(1) (0) | 2022.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