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건강가정론

다문화가족·북한(이탈주민)가족의 건강성

728x90

1. 다문화가족의 건강성 

 

1) 다문화가족의 정의와 현황


(1) 다문화가족의 정의


-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제2조제3호의 결혼이민자 또는 「국적법」 제2조(출생에 의한 국적 취득), 제3조(인지에 의한 국적 취득), 제4조(귀화에 의한 국적 취득)까지의 규정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


- 「국적법」 제3조, 제4조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와 같은 법 제2조부터 제4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


-  2011년  다문화가족지원법  개정  :  2012년부터  혼인귀화자외에  기타  사유  국적 취득자(인지, 귀화)도 다문화가족에 포함됨


- 다문화가족이란? 

결혼이민자와 국제결혼에 의한 자녀와 가족구성원들을 모두 포 함시켜 포괄적으로 정의


(2) 다문화가구 구성 및 가구원수별 가구


(단위 : 명)

연도 2016 2017 2018 2019
316,067 318,917 334,856 353,803
내국인(귀화) 47,004 57,842 60,707 62,945
내국인(출생)+ 내국인(귀화) 77,702 77,70275,957 77,281 81,285
내국인(출생)+ 외국인(결혼이민자) 115,786 115,876 120,283 124,514
내국인(출생)+ 다문화자녀 27,759 26,210 31,236 35,913
내국인(귀화)+ 외국인(결혼이민자) 14,387 14,284 16,118 18,084
기타 33,429 28,748 29,231 31,062

 

 

(3) 결혼이민자·귀화자의 한국생활 어려움

 

                                                                                (단위 : %)

[출처] 여성가족부(2018)

 

 

(4) 유배우 결혼이민자·귀화자의 배우자 만남 경로
 

                                                                                          (단위 : %)

[출처] 여성가족부(2018)

 

 

 

(5) 결혼이민자·귀화자의 부부간 문화적 차이 정도
 

                                                                                       (단위 : %)


[출처] 여성가족부(2018)

 


(6) 결혼이민자·귀화자의 부부간 문화적 차이 유형(복수응답)


                                                                                            (단위 : %)

 

[출처] 여성가족부(2018)

 

 

2) 다문화가족지원 서비스와 전망 

 

(1) 다문화가족 지원 서비스


º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문화가족에 대한 여러 정책지원이 실시되고 있음
-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 치중

- 초기 적응에 중점을 둠


º 다문화가족의 욕구에 맞춘 정책지원 필요
- 다문화가족 교육 지원 서비스 접근 확대 필요
- 다문화가족 특성 및 발달 욕구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필요
- 자녀가 초중고에 진학함에 따라 지원방안이 개선되어야 함


º 재혼가족 증가에 따른 중도입국 청소년 가족도 증가 

- 기존의 다문화가족 서비스와는 다른 관점과 전략 필요


(2) 결혼이민자·귀화자 등의 교육 및 지원 서비스 요구도


                                                                          (단위 : 점)

교육 및 지원 서비스 요구도 2015 2018
가정방문을 통한 각종 교육 3.11 3.17
한국어교육, 한국사회 적응교육 2.97 3.22
통번역 서비스 지원 2.44 2.79
임신∙출산지원 2.47 2.95
부모교육 2.94
자녀언어발달지원, 이중언어교육 2.72 2.68
자녀생활, 학습지원 3.13 2.87
사회활동지원(자조모임 등) 2.70 2.87
각종상담 2.89 3.14
일자리교육, 일자리 소개 3.30 3.51
아이돌보미 지원 2.78 2.71

 

 

2. 북한(이탈주민)가족의 건강성 

 

1) 북한(이탈주민)가족의 정의와 현황 

 

(1) 북한가족의 정의


-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 북한이탈주민 : 북한에 주소, 직계가족, 배우자, 직장 등을 두고 있는 사람으로서 북한을 벗어난 후 외국 국적을 취득하지 않은 사람
- 가족 중에 한 사람 이상이 북한이탈주민으로 구성된 가족 

 

(2) 북한이탈주민 및 가족현황


-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 시기 이후 북한주민의 탈북이 계속되는 북한 경제의 침체
- 김정일 시대에서 김정은 시대로 이어지는 과정에서의 정치적 불안 

☞ 북한이탈 주민들의 입국은 지속적으로 증가
- 2019년 12월 국내에 유입된 북한이탈주민의 수 : 33,523명 

 

2) 북한(이탈주민)가족의 문제점과 과제


(1) 북한가족의 문제점

 

 

(2) 북한가족 서비스

 

 

(3) 북한가족의 과제와 전망


º 가족강화 프로그램
- 자본주의에 대한 학습, 직업능력 개발, 대인관계 등에 대한 학습에 집중하여 가족 프로그램은 매우 부족한 실정


º 부부관계 프로그램
- 사회주의 국가와 자유∙인격을 존중하는 문화적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부부 프로그램 필요


º 중도입국 북한이탈주민 청소년을 위한 특화 프로그램 필요

- 북한이나 중국에 오랫동안 방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실감과 양가감정을 다룰 수 있는 특화된 프로그램 필요

 

 

 

 

학습정리 
1. 다문화가족의 건강성
- 결혼이주여성들의 어려움 : 경제적 어려움, 외로움, 언어문제, 자녀양육 및 교육 순
- 문화적 차이 : 식습관, 의사소통, 가족 행사·의례, 자녀양육방식, 저축 등 경제생활 순
- 다문화가족의 욕구에 맞는 정책지원 필요, 중도입국청소년 지원 필요 
2. 북한(이탈주민)가족의 건강성
- 문화적 소통의 단절로 인한 적응과 수용의 어려움, 심리적 위축 같은 정서적 문제
- 가족강화 프로그램, 북한이탈주민들 대상 부부관계 프로그램, 중도입국 북한이 탈주민 청소년들을 위한 특화된 프로그램 필요

 

 

 

 

 

 

부산디지털대학교 건강가정론 강의정리 : 박소영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