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건강가정론

재혼가족·맞벌이가족의 건강성

728x90

1. 재혼가족의 건강성 

 

1) 재혼가족의 정의와 현황 

 

(1) 재혼가족의 정의


- 계부모가족, 의붓가족, 혼합가족, 재결합가족 등
- 이미 한 번 또는 그 이상 결혼하여 가정을 이룬 남성이나 여성이 다른 배우자와 새롭게 가정을 재구성하는 것

 

[ 혼인종류별 건수 ]

(단위 : 천, 비율:%)

  2009 2014 2019 구성비
309.8 305.5 239.2 100.0
남(초)+여(초) 236.7 239.4 184.0 76.9
남(재)+여(초) 13.9 12.0 9.8 4.1
남(초)+여(재) 19.0 18.4 15.0 6.3
남(재)+여(재) 39.8 35.5 29.4 12.3

[출처] 2019년 혼인∙이혼 통계 보도자료(2020.3.19.)

 

 

- 남녀 모두 초혼인 부부는 전체 혼인의 76.9%,
- 남녀 모두 재혼은 12.3% 차지

 


[ 혼인종류별  구성비 ]

 

 

 

[출처] 2019년 혼인∙이혼 통계 보도자료(2020.3.19.)


- 90%이상이 이혼자의 재혼임 

 

2) 재혼가족의 문제점


(1) 새로운 부모 및 자녀 간의 갈등 

 

- 계부모와 자녀관계의 정립
- 자녀의 선택으로 맺어진 혈연관계가 아니므로 

- 급만성적 갈등을 유발할 수 있음
- 인내와 기다림이 없는 당위성은 때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며, 스트레스로 작용하게 되는 요인
- 현재의 상태를 있는 그대로 수용
- 아무리 어린 자녀라 할지라도 서로의 인권과 개별적인 개성과 인격을 존중하는 태도 중요


(2) 부부 갈등


- 인위적으로 형성된 가족체계 속으로 편입해야 하는 부담감에 적응해야 하는 과정이 요구 됨
- 경우에 따라 더욱 불안정한 관계를 형성할 가능성이 있음
- 가정의 규칙과 교육 및 가치관에 대한 상호존중은 부모의 몫만이 아닐 수 있으며, 이는 재혼부부의 새로운 갈등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 적응과정에서의 지원이 필요


(3) 재혼에 따른 가족 경계의 재성립


- 새로운 가족에 적응하는 건강한 가족경계선의 확립과  그에 따른 건강성의 확립
- 어떤 가족원은 상실되고 어떤 가족원은 추가되는 것이므로 스트레스나 우울감 및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의 방식으로 악순환되지 않도록 가족정책적인 지원 필요


3) 재혼가족의 기대


(1) 보상기대


- 첫 번째 배우자에게 불만족했던 경우 재혼에서 그 보상을 찾으려고 하는 기대감
- 새로운 배우자에게 더 많은 기대감으로 작용하게 하여 스트레스를 줄 수 있음
- 새 배우자에게 친절과 진실 및 성실감을 기대하게 하나, 이는 양쪽 당사자가 갖추어야 하는 상호 관계성을 전제하는 덕목으로 기대와 책임이 함께 따름


(2) 흑백논리의 적용 가능성


- 아동과 계부 혹은 계모의 관계에 있어서 상대방을 규정하는 논리 

- 자신의 선입견과 편견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음
- 인간관계는 상호성이 존재함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


(3) 착한 부모 혹은 착한 자녀 콤플렉스


- 각 당사자는 착한 부모 혹은 착한 자녀 콤플렉스가 형성될 수 있음을 인지하는 것이 필요 

- 재혼에 대한 기대감에서 비롯될 수 있음

- 자기분화가 없는 상태에서의 착한 역할 콤플렉스는 관계의 진실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음
- 개별성을 존중하고 자녀가 느끼는 혼란의 감정을 스스로 정리할 기회와 적응의 시간을 주는 것이 바람직함


4) 재혼가족의 과제와 전망


(1) 재혼가족에 대한 인식 변화


- 정상가족이라는 선입관을 버리고 비슷한 상처가 있거나 이해할 수 있는 사람끼리 돕고 사는 공동체로 재혼가족을 규정할 필요가 있음
- 사회적으로 다양한 가족형태가 존재하고 그것은 일탈된 가족형태가 아니라 그대로 인정되어야 하는 사회적 수용성을 끌어내기 위한 인식 전환이 필요함


(2) 재혼가족 프로그램 개발


- 가족은 구성원들 간의 노력과 합의에 의해서 만들어짐 

- 재혼 전 사전교육 : 재혼가족 경계의 모호성 해결
- 재혼가족에 대한 지지집단으로서 친족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재혼가족의 발달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2. 맞벌이가족의 건강성


1) 맞벌이가족의 정의와 현황


(1) 맞벌이가족의 정의


- 결혼한 부부가 모두 직업을 가진 경우
- 부부만의 또는 부부와 자녀 또는 조부모와 친척들로 구성된 가족형태


(2) 맞벌이가족의 현황


- 여성의 학력 증가 

☞ 취업에 대한 욕구 증가, 여성의 자아실현 욕구 증대, 사회적·경제적 활동에 대한 인식 제고, 경제적 기대 충족을 위한 맞벌이 요구의 확산 

☞ 여성의 경제활 동 참가율 증가
- 여성 고용률 51.3%로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
- 여성임금 근로자 중 41.5%가 비정규직, 그 중 53.6%는 시간제 근로자(여성가족부∙통계청, 2019)


2) 맞벌이가족의 문제점


(1) 자녀양육 및 교육

 

-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 M자 곡선(25세 이후에 급격히 떨어져 35세 이후에 회복)
- 수치의 변동이 생기는 이유 :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하는 시기로 취업 여성이 직업을 포기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


(2) 취업 여성의 과중한 역할 부담


- 산업화 사회 : 남편은 직장생활, 아내는 가정생활을 주로 담당
- 전통적인 역할 분담구조가 잔재되어 있는 상황에서 여성 역할 과부하
- 모성 이데올로기 : 자녀양육에 대한 책임을 대부분 어머니에게 돌림으로서 어머니에게 죄책감을 안겨 줌


3) 맞벌이가족의 과제와 전망


- 일-가족 균형제도 활성화를 위한 국가의 전체적 노력이 요구됨 

- 공동양육 가치 형성과 공동양육 문화 조성
- 다양한 유형의 돌봄체제 구축 및 관리 

- 배우자 지지에 대한 접근 필요

 

 

 

 

 

학습정리 
1. 재혼가족의 건강성
- 문제점 : 새로운 부모 및 자녀 간의 갈등, 부부갈등, 재혼에 따른 가족 경계의 재성립 

- 기대 : 보상기대, 흑백논리의 적용 가능성, 착한 부모 혹은 착한 자녀 콤플렉스
- 과제 : 재혼가족에 대한 인식 변화, 재혼가족 프로그램 개발
2. 맞벌이가족의 건강성
- 문제점 : 자녀양육 및 교육, 취업 여성의 과중한 역할 부담
- 과제 : 일-가족 균형제도 활성화를 위한 국가의 전체적 노력, 공동양육 가치 형성과 공동양육 문화 조성, 다양한 유형의 돌봄체제 구축 및 관리, 배우자 지지에 대한 접근 필요

 

 

 

 

 

 

 

 

 

부산디지털대학교 건강가정론 강의정리 : 박소영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