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중세 봉건사회의 특징
1) 봉건사회의 구조
가. 봉건제
- 국왕으로 봉사의 대가로 받은 봉토
- 봉사 : 군사적 의무
나. 교회(카톨릭) 중심의 사회
다. 농노제
- 농노 : 자영농민과 노예의 중간
- 고대의 노예보다는 인격적으로 자유로우나 토지에 속박되어 있었음
2) 장원제
- 사회, 정치적 행위의 장
- 독립된 자급자족적인 촌락공동체
- 농노들에게는 공동체적 규제력의 원천이자 상부상조의 기반있었음
2. 중세 봉건사회의 빈민구제
1) 봉건제도에서의 빈민구제
- 빈민의 문제는 봉건 영주의 책임하에 상호부조를 통해 구제를 받았음
- 교회·수도원이 주축이 되어 자선활동을 통해 노인, 병자, 장애인, 고아, 부랑자, 여행자 등을 대상으로 구제활동을 수행함
- 수도원에서 자선원에서 부랑자나 걸인, 극빈자를 돌보는 것이 일반적이었음
2) 흑사병의 전파
- 영국 국민의 1/3 이상이 흑사병 감염으로 사망
- 노동력의 급격한 감소 : 임금의 상승
3) 『노동자법 (The Statute of Labourers)』 (1349)
- 흑사병의 창궐로 인한 노동 인구의 감소(임금의 인상)가 제정 배경이 됨
- 걸식과 부랑의 금지
- 60세 이하의 모든 사람은 원칙적으로 일을 해야 함
- 최고임금을 법으로 규정하되 과거 수준에 비해 높은 임금을 받을 수 없도록 함
- 지주 상호 간의 농민쟁탈을 억제시키고 농민은 자신의 장원을 떠나지 못하도록 함
4) 『케임브리지법 (The Statute of Cambridge)』 (1388)
- 농민의 임금 고정
- 노동자의 이동 금지(임금상승의 제한)
- 노동능력이 있는 걸인과 노동능력이 없는 걸인으로 구별
- 노동능력이 있는 걸인 : 강제로 취로를 시킴
- 노동능력이 없는 걸인 : 출생지 or 본래 주거지에서 구제받도록 규정
3. 중세 봉건사회의 붕괴
학습정리
1. 중세사회의 특징
- 농노제
- 봉건제
- 교회 중심의 사회 - 장원제
2. 중세사회의 빈민구제
- 장원을 중심으로 한 빈민구제 - 흑사병의 전파(임금의 상승)
- 노동자법(The Statute of Labourers, 1349)
- 케임브리지법(The Statutue of Cambridge, 1388)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역사 강의정리 : 김봉균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회복지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리자베스 빈민법 (0) | 2022.07.10 |
---|---|
튜더왕조의 빈민법 (0) | 2022.07.10 |
이익집단 정치이론, 국가중심적 이론 (0) | 2022.07.10 |
독점자본주의, 사회민주주의이론 (0) | 2022.07.10 |
산업화 이론 (0) | 2022.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