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동기부여 개념과 과정 (개념)
○ 동기부여(Motivation) : 근무의욕을 북돋우고 사기를 진작시켜 업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에 있어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요소
○ 동기 (AtKinson)
- 인간 행동을 방향 지우는 것
- 인간 행동을 계속하도록 하는 것
- 인간 행동이 발생하여 계속해 가는 시점에 있어서 작용하는 것
(동기부여 과정)
2. 동기부여의 제 이론
◎ 5단계 욕구이론
☞ Maslow의 이론 수정
• 하위욕구에서 좌절과 억제를 견디고 난 후에 보다 높은 욕구 단계로 옮겨갈 수도 있음
• 자아실현욕구를 충족시킬수록 그 욕구가 더욱 커지는 사람도 있음
○ ERG 이론(Alderfer)
▶ 존재욕구 : E(존재욕구, Existence) 배고픔, 갈증, 수면, 주거와 같은 생리적이고 물리적인 욕구 / Maslw 5단계 욕구 -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 관계욕구 : R(관계욕구,Relatedness) 직무 내외적으로 상호 인간관계에 관련된 모든 욕구, 감정교류, 상호의존성 만족 / Maslw 5단계 욕구 - 사회적욕구, 존경의 욕구
▶ 성장욕구 : G(성장욕구, Growth)
개인과 직무에 대한 성장과 발전, 잠재능력의 개발 및 확장, 개인적 성장과 관련된 욕구 / Maslw 5단계 욕구 - 존경욕구, 자아실현욕구
○ 동기-위생 이론(Herzberg)
동기이론
- 만족요인의 충족만이 직무수행을 위한 동기유발에 기여한다고 주장함
- 만족을 주는 요인 ‘직무와 조직 구성원 사이의 관계’ 에 관련된 요인
예) 성취감, 인정, 책임감 등과 같은 직무 내적 요인
위생이론
- 갖추어지지 않는 경우 불만족을 초래하는 요인, ‘환경적 요인’과 관련
예) 기관정책, 인간관계, 작업조건, 상사나 감독자 등 직무 외적 요인
○ 성취동기 이론(McClelland)
▶ 권력욕구 : 다른 구성원에게 통제력을 행사하거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욕구, 다른 구성 원에 대한 책임을 지거나 그들 위에 권위로 군림하려는 욕구
▶ 친화욕구 : 다른 사람과 우호적이고 따뜻한 관계를 유지하려는 욕구,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는데 관심을 갖고 친밀감과 이해를 증진시킴
▶ 성취욕구 : 우수한 결과를 얻기 위해 높은 기준을 설정, 이를 달성하고자 하는 욕구. 어려운 과제달성, 일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복잡한 직무를 숙달하고자 하는 욕구
○ 공정성 이론(Adams)
▶ 동기부여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
- 구성원 개인의 노력에 대한 보상이 다른 사람의 노력에 대한 보상과 비교하여 공정한지가 중요
▶ 사회복지기관의 관리자가 유의할 점
- 급료나 승진의 공정성 검토
- 불공정성의 부정적 영향 예측
- 보상에 관련된 각 개인과 의견을 교환하고 효과를 검토함
- 관리자의 보상배분에 대한 개인의 느낌, 동기부여 측면의 공정성 검토
○ 기대이론(Vroom)
- 동기부여에 기대 이론을 적용
- 기대 가치와 그의 목표가 성취될 수 있다고 믿는 인지된 확률은 조직원들의 동기유발
- 성과를 달성하여 보상을 받으리라는 기대감에 영향을 받음
◉ 개인은 어떤 행동을 할 때, 자신의 노력정도에 따른 결과를 기대하며, 기대를 실현하기 위해서 어떤 행동을 하게 된다는 동기이론
◉ 기대감
:특정행위 또는 노력이 특정한 성과를 가져오리라는 가능성 혹은 주관적 확률과 관련된 믿음
◉ 유의성
:직무의 결과에 대해 개인이 부여하는 가치(보상에 대한 선호, 매력의 정도) 부하들의 지적 자극, 자긍심과 동기 부여
○ X. Y이론(McGreger)
X이론 :
- 인간은 본래 일하기 싫어하고 가능하면 일하지 않으려고 하므로 통제와 지시는 불가피함
- 매슬로우의 하위욕구에 초점을 맞춘 강제, 통제, 명령, 처벌 등을 기초로 한 관리전략(권위적 관리)
- X이론의 가정과 동기부여 방법
: 운명적이고 통제적이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동기를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부적당할 수 밖에 없음
Y이론 :
- 인간은 본래 일하기 좋아하고 목표가 생기면 스스로 창의력을 발휘하여 일하므로, 통제하거나 지시할 필요가 없음
- 상위욕구를 중요시하여 ‘자율에 의한 통제’를 강조, 조직구성원의 잠재력이 능동적으로 발휘될 수 있는 관리전략을 통해 개인과 조직의 목표를 서로 통합(민주적 관리)
- Y이론의 가정과 동기부여 방법
: 사회복지사들을 의사결정에 참여시킴으로써 집권화되는 것을 줄이면서 이들에 대한 최소한의 통제와 지시를 특징으로 함
○ Z이론
UCLA의 Ouchi는 생산성이 높고 효율적인 조직을 Z이론으로 전개
※ Z형의 조직 내부의 특성
⦁ 구성원 상호간의 높은 정신적 조화를 이루고 있는 동료조직
⦁ 상호 신뢰감, 상호 인간관계의 민감성, 서로의 친밀감이 요구되며 동질성, 정착성, 집단주의적인 의식이 필수적임
○ 관리시스템이론(Likret)
◉ 시스템 1
- 대부분의 의사결정과 조직목표의 설정은 최고경영층에서 이루어짐
- 독재적이고 과업지향적인 관리 유형
◉ 시스템 2
- 관리자가 하위자들에게 신뢰감을 가지고 있으며, 작업자들의 동기부여는 보수, 처벌 등이 사용됨
◉ 시스템 3
- 통제권한이 상당부분 하부에 위임되고 있지만 완전하다고는 할 수 없음
◉ 시스템 4
- 팀워크, 상호신뢰, 상호작용 등에 기반을 둔 관계성 지향적 관리 유형
동기부여 관련 제 이론 요약
이론 | 학자 | 주요내용 |
5단계 욕구이론 | Maslow | ⦁ 욕구는 가장 낮은 것으로부터 가장 높은 것으로 올라가는 계층 (hierarchy)의 형태 ⦁ 생리, 안전, 소속, 존경, 자아실현 등의 욕구체계로 분류함 |
ERG 이론 | Alderfer | ⦁ 주요 욕구가 개인의 행동과 태도에 영향을 미침 ⦁ 존재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 |
성취동기 이론 | McClelland | ⦁ 권력욕구, 친화욕구, 성취욕구의 형태로 파악 |
위생동기 이론 | Herzberg | ⦁ 성취감, 인정받음, 도전적인 일, 승진, 책임감, 성장 및 발전 가능성, 공평한 대우 등이 만족요인 ⦁ 이 요인들의 만족감이 클수록 동기부여가 잘 됨 |
공정성 이론 | Adams | ⦁ 동기부여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는 구성원 개인이 보상 체계를 공정하다고 인식하고 있는지의 여부 ⦁ 공정하다고 인식된 보상은 직무 만족도와 성과를 향상시킴 |
기대 이론 | Vroom | ⦁ 동기부여에 기대 이론 적용 ⦁ 동기부여는 어떤 사람의 활동에 거는 기대가치와 목표가 성취 될 수 있다고 믿는 인지된 확률의 산물 |
Y 이론 | McGregor | ⦁ X이론의 동기부여방법은 운명적이고 통제적임 ⦁ Y이론의 특징은 구성원들의 의사결정 참여, 최소한의 통제와 지시, 개인을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존재로 봄 |
Z 이론 | XOuchi | ⦁ 상호신뢰감, 상호인간관계의 민감성, 친밀감이 요구 ⦁ 동질성, 정착성, 집단주의적인 의식을 통해 조직의 응집력을 매우 강하게 하며, 조직의 생산성이나 능률이 높아짐 |
관리 시스템 이론 | Likert | ⦁ 4개의 시스템으로 조직의 성격을 분류 ⦁ 시스템 1은 과업지향적, 독재적인 관리 유형 ⦁ 시스템 4는 상호신뢰, 상호작용 등에 기반을 둔 관계성 지향적 관리 유형(시스템 2, 3은 두 개의 양극론의 중간) |
3. 사회복지조직에서의 동기부여
◎ 사회복지조직에서 동기부여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 업무상의 동기부여 : 기술의 다양성과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 제공, 조직 전체 과업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할 기회를 부여,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함
▶ 과업환경상의 동기부여 : 바람직한 인간관계 형성, 자발적인 동기부여가 이루어짐
▶ 인사관리상의 동기부여 : 신분보장, 보수의 형평성, 적재적소의 인력배치, 교육훈련의 기회
▶ 개인적 특성상의 동기부여 : 개인의 취미생활이나 여가활동 보장, 직무가 요구하는 지적 수준과 실제 개인 능력의 일치
학습정리
○ 동기부여
▶ 동기부여 개념과 과정
▶ 동기부여의 제 이론
- 5단계 욕구 이론: Maslow
- ERG 이론: Alderfer의 이론
- 동기- 위생 이론: Herzberg(1968)
- 성취동기이론: McClelland(1961)
- 공정성이론: Adams
- 기대이론: Vroom
- X, Y 이론: McGregor
- Z 이론: Ouchi
-관리시스템이론: Likert
▶ 사회복지조직에서의 동기부여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 행정론 강의정리 : 황윤희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3-2사회복지 행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 재정관리 (0) | 2022.07.08 |
---|---|
갈등관리, 조직몰입 (0) | 2022.07.08 |
인재양성과 확보, 인재육성 (0) | 2022.07.08 |
리더십의 유형, 수준 측정 (0) | 2022.07.08 |
리더십의 이론 (0) |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