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의
- 사회보험이란 국민에게 발생하는 사회적 위험을 보험의 방식으로 대처함으로써 국민의 건강과 소득을 보장하는 제도
- 사회보험법의 종류
•국민연금법 •국민건강보험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고용보험법 •노인장기요양보험법
(2) 사회보험과 사보험의 유사점과 차이점
◈ 유사점
• 사회적 위험을 이전하고 정해진 위험을 광범위하게 공동 분담
• 적용범위, 급여, 재정과 관련된 모든 조건을 구체적으로 명시
• 급여를 받을 자격과 급여량을 정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계산
• 운용에 필요한 비용을 충당할 충분한 기여금과 보험료 필요
• 급여를 받을 때 증명된 욕구에 근거하지 않음
• 사회구성원에게 경제적 안정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전체에 유익
구 분 | 사 회 보 험 | 사 보 험 |
제도의 목적 | 최저생계 또는 의료보장 | 개인적 필요에 따른 보장 |
보험가입 | 강제 | 임의 |
수급권 | 법적 수급권 | 계약적 수급권 |
독점/경쟁 | 정부 및 공공기관의 독점 | 자유경쟁 |
공동부담여부 | 공동부담의 원칙 | 본인부담 위주 |
재원부담 | 능력비례부담 | 개인의 선택 |
보험자의 위험선택 | 불필요 | 필요 |
급여수준 | 균등급여 | 기여비례 |
보험사고 대상 | 인보험 | 인 ‧ 물(物)보험 |
성 격 | 집단보험 | 개별보험 |
(3) 기본원리
◈ 최저생활보장의 원리
- 사회보험법에서 소득보장의 수준은 최저생활수준 원칙, 그 이상의 수준은 개인의 노력에 맡김
- 건강하고 문화적인 생활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저한도의 생활 의미
◈ 소득재분배의 원리
- 사회보험에 의한 소득보장은 그 내용에 반드시 재분배효과가 일어나야 함
- 기여와 급여의 과정에서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 선세대와 후세대 간에 수직적·수평적 소득재분배 효과가 나타나야 함
◈ 보편주의 원리
- 사회보험의 적용범위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며, 특정한 신분·지위·성별·종교 등에 관계없이 모든 국민에게 평등하게 국가가 복지증진 노력을 기울여야 함
◈ 보험료 부담 원리
- 사회보험법의 운영에 필요한 재원은 사용자·피용자·국가가 분담하여 조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 피용자 분담 : 자본주의 사회원리에 입각하여 보험료 분담
- 국가 : 생존권적 기본권 사상과 자본주의 사회 자체의 모순으로 발생하는 모든 사회적 사고에 대한 국가책임의 원리에 의해 분담
(4) 사회보험의 주요특성
구 분 | 국민연금 | 건강보험/요양보험 | 고용보험 | 산재보험 |
재정 및 관리 | 수정적립방식 전체일괄방식 |
부과방식 이원화관리 (직장·지역) |
수정적립방식 | 순부과방식 |
관리단위 | 개인별관리 | 사업장·세대별관리 | 사업 | 사업장 |
보험료 관장 | 보건복지부 장관 | 보건복지부 장관 | 고용노동부장관 | 고용노동부장관 |
자격관리 방식 | 직장·지역 통합관리 | 직장·지역 통합관리 | 사업별관리 가입자관리 |
사업별관리 가입자관리 |
보험료 부과단위 | 사업장지역(개인별) | 사업장지역(세대별) | 사업 | 사업 |
학습정리
1. 사회보험법의 의의
사회보험이란 국민에게 발생하는 사회적 위험을 보험의 방식으로 대처함으로써 국민의 건강과 소득을 보장하는 제도
2. 사회보험법의 기본원리
-최저생활보장의 원리
-소득재분배의 원리
-보편주의 원리
-보험료 부담 원리
3. 사회보험법의 주요특성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 법제와실천 강의정리 : 곽둘주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3-3사회복지 법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건강보험법 (0) | 2022.06.24 |
---|---|
국민연금법 (0) | 2022.06.24 |
사회복지사업법 (0) | 2022.06.23 |
사회보장급여법 (0) | 2022.06.23 |
사회보장기본법 (0) | 2022.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