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례관리실천에서 평가 역량의 의미와 필요성
- 평가의 목적 : 책무성
- 평가의 영역 : 클라이언트체계와 일하는 초기부터 사후관리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과정
- 평가활동의 결과물은 궁극적으로 클라이언트의 이익을 위해 환류되어야 함
- 실천의 가치와 관점이 평가활동에 반영되어야 함
- 평가역량
① 실천의 과정과 성과에 대해 지속적으로 성찰하며 일하는 것을 의미
② 반영적 실천의 역량을 갖추어 일하는 것
- 반영적 실천 : 사례관리자가 이용자의 욕구 해결과 역량 강화를 위해 최선의 절차와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이해를 돕는 평가적 질문과 도구를 충분히 활용하면 일하는 것을 의미
- 사례관리에서 고려해야 하는 차별적 요소들
① 사례관리에 참여하는 이해 당사자들이 다양하고 포괄적임
② 자원 간 협업으로 대표되는 간접실천의 속성으로 인해 사례관리의 성과는 클라이언트 수준에 국한되지 않고 실무자, 기관, 지역사회 수준까지 확대되는 경향이 있음
③ 평가활동에 반영해야 할 정보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음
④ 실천과정의 역동성에 의해 평가활동이 사전에 계획된대로 실행되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움
- 사례관리에서 평가의 의미
① 좁은 의미 : 서비스 이용자가 욕구가 변화목표에 부합되는 서비스를 적절히 제공받고, 이를 통해 원하는 변화를 달성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
② 넓은 의미 : 사례관리실천의 과정이 서비스 이용자의 변화목표에 부합되고 실천원칙을 잘 반영하여 제공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서비스 이용자 수준을 포함하여 다양한 수준(자원 및 지역사회)에서 사례관리가 기대한 변화가 있는지를 통합적으로 확인하는 활동
- 사례관리자의 평가 역량 : 사례관리 평가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지식, 태도, 기술의 수준을 의미
< 사례관리 성과를 좌우할 수 있음>
2. 사례관리자의 평가 역량과 주요 과업
1) 과정평가 과업
가. 과정평가의 세 가지 과업
실천과정에대한 평가 | - 사례관리 실천과정이서비스 이용자의 욕구와 실천의 가치에 부합되게 잘 이루어지는지를 평가 |
서비스와 자원에 대한 평가 | - 서비스 이용자의 욕구에 부합되는 서비스와 자원이 적절히 계획되고 제공되는지를 평가 |
운영체계와 실천환경에대한 평가 | - 사례관리를 제대로 실천하기 위한 물리적 운영체계와 실천환경이적절한지를 평가 |
나. 평가자료 수집
- 사례관리 과정에 활용된 다양한 기록양식에 대한 내용분석
-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표 활용이나 초점집단면접
- 서비스와 연계자원에 대한 과정 기록의 분석
- 사례관리자를 포함한 실무자 대상의 조사나 면접
2) 성과평가 과업
- 사례관리 실천을 통해 다양한 수준에서 파악된 변화, 결과, 영향의 내용을 확인하는 활동
- 사례관리 성과의 수준과 영역
- 일선 사례관리자는 활용 가능한 질문과 평가도구를 통해 가장 본질적인 성과 영역(이용자 수준의 성과 영역)에 대해 경험적으로 확인하여 서비스 이용자와 공유 및 환류할 필요가 있음
- 목표의 달성 정도나 이용자 수준의 변화는 실무 사례관리자가 핵심적으로 수행 가능한 역량이어야 함
- 사례관리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전담기관이나 규모가 있는 조직에서는 간접실천의 성과 영역(실천가나 조직의 수준 변화, 지역사회 수준 변화 등)도 평가 할 필요가 있음
부산디지털대학교 <사례관리론> 강의정리 : 조향숙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례관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가 역량의 내용과 활용 및 쟁점 (0) | 2022.11.04 |
---|---|
사례관리자의 문화적 역량 (0) | 2022.11.04 |
문화적 역량의 의미와 필요성 (0) | 2022.11.04 |
사례관리자의 자원개발 역량 (0) | 2022.11.04 |
자원개발 역량의 의미와 필요성 (0) | 2022.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