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례관리자의 문화적 역량
1) 문화적 역량의 핵심 요소
가. 문화적 인식
- 사례관리자 자신의 문화적 배경에 대한 자기 인식
- 타 집단 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
- 사례관리자의 문화와 타 집단 문화와의 차이 인식
- 사례관리자의 문화적 배경이 전문적 실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인식
- 인종적·민족적·문화적 차이의 존재를 인식
- 문화집단 간에 존재하는 권력의 차이를 인식
- 문화적 차별과 편견의 경험에 대한 인식
- 소통의 방법이나 관계 맺는 방식이 다름을 인정하고 인식
- 타 문화에서 수용하기 어려운 가치도 있음을 인식하고 인정
나. 문화적 지식
-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를 위해 필요한 인문학적 배경지식과 수치적 정보 포함
- 다양한 문화집단의 언어, 사회, 경제, 정치적 상황에 대한 지식
- 이주민이라면 이주를 촉발하게 된 상황, 이주 과정이나 이주 후의 경험에 대한 이해 등
- 성적지향이 다른 집단이나 다른 문화집단 : 그들의 행동을 그들의 문화와 맥락 안에서 이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그들이 갖고 있는 가치체계, 세계관, 가족체계 등
- 장애인 : 사회문화적으로 차별 받고 있는 부분, 편견과 오해 등
- 내용
① 다양한 문화와 문화집단에 관한 지식
② 다양한 문화집단이 갖고 있는 역사, 전통, 가치체계, 세계관, 가족체계 등
③ 다양한 문화집단, 국가의 사회, 경제, 정치적 상황
④ 다양한 문화집단의 차별과 경제적 빈곤, 억압의 경향, 역동성
다. 문화적 기술
- 개념 : 문화적으로 민감한 실천을 위해 다른 이해관계자와 협력하고 이론을 실제 삶과 연계하여 지역 및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기술
- 단일문화관점에서의 접근 : 상황을 과도하게 문제시하는 경우 발생
- 기존의 주요 서비스 모델이나 개입전략과 관련된 이론과 원칙들이 다양한 문화 집단에 적용될 때 갖는 장점과 한계를 잘 이해하고,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적절한 문화적 변용을 위해 준비되어야 함
- 내용
① 사례관리 전 과정에 다양한 문화집단의 클라이언트와 효과적으로 의사소통 할 수 있는 기술
② 사례관리 개입과정에 문화적으로 적절한 서비스 제공
③ 클라이언트의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클라이언트를 서비스계획 과정에 참여시키는 기술
④ 실천과정이 의도치 않게 진행될 때, 문화적으로 적절하게 실천과정과 기술을 유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기술
⑤ 다양한 문화집단을 원조해 줄 공식적·비공식적 자원을 적절히 활용하는 기술
⑥ 경험을 통해 얻은 문화적으로 적절한 사례관리 실천기술을 축적하고 공유하는 노력
⑦ 다양한 문화집단의 차별과 관련 주류문화의 편견을 바꾸는 데 필요한 기술
⑧ 제도화되어 버린 억압의 원인이나 영향을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기술
2) 사례관리자의 문화적 역량 학습
- 문화적 역량을 갖춘 사례관리자가 다양한 배경을 가진 클라이언트와 더 적절히, 더 효과적으로 일할 수 있음
3) 문화적 역량의 실천 - 다차원적 모델
가. 수(Sue, 2006)의 다차원적 모델 : 효과적인 다문화적 서비스 제공에 연관된 세가지 중요한 특징을 1.2.3차원으로 구분
- 1차원
① 사례관리자가 만나는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 : 인종, 성별, 성적 지향, 신체적 능력, 연령, 그 외 중요한 준거집단에 대비되는 차별성
② 우리나라의 경우 다문화가구, 결혼이주여성, 외국인 노동자, 북한이탈주민이 대표적인 클라이언트에 해당
- 2차원 : 사례관리자가 필요로 하는 문화적 역량
문화적인식 | - 문화적 가치, 생활방식, 관습, 문제해결 전략 |
문화적지식 | - 클라이언트 문화에 적절한 정책과 사회정치적 체계의 운영, 클라이언트에게 불합리하게 작용하는 제도적 장애물, 개입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관습, 건강관행, 위험행동, 유전성 질환, 이민의 원인, 건강추구행동, 식습관, 임신과 출산관행등) |
문화적기술 | 의사소통, 욕구와 자원 사정 등 |
- 3차원 : 사례관리실천의 개입 영역
개인적영역 | - 자신의 잘못된 가치관, 선입견, 편견 극복 |
전문적영역 | - 문화적 민감성을 갖추는 노력 (서구 사회와 문화에 치우친 문제 이해와 사정, 개입 방법의 설정, 윤리 강령 등) |
조직적영역 | - 정책집행 방향이나 프로그램 등이 은연중에 특정 집단을 억압할 수도 있다는 인식 (예 : 김치담그기는 어떠한가?) |
사회적영역 | - 사회정책이 특정 집단의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할 때 |
부산디지털대학교 <사례관리론> 강의정리 : 조향숙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례관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가 역량의 내용과 활용 및 쟁점 (0) | 2022.11.04 |
---|---|
평가 역량의 필요성과 주요 과업 (0) | 2022.11.04 |
문화적 역량의 의미와 필요성 (0) | 2022.11.04 |
사례관리자의 자원개발 역량 (0) | 2022.11.04 |
자원개발 역량의 의미와 필요성 (0) | 2022.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