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집단의 발달단계
1) 초기단계
(1) 집단발달 초기단계
• 다른 집단성원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지는 단계로 집단에 대한 불신감, 두려움,저항감을 가짐
• 대화가 피상적이고 다른 성원과 거리를 유지하려고 함
• 집단의 도움 및 문제해결에 대한 의구심 가짐
• 집단의 가치와 규범이 발달하기 시작하면서 집단의 목적과 활동과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공통적 가치와 태도에 기초한 집단에서의 규범과 행동방식 등 형성
• 집단성원 간 상호작용보다 사회복지사와의 상호작용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음
• 사회복지사는 공감적 이해, 수용, 존중 등을 통해 집단성원과 신뢰관계를 형성하고, 집단성원이 서로 소개하고 인사를 나누도록 하고 집단의 목적과 방향, 기본규칙에 대해 안내함
(2) 특징
• 집단이 시작되어 집단 성원들이 서로를 탐색하는 단계
• 다른 집단의 경험, 이전의 관계 등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대를 가짐
• 사회복지사 중심으로 대화 시도
• 집단성원 간 공통점 모색 → 응집력에 영향 줌
• 집단 성원의 불안 수준 높음
• 비자발적 성원의 경우 저항의 강도 높음
(3) 집단 역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사정 단계
(1) 특징
• 집단 과정 전반에 걸쳐 이루어짐
- 집단 발달단계에 따라 사정의 내용 다르게 하여 매 단계마다 개별 성원에 대한 사정과 전체로서의 집단에 대한 사정 수행 필요함
- 과정으로서의 사정
- 정보 수집과 조직, 판단을 내리는 것
• 산물로서의 사정
- 개입계획 수립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집단과 집단성원의 기능에 대하여 언어나 문서로 진술하는 것
- 집단 성원 개개인, 집단 전체, 집단을 둘러싼 환경 모두에 대한 사정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함
- 집단에 따라 사정의 초점이나 내용이 달라짐
(2) 집단 발달 단계별 사정 내용
초기 단계 | 중간 단계 | 종결 단계 |
집단 성원 및 전체로서의 집단의 기능 수행에 대한 사정 | 초기 사정 내용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여 그 성공 여부에 기반하여 개입계획 수정 | 집단 성원의 목표 달성 정도 및 추가적 개입 필요 영역 확인 |
(3) 사정의 지침
• 주관이나 편견이 배제된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해 사정
• 개별성원, 전체집단 및 집단 환경의 기능 정도를 사정하여 계획 수립
(4) 집단성원 개개인에 대한 사정
➀ 집단성원의 특성에 대한 사정
- 성장과 발달과정, 건강상태, 심리상태, 교육정도, 직업, 수입, 취미, 신념, 기대, 동기 등 사정, 의사나 사회복지사의 관찰과 평가, 자기보고 등
② 대인관계와 집단성원 간 상호작용
- 가족, 친구, 이웃 등과의 관계, 문제 발생시 의논할 수 있는 인간관계 유무
③ 집단성원의 환경에 대한 사정
- 환경이 각자의 목표와 집단목표 달성을 지지하는지 평가
(5) 집단에 대한 사정
➀ 집단의 행동양식에 대한 사정
- 집단이 목표달성을 위해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는지, 권력과 자원이 공유되고 있는지, 의사결정은 민주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사정
② 하위집단에 대한 사정
- 하위집단을 확인하고 전체집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정
③ 집단의 규범 및 가치에 대한 사정
- 집단의 규범을 확인하고 그 규범이 성원과 집단에 도움이 되는지 여부 파악
(6) 집단 환경에 대한 사정
➀ 복지기관, 시설의 환경에 대한 사정
- 집단의 목적과 기관의 목적과의 부합 여부, 집단활동의 장소, 협력 제공 여부, 집단에서 다루는 접근방법이 기관의 방침에 적합한가 등 사정
② 시설 간 환경에 대한 사정
- 다른 기관에서 계획하고 있는 사업과 행하고 있는 사업에 대한 정보 수집으로 시설 간 환경에 대한 사정
③ 지역사회 환경에 대한 사정
- 지역사회 내 거주자에 대한 인적 사항, 공공자원의 여부, 부족자원, 관심사등 사정
(7) 집단 사정 방법
➀ 성원의 자기 점검
- 표나 일지 등 작성하여 행동, 태도, 심리사회적 특징 자가평가
② 사정도구
- 사정도구 사용하여 성원 및 전체로서의 집단 평가
➂ 사회복지사의 관찰, 면담
- 집단활동 관찰 및 면담을 통해 성원의 기능 사정
➃ 외부 전문가의 보고
- 성원 개개인에 대한 의견 제시로 집단 평가
(8) 유용성
• 집단 내 성원들 간의 질적인 관계 파악하기 위한 도구
• 성원들의 수용, 거부 과정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사용
• 다양한 시점에서 사회도를 작성해 보면 집단 성원 간 관계의 안정과 변화를 살펴볼 수 있음
• 소시오그램(sociogram) 혹은 사회도는 집단 성원의 대인관계, 집단 성원 간 사회적 유대관계를 측정하는 집단 사정도구
(9) 소시오그램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내용
• 집단 성원의 성별
• 집단 선원 간 선호도와 무관심, 배척 여부와 방향
• 하위집단 형성 여부, 소외된 성원, 삼각관계 형성 여부
• 집단 성원 간 결속의 강도(친밀한 성원끼리는 가깝게, 소원한 성원은 멀리 떨어지게 그리기도 함)
(10) 소시오그램의 예
학습정리
1. 집단 발달단계
1) 집단 발달 초기단계
• 집단이 시작되어 집단 성원들이 서로를 탐색하는 단계로, 집단 성원은 다른 집단의 경험, 이전의 관계 등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대를 가짐
• 성원의 불안 수준 높음
2) 집단 발달 사정 단계
• 집단 과정 전반에 걸쳐 이루어짐
• 집단 발달단계에 따라 사정의 내용 다르게 하여 단계마다 개별 성원에 대한 사정과 전체로서의 집단에 대한 사정 수행 필요함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강의정리 : 권량희 교수 2021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2-2사회복지 실천기술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실천 기록 (0) | 2022.06.22 |
---|---|
집단의 발달 단계•중간단계•종결단계 (0) | 2022.06.22 |
집단 발달단계 (0) | 2022.06.22 |
집단의 역동성 (0) | 2022.06.22 |
집단사회복지실천 (0) | 2022.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