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직접적 서비스 기능
1) 심리· 정서적 지지를 위한 개입
가. 임상적 서비스
- 사례관리의 성공 요소
- 공감능력의 중요성 강조
- 사례관리자의 주요 과업
① 심리·정서적 지지에 대한 적극적 역할 수행 : 상담 기술, 자존감 향상, 클라이언트에 대한 수용, 동기 부여 등
② 심리·정서적 문제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이를 개입할 수 있는 공감과 경청 같은 상담 기술의 전문성을 갖춰야 함
2) 문제해결 역량 강화를 위한 개입
- 과업중심
- 목표 : 클라이언트가 지역사회에서 원하는 의미 있는 삶을 살 수 있도록 지원 하는 것을 목표로 함
- 방법 : 교육, 정보제공, 역할 연습(대처 기술 향상)
2. 간접적 서비스 기능
1) 자원 연계
- 공식적 연계 : 지역사회주민센터, 사회복지관 등
- 비공식적 연계 : 클라이언트의 가족, 주변지인
- 의사소통과교류
2) 서비스 조정
- 다양하고 포괄적인 서비스 제공 필요
- 서비스의 파편화와 중복 예방 필요
- 기관 간 의사소통과 합의된 이해와 의의 공유 : 사례관리 기능의 목표와 가치 공유
- 사례관리 기관과 지역사회의 서비스 기능향상, 역량강화
3) 옹호
- 클라이언트의 상황이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발생하는 차별과 낙인에 기반되는 경우
① 클라이언트 수준 : 서비스 제공에서 불합리한 자격기준, 부당한 처우
② 서비스 체계 수준
○ 기관 정책, 절차, 관행 등에 대한 변화
○ 정책 시행이나 입법과정에 영향
3. 직접적 서비스 기능과 간접적 서비스 기능의 통합성
1) 통합적 서비스 기능
- 사례관리 기능은 포괄적이고 연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함
- 임상(직접) + 간접
- 표준화된 기능 제시보다 주요 핵심 기능을 중심으로 사례관리 기능을 소개하는 통합적 관점 유용
- 로스만(Rothman)의 15개 기능
① 연속적 기능 : 기관으로 오기, 접수, 심리·사회·의료 사정, 목표 설정, 개입 계획, 자원 확인과 목록 정리, 공식적 연계, 비공식적 연계, 점검, 재사정, 성과평가
② 비연속적 기능 : 기관간 조정, 상담, 치료, 옹호
부산디지털대학교 <사례관리론> 강의정리 : 조향숙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례관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사소통 역량의 필요성과 사례관리자의 의사소통 역량 (1) | 2022.11.02 |
---|---|
사례관리 기능과 사례관리자의 역할 (0) | 2022.09.06 |
사회복지실천과 사례관리 기능의 변화 (0) | 2022.09.06 |
사례관리 과정과 기록 - 사후관리 (0) | 2022.09.06 |
사례관리 과정과 기록 - 종결과정 (0) | 2022.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