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신역동모델의 주요 개념
1) 구조적 모형(structuraL modeL)
• 성격의 역동은 심리적 에너지가 원초아, 자아, 초자아에 분배되는 방식으로 각각의 요소는 전체로서 기능함
• 심리 에너지의 양은 제한되어 있고, 한 체계는 다른 두 체계의 희생으로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음
(1) 원초아(id)
• 심리 에너지의 원천으로 본능(instinct)이 자리잡고 있는 곳
• 성격의 기초가 되는 무의식적인 기본 욕구와 충동에 해당
• 가장 유아적인 정신기능 수준으로 즉각적인 충족을 위해 존재함
•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피하는 방향 즉, 쾌락원리에 의해 지배 받음
• 일차과정적 사고(primary process thinking)를 함
→ 스스로는 본능적 욕동을 지연시키거나 수정할 수 있는 능력이 없음
(2) 자아(ego)
• 성격의 실행자 및 조정자로 인간의 생각과 행동을 통제함
• 현실원칙에 지배 받아 현실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로 현실에 적응하고, 현실검증 능력이 있음
• 이차과정적 사고 (secondary process thinking)와 방어기제를 주관함
• 마음의 이성적인 요소로 경험을 통해 발달
• 자아 기능의 강약에 따라 그 사람의 기능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음
• 원초아에 비해 조직적이고 구체적인 정신구조임
(3) 초자아(super-ego)
• 쾌락보다 안정, 현실적인 것보다 이상적인 것을 추구함
• 정신구조의 최고 단계로 자아로부터 발달하고, 주요 기능은 옳고 그른 것을 결정하는 일임
• 성격의 도덕적인 부분으로 심판자로서 자아와 함께 작용하여 스스로의 행동을 조절할 수 있게 함
• 부모의 사회규범이 내면화되는 심리적 보상이나 처벌과 관련이 있고, 개인이 속한 사회의 규범과 행동기준이 내재화된 것
• 자아이상(ego-ideal)과 양심(conscience)으로 구성
(4) 의식수준과 성격구조와의 관계
2) 심리성적 발달단계
• 성격은 초기 발달단계를 어떻게 경험했는가에 따라 후기 생활사건이 어떻게 처리될 것인지 결정된다고 봄
•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이 성적인 욕구와 관련하여 발달한다고 보았기에 이를 심리성적 발달이라고 했음
• 각 발달단계는 리비도가 신체의 어느 특정 부위에 집중되느냐에 따라 구분되고,각 발달단계를 성공적으로 통과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정도의 만족을 얻어야 함
• 특정단계의 만족이 지나치거나 과도한 에너지를 투입한 경우 고착이 생김
• 각 단계는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고, 서로 중복될 수 있음
(1) 고착(fixation)
• 심적 에너지가 심리성적 발달의 특정 시기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만 집중적으로 투입되는 상태로 발달이 특정단계에 머물게 되는 것
• 고착된 에너지는 다음 단계로 이동하는데 사용될 수 없기에 정신 기능과 성숙에 지장 초래
• 고착이 발생하는 경우
- 지나치게 빨리 이유를 하거나 수유를 제대로 안 해줄 때와 같이 지나친 좌절을 경험한 경우
- 너무 오랜 기간 수유할 때와 같이 지나치게 만족을 누린 경우
- 한동안 엄격한 대소변 가리기를 시키다가 한동안은 무관심할 때와 같이 아이에 대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2) 퇴행(regression)
• 후기 생애단계까지 나아갔던 사람이 현재의 스트레스 상황 하에서 초기 단계와 관련된 행동으로 되돌아가게 되는 기본적인 방어기제
학습정리
1. 정신역동모델
1) 기본 개념
(1)구조적 모형 : 성격의 구조에 따른 구분
• 성격 구성 :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
• 각각의 요소는 전체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성격의 역동은 심리적 에너지가 원초아, 자아,초자아에 분배되는 방식임
• 심리성적 발달단계
•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재기, 성기기
• 고착과 퇴행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강의정리 : 권량희 교수 2021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2-2사회복지 실천기술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어기제 (0) | 2022.06.22 |
---|---|
심리성적 발달단계 (0) | 2022.06.22 |
정신역동모델 (0) | 2022.06.22 |
관찰기술/의사소통 기술 (0) | 2022.06.22 |
원조관계 형성기술 (0) | 2022.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