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신역동모델의 주요 개념
1)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
• 개인을 불안으로부터 보호하는 자아의 무의식적 기능
•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정상적인 반응으로 모든 사람은 방어기제를 사용하고 함
→ 불안 !
각 개인에게 반격하거나 피해야 하는 절박한 위험을 알려주는 자아의 기능
(1) 방어기제의 특성
• 갈등을 처리하려는 자아의 노력이기에 사용하는 것 자체는 병리적인 것이라기 보다 정상적인 반응임
• 과도할 경우 현실 왜곡의 측면 있으나 적응상의 가치 있음
• 자동적으로 작동되며 한가지 이상의 방어기제가 동원되는 것이 대부분임
(2)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 : 언제???
• 적절한 대처능력 결핍
• 자아가 너무 약할 때
• 상황 자체가 아예 합리적으로 해결될 수 없는 성질일 때
→ 방어기제 사용
(3) 방어의 목적
• 어떤 강력하고 위협적인 감정을 피하거나 다루려고 함
• 자존감을 유지하고자 함
→ 강하고, 일관성 있고, 긍정적 가치를 지닌 자기감각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
(4) 방어기제의 바람직한 기능
• 건강하고 창조적인 적응으로 출발해서 전 생애에 걸쳐 적응적 기능을 수행
(5) 방어기제의 종류
• 투사
• 부정
• 해리
• 퇴행
• 동일시
• 억압
• 취소
• 반동형성
• 유리
• 전치(치환)
• 대리형성
• 합리화
• 지성화
• 보상
• 공격자와의 동일시
• 승화
• 유머
• 이타주의
• 전이
• 저항
• 억압(repression) “방어기제의 여왕”
-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
- 현실세계에서 충족되기 어렵거나 힘든 내용이 의식화 되는 것을 막기 위해 더 깊은 무의식 속으로 눌러버리는 것
- 자아는 억압을 통해서 위협적인 충동, 감정, 소원, 환상, 기억 등 위협적인 요소가 의식화 되는 것을 막음
• 반동형성(reactionformation)
- 무의식 속의 받아들여질 수 없는 생각, 소원, 충동 등을 정반대의 것으로 변형시켜 표현하는 것
- 예) 미운 놈 떡 하나 더 준다.
• 취소(undoing)
- 수용할 수 없는 충동을 행동으로 옮긴 후 자신의 언행을 무의식적으로 취소하려는 것
- 예) 부인을 폭행한 후 선물하는 것을 반복하는 남편의 경우
• 동일시(identifi-cation)
- 부모나 형제, 주위의 인물들의 태도와 행동을 닮는 것
- 용서할 수 없는 충동 자체를 부정하고 그 충동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나 그 사람의 일면과 동일화하여 받아들이는 과정
- 예) 아버지를 무서워하는 아들이 아버지를 닮아가는 경우
• 투사(projection) “원시적인 방어기제”
- 자신의 것으로 인정하기에는 불안하기 때문에 상대방이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거나 타인의 탓으로 돌리는 것
- 관계망상이나 피해망상을 불러일으키는 등 환각이나 착각, 망상 형성의 주요 기제
- 예) 잘못되면 조상 탓한다.
• 대리형성(substitution)
- 원래 자신이 바라는 바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그 좌절감과 긴장을 줄이기위해 비슷한 것을 취하여 만족을 얻은 것
- 예) 오빠에게 매력을 느끼는 여동생이 오빠와 비슷한 사람과 사귀는 경우
• 전치(dispLace-ment)
- 본능적 충동이 진짜 대상에서 덜 위협적인 다른 대상에게 옮아가는 것으로 대상에 대한 감정에 강조점을 둠
- 예)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서 화풀이한다.
• 부정(deniaL)
- 엄연히 존재하는 위험이나 불쾌한 현실을 부정함으로써 그로 인한 불안을 회피하고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것
- 예) “나는 겁나는 것이 하나도 없다”라고 호언장담하는 경우
- 예) 죽음을 앞둔 사람이 자신이 죽어가는 것을 부정하는 것
• 합리화(rationaLi-zation)
- 자신의 문제행동에 대해 지적으로 그를 듯한 설명이나 이유를 사용하여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재해석하는 것
- 무의식에서 이루어지기에 거짓말이나 변명과는 다름
- 예) 친구와의 경쟁에서 이기고 싶은 충동에서 친구를 고자질하고 그것이 자신의 의무라고 주장하는 경우
• 보상(compen-sation)
- 실제적인 노력이든, 상상이든 자신의 결점이나 열등한 부분을 보상받기 위해 다른 것으로 채우려는 노력
- 예) 자신의 부모에게는 효도하지 못한 사람이 다른 노인은 극진히 부양하는 경우
- 예) 작은 고추가 맵다.
• 유리(isoLation)
- 고통스러운 생각이나 기억을 그에 수반되는 감정상태와 분리시키는 것으로 사고와 감정이 분리됨
- 예) 아버지 죽음에는 슬픔을 느끼지못했다가 아버지를 연상시키는 남자주인공이 죽는 영화를 보면서 비통하게 우는 경우
• 지성화(inteLLectu-aLization)
- 고통스러운 감정과 충동을 누르기 위해 그것을 직접 경험하는 대신 지성적으로 사고함으로써 피하는 것
- 예) 전체를 인식하는 것을 피하려고 엉뚱한 세부 부분만 강조
- 예) 병에 대한 불안으로 종일 그 병에 대한 책이나 인터넷 자료를 뒤지며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 퇴행(regression)
- 심한 스트레스나 좌절로 현 발달단계보다 더 이전의 발달단계나 행동양식으로 후퇴하는 것
- 예) 동생이 태어나면서 갑자기 대소변을 못 가리게 되는 경우
• 해리(dissociation)
- 고통을 피하기 위해 마음을 편치 않게 하는 성격의 일부 혹은 개인의 정체성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는 경우
- 한 개체에 두 가지 이상의 인격체가 활동하는 것
- 예) 지킬박사와 하이드박사와 같은 다중인격자, 몽유병, 잠꼬대 등
• 공격자와의 동일시(identification with aggressor)
- 수동적으로 희생자가 되는 것을 피해 감정을 완화시키려는 것
- 다른 사람의 힘에 위협감을 느끼는 문제를 해결하려는 방어적 동기를 가짐
- 예) 자신의 납치범에게 존경과 사랑을 보내는 것
• 승화(subLimation)
- 수용될 수 없는 충동이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있는 충동으로 대체되는 것
- 억압되었던 본능이 고도의 사회성, 예술성, 문화성을 지니고 표출되어 충족되는 것
- 예) 예술은 성적 욕망을, 운동은 공격성을 승화시킨 것
• 유머(humor)
-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표현하기 위해 코미디를 사용하는 심리 기제로, 그렇게 함으로써 마음 쓰기에 너무 고통스러운 것을 견딜 수 있게 됨
- 예) 난처하고 불편한 상황을 웃음으로 넘기기
• 이타주의(aLtruism)
- 위험스러운 본능적 충동을 타인을 위해 포기하는 것으로, 타인을 도움으로써 대리만족을 얻는 것
- 예) 불편한 감정이나 생각이 날 때마다 봉사활동을 하는 것
학습정리
1. 정신역동모델의 주요 개념 : 방어기제
1) 개념
- 불안으로 인해 깨진 심리적 균형을 회복하기 위해 자아가 무의식적으로 가동하게 되는 기제
2) 특성
- 갈등을 처리하려는 자아의 노력이기에 사용하는 것 자체는 병리적인 것이라기보다 정상적인 반응임
- 과도할 경우 현실 왜곡의 측면 있음
3) 병리성의 판단 기준
- 강도, 연령 적합성, 균형, 철회 가능성
4) 방어기제의 종류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강의정리 : 권량희 교수 2021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2-2사회복지 실천기술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역동모델의 개입기법 (0) | 2022.06.22 |
---|---|
정신역동모델의 개입목표/개입과정 (0) | 2022.06.22 |
심리성적 발달단계 (0) | 2022.06.22 |
정신역동모델의 주요 개념 (0) | 2022.06.22 |
정신역동모델 (0) | 2022.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