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측정의 개념
1) 측정의 개념
가. 측정(measurement)이란?
- 어떤 상태, 특성, 태도, 행동 등의 이론적 개념을 정당화하는 과정
- 조사 대상자의 속성 또는 변수에 대하여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숫자나 기호를 부여하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관찰 과정
Walter Hudson |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측정할 수 없다면, 그 문제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측정할 수 있다면 사회복지사는 그 문제를 다룰 수 있다. |
나. 클라이언트가 가질 수 있는 문제 중 측정 가능 한 것은?
- 우울증
- 사회적 기능수준
- ?
2. 측정의 등급
1) 측정의 등급
가. 명목측정
- 변수의 속성에 그 차이점과 유사점에 따라 범주화
- 예) 성별, 종교, 거주지 등
나. 서열측정
- 속성 간에 순서를 매기지만 간격은 동일하지 않음
- 예) 태도, 정치성향, 학력 등
다. 등간측정
- 변수 속성 간에 동일한 간격으로 순서화
- 예) 지능지수, 온도 등
라. 비율측정
- 등간 측정의 모든 특성에 절대 영(0)값이 존재
- 예) 자녀 수, 근무 경력, 소득 등
마. 측정의 수준
측정등급 | 예 | 범주 | 서열 | 등간 | 비율 |
= | >,< | =,- | *,/ | ||
명목측정 | 성별 | O | |||
서열측정 | 학력 | O | O | ||
등간측정 | 온도 | O | O | O | |
비율측정 | 소득 | O | O | O | O |
3. 측정 도구
1) 측정 도구의 개념
가. 측정 도구의 개념
- 어떤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일단의 진술, 질문사항
- 합성 측정도구 : 일반적으로 사회과학적 개념들은 단일한 지표나 항목으로 측정되기 어려움
① 지수나 척도가 대표적임.
② 측정의 정확성을 높이고, 측정의 계량화를 통해 통계적 조작이 가능하게 됨
2) 합성 측정 도구
가. 지수(index)
- 비교적 객관적인 지표로 경험적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지표
- 예) 사회경제적 지위, 부패지수 등
- 서열, 등간, 비율 측정 이용
나. 척도(scale)
- 지수보다는 더 추상적인 것으로 주로 사람들의 태도와 관련되 변수를 측정할때 사용
- 예) 성품 측정, 자아존중감 등
- 신뢰도, 타당도 매우 중요
<척도의 주요 내용> |
- 사회적 행위 측정(우울증, 사회적 지지체계) - 성품 측정(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 문화적, 사회적 상황(생활만족도, 서비스 만족도, 가족환경척도) |
4. 척도의 구성
1) 척도 구성의 개념
- 척도를 만드는 방법
- 인간의 행위나 내면적 태도를 측정하는 일종의 잣대를 만드는 것으로 측정 등급에 따라 그 척도 구성이 달라짐
2) 척도 구성
가. 명목척도 구성
- 개별 값은 포괄적이고 상호 배타적이어야 함
- 거주지는? 서울(1), 부산(2), 대구(3), 경북(4).....
나. 서열척도 구성
- 리커드척도 구성 : 각 항목의 단순 합산을 통해 서열성을 산출(보통 3~7 등급분류)
- 거트만척도 구성 : 항목 자체에 일정한 기준에 의해 서열성을 부과하여 구성(누적척도)
다. 등간 및 비율척도 구성
- 서스톤척도 구성 : 측정의 양 극단을 동일한 간격으로 만들어 수치 부여
- 의미분화척도 구성 : 양 극단에 서로 상반되는 형용사를 배치하여 평가
라. 개별화된 척도 구성
- 표준화된 측정도구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유익
학습정리
1. 측정의 개념
- 어떤 상태, 특성, 태도, 행동 등의 이론적 개념을 정당화하는 과정
2. 측정의 등급
- 명목측정
- 서열측정
- 등간측정
- 비율측정
3. 측정 도구
- 어떤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일단의 진술, 질문사항
- 합성 측정도구 : 지수, 척도
4. 척도의 구성
- 척도를 만드는 방법
- 명목, 서열, 등간 및 비율, 개별화된 척도 구성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조사론 강의정리 : 이은자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1-2사회복지 조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당도와 척도 (0) | 2022.06.21 |
---|---|
측정오류 / 신뢰도 (0) | 2022.06.21 |
근거기반 실천 (0) | 2022.06.21 |
조사설계 / 자료분석 (0) | 2022.06.21 |
사회복지 조사과정의 유형 (0) | 202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