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복지조사와 실천
1) 사회복지조사와 실천
가. 조사와 실천이 공유하는 논리적 문제 해결 과정
- 문제에 초점을 맞추는 것에서 시작
- 문제의 범위와 개인력 및 자원고찰
- 문제 해결을 위한 계획 수립과 실행
- 평가
조사과정 | 실천과정 |
문제, 질문, 가설에서 출발 | 클라이언트의 문제에서 출발 |
문헌 고찰 및 변수 조작화 | 개인력 조사, 자원, 강점 및 네트워크 발견 |
조사의 설계 | 서비스 계획 |
자료 수집 | 개입의 시작 |
자료 분석 | 개입의 평가 |
최종보고서 | 종결/요약보고서 |
나. 실천 과정에서 조사와 관련된 활동
- 클라이언트 문제에 대한 연구보고서, 관련된 정보 찾기, 문제 해결을 위한 자료 수집
- 클라이언트 변화에 대한 기록 정리
- 보고서 작성
- 유능한 실천가
2. 근거기반실천
1) 근거기반실천
가. 근거기반실천의 등장
- 1990년대 초, 의학분야에서 먼저 도입되어 간호, 보건 및 대인서비스 분야로 점차 확대됨.
- 최근 사회복지실천 현장에도 점차 요구가 증가되고 있음.
- 클라이언트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과학적인 조사연구 결과를 활용할 것을 요구함 : 실천의 지혜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함을 의미
- 실천가의 전문성이나 실천 경험이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조건이긴 하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라는 의미
- 어떠한 개입 방법이 더 효과적인가 하는 과학적인 연구가 축적됨
- 과학적인 근거에 기초하여 문제 해결을 위한 합리적 결정을 내리도록 권유하는 실천기법임.
나. 근거기반실천의 정의
- 클라이언트의 치료를 위한 결정에 최신의 가장 유용한 과학적 근거를 의식적이고도 분명희 그리고 분별력 있게 활용하는 것
① 실천과정으로서 근거기반실천
② 특정한 상황에서 그 효과가 검증된 구체적인 실천 기법
- 포괄적 정의 ; 이용 가능한 최선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실천가의 전문성과 클라이언트의 가치, 특성 및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을 위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과정
다. 근거기반실천의 과정
- 1단계 : 클라이언트의 문제 해결을 위한 적절한 실천 질문(practice question)제기
- 2단계 : 1단계에서 제기한 실천 질문에 대한 대답을 찾기 위해 최선의 과학적근거를 가장 효율적으로 찾음
- 3단계 : 발견한 과학적 근거를 그 타당성과 유용성에 비추어 엄격하게 검토
- 4단계 : 근거에 대해 엄격하게 검토한 결과를 실천가의 전문성과 클라이언트의 특성 및 실천 환경을 고려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적용함.
- 5단계 : 클라이언트에게 적용한 후 그 결과, 즉 변화에 대한 평가
팁 : 개입의 효과성에 대한 근거의 위계 구조
학습정리
1. 사회복지조사와 실천
- 조사와 실천은 논리적 문제 해결 과정을 공유함
- 실천 과정에서 조사와 관련된 활동
2. 근거기반실천
- 근거기반실천의 등장
- 근거기반실천의 정의
- 근거기반실천의 과정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조사론 강의정리 : 이은자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1-2사회복지 조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측정오류 / 신뢰도 (0) | 2022.06.21 |
---|---|
측정과 측정도구 (0) | 2022.06.21 |
조사설계 / 자료분석 (0) | 2022.06.21 |
사회복지 조사과정의 유형 (0) | 2022.06.21 |
조사와 사회복지 (0) | 202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