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타당도 : 측정의 정확성
1) 타당도
가. 타당도의 개념
-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측정하였는가?
- 타당도는 측정의 체계적 오류를 해소하는 것과 관련이 있음.
나. 타당도와 타당도 측정방법
- 표면타당도
① 어떤 전문가가 주어진 척도를 살펴보고 그 척도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때
② 가장 낮은 수준의 타당도를 확보하는 방법으로 적절하지는 않지만 모든 방법이 가능하지 않을 때 최소한 이 방법 활용 가능
- 내용타당도
① 일련의 전문가가 척도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동의할 때
② 내용타당도를 갖기 위해서는 측정도구가 측정하고자 하였던 개념의 포괄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야 함
예) 지능 : 인지력, 지각력, 추리력, 수리력, 기억력 등 포함
- 기준타당도
① 경험적인 근거를 통해 타당도를 확인하는 방법
② 기존의 척도를 기준으로 하여 새로운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가 기존의 척도를 사용한 측정 결과와 상관관계가 높을 때 새 척도의 기준타당도가 높다고 할 수 있음.
③ 동시타당도 : 어떤 척도의 측정결과가 또 다른 척도의 측정결과와 상관관계가 높을 때
④ 집단구분타당도 : 측정의 결과로 그 측정 집단을 그 측성에 따라 구분할 수 있을 때(PTSD척도가 중증, 중간, 경증을 구분할 수 있을 때)
⑤ 예측타당도 : 측정 결과로 나타난 점수가 조사대상자들의 미래의 상태나 행위를 예견할 수 있을 때
- 개념타당도
① 가장 높은 수준의 타당도 검증방법
②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 논리적, 실제적으로 적절한 관련성이 있는 정도를 경험적으로 검증
③ 수렴타당도 : 이론적으로 관련 있는 변수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날때
④ 판별타당도 : 이론적으로 관련 없는 변수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날때
⑤ 요인타당도 : 척도의 각 항목들에 있어 항목 간에 상관관계가 높은 항목들을 요인으로 그룹화할 수 있을 때
다. 타당도 검토가 필요한 경우
- 측정도구를 새롭게 만들어 그에 대한 과학적 검증이 필요할 때
- 어떤 한 집단을 위해 만든 측정도구를 다른 집단에 적용하고자 할 때
- 조사연구자가 기존의 측정도구를 더 나은 도구로 개선하고자 할 때
2.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1)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 신뢰도와 타당도는 항상 정의 관계를 갖는 것은 아님
- 신뢰도가 있다 하더라도 타당도는 결여될 수 있음
- 타당도가 있다면 일반적으로 신뢰도가 있다고 볼 수 있음
기억하기 |
신뢰도와 타당도는 측정도구가 과학적임을 보여주는 근거 |
3. 척도의 활용 사례
1) 척도의 활용 사례
가. 표준화된 척도
-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통해, 그리고 다른 연구가에 의해 사용되는 과정을 통해 공인 받고, 널리 사용됨.
- 예 : 지능검사, 성격유형검사, 다면적인성검사 등
- 그러나 한 사회에서 표준화된 척도로 인정된다고 해서 다른 사회에서도 그대로 적용되기는 어려워 그 사회의 문화와 환경에 적합하도록 조정 : K_IQ
나. 척도의 활용사례
학습정리
1. 타당도 : 측정의 정확성
- 타당도의 개념
- 타당도와 타당도 측정 방법 : 표면, 내용, 기준, 개념타당도
- 타당도 검토가 필요한 경우
2.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 타당도가 있다면 일반적으로 신뢰도가 있다고 볼 수 있음
3. 척도의 활용 사례
- 표준화된 척도
- CES_D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조사론 강의정리 : 이은자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1-2사회복지 조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일사례조사의 유형 (0) | 2022.06.21 |
---|---|
단일사례조사 (2) | 2022.06.21 |
측정오류 / 신뢰도 (0) | 2022.06.21 |
측정과 측정도구 (0) | 2022.06.21 |
근거기반 실천 (0) | 202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