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결혼이민자 및 가족의 지원
1) 결혼이민자의 욕구변화
▶ 욕구의 변화
• 입국 초기:의사소통(한국어), 한국문화와 한국사회 적응, 임신과 출산, 자녀 양육, 상담 등의 어려움
• 자녀 성장 및 진학시기: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 학업성적, 자녀교육 등
• 한국생활 적응시기: 취업, 경제적 자립 등
①결혼이민자의 장기체류로 인한 욕구의 변화
[욕구의 변화 고려]
• 지역사회에 안정적 정착
- 역량 강화, 자아실현, 리더십 발휘, 사회참여 등 욕구 증가
• 인적 자원 양성 차원
- 다문화전문가 양성
- 지속적인 보수교육을 통한 전문성 확보
- 이주여성 리더 발굴 및 사회참여 확대
② 결혼이민자 가족관계 향상 및 가족 해체 예방
[가족 전체에 대한 총체적인 개입]
• 다문화기관에서 내국인 또는 이중언어 가능한 당사자 전문상담원을 양성하여
지속적인 다문화가족치료 제공
• 위기상담, 폭력피해자
• 초기 대응서비스
• 이주여성긴급전화 1577-1366과 연계하여 다국어 통역과 함께 경찰, 의료, 상담, 법률 등 원스톱 서비스 지원
③재혼가족과 이혼 후의 결혼이민자 지원
[재혼가족]
• 자녀의 학교 및 한국사회 부적응 문제
[이혼으로 인한 한부모가족]
• 생계비 유지와 주거 공간 마련, 자녀 양육 및 교육 등의 문제
- 구직활동을 통한 생계비 마련을 위해 자립할 수 있는 취업과 지속적인 사례관리 요구됨
▶ 다문화학생 현황
인원수 |
연도 |
2010 | 2017 |
다문화 학생 수(A) | 31,788 | 109,387 | |
전체 학생 수(B) | 7,236,248 | 5,773,998 | |
다문화학생 비율(A/B*100) | 0.44% | 1.89% |
구분 | 2017년 | |||
초 | 중 | 고 | 계 | |
한국출생 | 68,610 12,265 8,439 89,314 |
68,610 12,265 8,439 89,314 |
68,610 12,265 8,439 89,314 |
68,610 12,265 8,439 89,314 |
중도입국 | 4,843 1,722 1,227 7,792 |
4,843 1,722 1,227 7,792 |
4,843 1,722 1,227 7,792 |
4,843 1,722 1,227 7,792 |
외국인자녀 | 9,280 | 1,958 | 1,043 | 12,281 |
계 | 82,733 | 15,945 | 10,709 | 109,387 |
비율 | 75.6% | 14.6% | 9.8% | 100% |
▶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업중단 사유
④ 다문화가족 자녀의 지원
• 다문화가족 자녀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 차별, 낙인화 등으로 어려움 겪음
- 다문화코디네이터 활성화, 일대일 멘토링 확대, 학습지원 등 요구됨
• 정체성 확립
학업을 집중할 수 있는 학교 분위기 조성 ➔개인의 자주성의 문이 열리고 미분화의 세대 간 전수를 막을 수 있음
▶ 중도입국 자녀
• 공교육 진입 어려움 : 체류신분 불안정, 한국어 미숙, 학업기간 공백
• 학업 중단 위기 높음 : 공교육 진입 후에도 기초학력 부진 및 학업 부적응
• 정체성 혼란 : 새로운 가족관계의 변화에 대한 어려움으로 불안정한 일상과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한 염려 등 ➡진로상담, 진로교육 및 직업기술훈련 기회 제공 및 연계
▶ 결혼이민자를 위한 지원기관
• 다문화가족지원 포털 다누리/ 다누리 콜센터(1577-1366)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 이주여성쉼터
<요약>
2) 결혼이민자 및 가족의 지원
• 결혼생활 시기별 욕구의 변화 반영
• 결혼이민자 및 가족 지원방안
-결혼이민자의 장기체류로 인한 욕구의 변화 고려
-결혼이민자 가족관계 향상 및 가족 해체 예방 :가족 전체에 대한 총체적인 개입
-재혼가족과 이혼 후의 결혼이민자 지원
-다문화가족 자녀의 지원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와 문화다양성 강의정리 : 권량희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회복지와 문화 다양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인근로자 문제 (0) | 2022.06.11 |
---|---|
외국인근로자 현황 (0) | 2022.06.11 |
결혼이민자 현황 (0) | 2022.06.10 |
결혼이민자 (0) | 2022.06.10 |
다문화 사회복지 대상 (0) | 2022.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