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해결중심 가족치료
1) 해결중심 가족치료 이론적 기반
∙전략적 가족치료이론에 근거
∙클라이언트의 긍정적인 사고를 지지하고 촉진시킴으로써 문제의 규모를 줄여 나가도록 하는 것
∙기본 전제는 내담자의 잠재적인 변화 요구를 중요시하고 문제해결능력을 인정한다는 것
2) 해결중심 가족치료 치료 목적과 개입방법
∙치료자와 내담자는 상호협력적 관계
∙치료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목표를 알도록 상황을 제시해 줌
∙성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주는 역할
∙내담자의 문제는 내담자 자신이 치료자보다 더 많이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
∙내담자 스스로 해결방안과 제일 나은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가야 함
∙다른 치료모델과 달리 치료기간이 짧음
3)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주요개념
∙정신 건강에 대한 강조,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활용, 탈이론적·비규범적 내담자의 견해 중시, 간략화, 변화의 불가피성, 현재와 미래지향성 등
4)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대표기법
∙첫 면담 이전의 변화에 대한 질문들
- 상담에서 얻고자 하는 목표 탐색
- 예) 오늘 어렵게 오셨는데, 우리가 한 시간 정도 상담을 한 후 무엇이 조금이라도 변화되면, 조금이라도 달라진다면 “아, 오늘 상담 오기를 잘했구나.”라고 말씀하실까요?
∙예외질문
-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해결지향적 질문
- 예) 2년 전 어머니가 쓰러지신 후 지금까지 2년 사이에 조금이라도 공부를 할 수 있었거나 학교를 가게 된 적이 있었니? 아니면 아빠나 오빠가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 적이 있었니?
- 예외 상황이 다시 일어날 수 있다는 희망과 자신감을 심어 줌
∙기적질문
- 문제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 원하는 것을 탐색할 수 있도록 도움
- 예) 내일 아침에 일어나서 어떤 모습이나 상황을 보면 “와, 밤 사이에 기적이 일어났구나.” 라고 할 수 있을까?
∙척도질문
- 문제의 심각성, 문제해결에 대한 희망, 자아존중감, 변화에 대한 확신, 의지, 문제가 해결된 정도 등을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
- 예) 1부터 10까지의 척도에서 1은 문제가 가장 심각할 때이고 10은 문제가 다
해결된 상태라고 하면 지금은 몇 점입니까?
∙대처질문
- 자신의 미래를 매우 절망적으로 보아 아무 희망도 없다고 하는 내담자에게 주로 사용
- 예) 훌륭한 대처기술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며 자신감을 줌 “자식에 대한 사랑이 굉장히 깊으시네요."
2. 건강가정사업에 대한 전망과 과제
1) 건강가정사업에 대한 전망
∙2005년 호주제 폐지, ‘가족관계 등록 등에 관한 법률’ 등은 우리 사회 내에서 가부장적 가족관계를 개선하고 양성평등한 가족문화 형성에 기여함
∙한국가족 규모의 축소, 가구세대 구성의 단순화, 맞벌이 한부모가족 증가 등은 가족 내 돌봄, 교육, 정서적 지지 등 가족기능의 약화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
∙가족해체에 따른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한 대처로 다양한 가족유형에 대한 사회적 지원은 점차 확대
∙일·가정 양립지원을 통한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2007년,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결혼이주여성과 북한이탈주민의 증가에 대한 가족지원 서비스의 필요성 예상
- 이주여성을 수혜자가 아닌 생산적 기여자로 보는 패러다임의 전환 요청됨
2) 건강가정을 위한 과제
∙새로운 가족담론 구축
∙건강가정사업 전달체계 재확립
∙건강가정사업 전문가 양성
∙건강가정사업과 정책 패러다임 선택
∙가족정책과 국가의 역할 정립
<요약>
1. 해결중심 가족치료
∙클라이언트의 긍정적인 사고를 지지하고 촉진시킴으로써 문제의 규모를 줄여 나가도록 하는 것
∙첫 면담 이전의 변화에 대한 질문들, 예외질문, 기적질문, 척도질문, 대처질문등
2. 건강가정사업에 대한 전망과 과제
∙새로운 가족 담론 구축, 건강가정사업 전달체계 재확립, 건강가정사업 전문가양성, 건강가정사업과 정책 패러다임 선택, 가족정책과 국가의 역할 정립
부산디지털대학교 건강가정론 강의정리 : 박소영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건강가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의 개념과 기능 (0) | 2022.07.11 |
---|---|
건강가정사 - 자격요건 (0) | 2022.06.10 |
다세대 가족치료 · 전략적 가족치료 (0) | 2022.06.10 |
구조적 가족치료 · 경험적 가족치료 (0) | 2022.06.10 |
건강가정사업 - 가족 사례관리 과정 (0) | 2022.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