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세대 가족치료
1) Bowen의 가족치료 이론적 기반
∙ 인간의 행동과 인간문제에 대해 가장 포괄적인 관점
∙ 개인이 성숙하고 건강한 성격으로 분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개인의 가족에 대한 미해결된 정서적 애착이 긍정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는 것 정신역동적 접근법과 체계적 관점을 연결시킨 것
2) 다세대 가족치료의 목적과 개입방법
∙ 치료의 초점은 개인이나 부부단위이지만 주로 다세대의 가족체계에 두고 있음
∙ 가족 내 문제의 핵심은 가족구성원의 불안과 정서적 융합에 있음
∙ 치료 목표는 가족구성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자아분화 수준을 높이는 것
∙ 가족체계가 변화하려면 폐쇄된 가족유대를 개발하고 삼각관계에서 벗어나야 함
∙ 개인의 변화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성 변화를 통해 이루어짐
3) 다세대 가족치료의 주요개념
∙ 자아분화와 융합, 핵가족 정서체계, 삼각관계, 가족의 투사과정, 다세대 전달과정, 출생 순위, 정서적 단절, 사회의 정서적 과정
4) 다세대 가족치료의 대표기법
∙ 탈삼각화 : 두 성원들의 감정 영역에서 제 3의 성원을 분리시키는 과정
∙ 치료적 삼각관계 : 두 성인과 치료자로 이루어진 삼각관계 시스템에서 작업
∙ 관계성 실험
∙ 코칭 : 치료자가 내담자에게 직접 접근하여 문제에 대처할 수 있도록 조언
∙ 과정질문 : 내담자가 감정을 가라앉히고 정서적 반사반응을 낮추면서 가족체계와 정서과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질문기법
∙ 나-입장 기법 : 감정보다 이성에 기초한 자신의 입장을 갖도록 돕는 기법
2. 전략적 가족치료
1) 전략적 가족치료의 주제
∙ 클라이언트 통찰을 통한 성찰이나 이해의 변화보다는 행동의 변화를 일으키는데 관심이 더 많음
∙ 특정한 행동의 연쇄과정을 관찰하고 변화시키는 것에 관심을 가짐
2) 전략적 가족치료의 목적 및 개입 방법
∙ 치료목적은 현재에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는 것
∙ 전략적 가족치료 접근은 가족구성원이 변화되는 1차 변화가 아닌 가족규칙과 가족구조가 바뀌는 2차 변화로 구별됨
∙ 병리적 가족의 가족 안전을 위한 ‘항상성을 제거하는 과정’을 ‘가족의 변화’보다 더 중요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위계와 권력’에 관심을 가짐
∙ 가족체계적 입장에서는 가족문제가 가족 전체의 역기능적 상호작용과정 때문에 발생한다고 보지만 구조적 측면에서는 가족문제가 가족의 위계와 관계 속에서 발생한다고 보아 문제 발생은 가족체계 유지에 기여한다고 가정함
3) 전략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
∙ 의사소통과 관계규정, 관계통제와 위계 등
4) 전략적 가족치료의 대표적 기법
∙ 재구성 : 가족성원들이 문제 혹은 이슈를 다른 시각에서 보도록 혹은 다른 방법으로 이해하도록 돕는 것
∙ 역설적 지시 : 문제를 유지하는 연쇄를 변화하기 위해 가족이 역설적이라고 생각하는 행동, 즉 문제 행동을 유지하거나 혹은 강화하는 행동을 오히려 주행하도록 지시하는 기법
∙ 증상 처방 : 역설적 개입의 일종으로 내담자에게 증상 행동을 자발적으로 계속하도록 격려하는 지시나 과제를 주는 기법
∙ 고된 체험기법 : 증상이 나타날 때마다 내담자가 괴로워하는 일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직접적이고 처방적인 개입
∙ 긍정적 의미부여 : 가족의 응집을 향상하고 치료에 대한 저항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가족 문제나 행동을 긍정적으로 재해석하는 기법
∙ 의식처방기법 : 일정한 의식을 만들어 게임을 하게 함으로써 가족게임을 과장되게 인식하도록 하는 기법
∙ 불변의 처방기법 : 경직되고 파괴적인 가족게임을 깨뜨림으로써 가족원이 더욱 융통성 있는 생활방식을 함께 개발하도록 하는 기법
∙ 순환 질문기법 : 각 가족원에게 돌아가면서 가족 상호작용이나 가족관계에 대해이야기하게 하는 대화기법
<요약>
1. 다세대 가족치료
- 치료목표는 가족구성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자아분화 수준을 높이는 것
- 개인의 변화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성 변화를 통해 이루어짐
- 탈삼각화와 치료적 삼각관계, 관계성 실험, 코칭, 질문, 나-입장 기법, 불안완화기법 등
2. 전략적 가족치료
- 치료목적은 현재에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는 것
- 전략적 가족치료 접근은 가족구성원이 변화되는 1차 변화가 아닌 가족규칙과 가족구조가 바뀌는 2차 변화로 구별됨
- 위계의 재구조화, 역설적 개입기법, 고된 체험기법, 의식처방기법, 불변의 처방기법, 순환 질문기법 등
부산디지털대학교 건강가정론 강의정리 : 박소영 교수 2022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건강가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가정사 - 자격요건 (0) | 2022.06.10 |
---|---|
해결중심 가족치료 (0) | 2022.06.10 |
구조적 가족치료 · 경험적 가족치료 (0) | 2022.06.10 |
건강가정사업 - 가족 사례관리 과정 (0) | 2022.06.10 |
건강가정사업 - 사례관리 (0) | 2022.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