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복지행정의 필요성
1) 행정없는 혼란스런 조직상태의 극복
○ 복지기관, 단체 내 행정이 없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 극복
▷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는 분별없는 출연
▷ 업무의 불규칙, 전문가, 직원의 활동 연관 없음
▷ 사회복지사의 자신의 활동 책임회피
▷ 그 누구도 지역사회 기관에 대해 알지 못함
▷ 미래비전에 대해 관심 없음
▷ 기관종사자들 간 정보공유 없음
▷ 지식 기술을 지원하는 방법이 진행되지 않음
▷ 모든 결정이 일방적으로 이루어짐
2) 공식적 조직에 의한 활동
○ 사회복지 조직의 공식조직화
▷ 사회복지활동이 조직을 통해 체계적으로 이루어짐
▷ 사회복지사들의 조직 및 기능 수행에 대한 이해 필요
▷ 현실에서 기관의 수행 기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
▷ 사회복지기관의 결정, 결과는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됨
▷ 조직구조, 재정, 인사, 기획과 집행 등의 행정(관리) 강화 필요
① 누가, 어떤 서비스를, 누구에게, 어떻게, 얼마 동안, 어느 정도 비용으로 제공할 것인지를 결정함
② 클라이언트에 대한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절차, 방법)을 위해 필요함
3) 복지활동의 미션, 비전, 목표관리
○ 누구를 대상으로 무엇을 할 것인가?
▷ 조직이 무엇을 추구해야 하는지를 설정하는 것
▷ 행정활동의 지원을 통해 미션(목적, 원칙, 이념), 비전(미래 구상, 전략), 목표(계획, 구체적인 사업, 일정 등)를 세우고, 실천하고, 성과관리를 함
2. 사회복지행정의 정의
1) 사회복지행정의 정의
2) 사회복지행정에 대한 학자별 정의
3) 범위에 따른 구분 : 협의, 광의
※ 협의의 관점
- 사회복지행정이란 요보호대상자를 주요 고객으로 하는 사회복지시설의 행정이라는 입장
- 요보호대상자에 대한 행정은 시설보호와 구분되는데 일반적으로 시설보호가 주된 내용을 이룸
예) 던햄(Dunham, 1962), 페티(Patti, 1983)등의 정의
※ 광의의 관점
- 사회복지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 관리 포함
- 사회복지행정이란 이러한 사회복지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회복지정책의 형성 및 구체화를 위한 행동이라는 개념
예) 키드니(Kidneigh, 1950), 스펜서(Spencer, 1961), 티트무스(Titmuss, 1974), 트렉커(Trecker, 1977) 등
구분 | 협의적(미시적) 사회복지행정 | 광의적(거시적) 사회복지행정 |
개념 | 사회복지실천의 한 방법으로서 행정관리자의 행정 관리 | 공공 및 민간기관을 포함한 사회복지조직의 구성원들의 총체적 활동 |
내역 | 3대 사회사업 실천 - 개별사회사업 - 집단사회사업 - 지역사회조직사업 |
사회과학적 관리과업 사회사업 3대 방법 |
주요 과제 | 서비스 전달의 효과성 효율성 문제 서비스의 경쟁성 서비스의 접근성과 전문성 문제 |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연계 강화 공공기관과 민간기관과의 연계체계 미흡 |
4) 관리기술이나 과업과정
학습정리
○ 사회복지행정의 필요성
- 행정없는 혼란스런 조직상태 극복
- 공식적 조직에 의한 활동
- 복지활동의 미션, 비전, 목표관리
○ 사회복지행정의 정의
- 협의의 관점 : 사회복지시설이나 기관 내 관리과정
- 광의의 관점 : 사회복지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 관리까지 포함함
- POSDCoRBE : 기획(planning), 조직(organizing) 인사(staffing), 지시(directing), 조정(coordinating), 보고(reporting), 재정(budgeting), 평가(Evaluating)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 행정론 강의정리 : 황윤희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3-2사회복지 행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행정가의 지식과 기술 (0) | 2022.08.14 |
---|---|
사회복지행정 및 조직의 특징 (0) | 2022.08.14 |
사회복지 시설평가 (0) | 2022.07.09 |
프로그램 평가 (0) | 2022.07.09 |
평가의 정의, 목적 (0) | 2022.07.09 |